일반적으로 지인의 자녀결혼식이 있을때 부조금은 어떻게 얼마나 내나요??
저의 남편은 보통 부조금으로 5만원쯤 하구요.
부부동반으로 가야 하는 자리라면 10만원 합니다..
그런데 호텔에서 결혼식을 한다면 일반적으로 식대가 8만원 에
와인까지 곁들이면 일인당 10만원쯤 한다더라구요,,
그럼 호텔에서 결혼식한다면 부조 10만원 해야 하나요??
그것도 부부동반으로 가면 20만원해야된다는 결론 인데..
호텔에서 하건 일반 웨딩홀에서 하건 그건 혼주의 경제력??
인데 하객까지 그 수준에 맞춰 줘야 하는지 궁금해서요..
또 그 혼주는 하객들의 혼사에 갈때 그 부조금 기준으로 부조
해야 되나 싶기도 하구요..
이번 주말 호텔결혼식에 부부동반으로 가야되는데,,
핑계대고 가지 말아야 하나 고민중이라 물어보네요...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지인의 자녀결혼식 부조금
결혼식부조금?? 조회수 : 737
작성일 : 2011-05-27 11:37:34
IP : 122.32.xxx.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저는
'11.5.27 11:40 AM (218.37.xxx.67)제 경제적 형편에 따라 부조금을 정합니다
결혼식 밥값이야 혼주들이 신경쓸 일이죠2. ㅋ
'11.5.27 11:47 AM (175.196.xxx.15)결혼식은 자기들이 예식 하고 싶은 장소에서
경제적 형편 내에서 하는 거 아닌가요?
호텔에서 하면서 남에게 부담 주는건 좀 아니라고 봐요.
호텔에서 하는 결혼식은 더 내야 하고
회사 강당이나 성당 같은 데에서 거의 무료로 하는 결혼식엔 적게 내고
그러진 않잖아요.
예전엔 호텔 결혼식엔 10만원은 내는게 예의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무조건 친분도에 따라서 합니다.
대신 일반 예식장이라도 최소 5만원은 하구요.
가능하면 혼자 가도록 해요.3. 형편껏하세요
'11.5.27 12:11 PM (112.168.xxx.63)결혼식 하는 사람들이 좋아서 하는 결혼식 장소를
하객들이 신경써서 축의금까지 정해야 하는 건 아니죠.4. ..
'11.5.27 12:27 PM (125.241.xxx.106)축의금은 친분도에 따라서 합니다
호텔에서 하는 사람이 식비 따지겠어요?
저는 똑같이 합니다5. 윗님들옳은데요,
'11.5.27 5:24 PM (175.205.xxx.170)저는 호텔에서 하는 결혼식은
일단은 1인분 식사비가 비싸니까 꼭 가야만 하는 상대이면
우리 부부 중에 한사람만 가도록 하고
가더라도 1인분 식사비+일반적인 측의금 이렇게 합한 금액으로 해요.
꼭 가야만 하는 결혼식이 아니면 대개는 일반적인 축의금만 보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