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아파트 1층, 15층 꼭대기 중 어느게 그나마 나을까요?????????

아파트 조회수 : 2,352
작성일 : 2011-05-08 12:10:34
이사집 알아보고 다니느데요
집도 없고,,돈에 마추려고 하니..ㅠㅠ

1층, 15층 꼭대기 둘 다 별로지만
그나마 어느게 나을까요?
둘 다 오래된 아파트에요...15년 19년

꼭대기는 결로 생기면.......누가 수리해야 하나요??? 옥상에서 새는거면....
IP : 125.143.xxx.83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5.8 12:16 PM (61.101.xxx.14)

    1층은 겨울에 바닥이 좀 차고 15층은 여름에 훅 덥지요
    가족들이 더위를 많이 타면 1층, 추위를 많이 타면 15층. 15층도 열을 외부로 빼앗기긴 하지만..
    애기들이 있으면 1층이 속편할 것이구
    조용한 게 좋으면 15층..
    옥상에서 새는 건 관리실소관인 거로 알구요

  • 2. 당연
    '11.5.8 12:18 PM (118.137.xxx.174)

    꼭대기층이죠. 윗님 말씀대로 비교의 대상이 아닙니다.
    어린 사내아이를 키우고 있지 않다면, 굳이 1층을 선택할 필요가 없어요.
    오래된 아파트니 1층도 꼭대기층도 다 단점이 있겠지만, 오래되면 오래될수록
    꼭대기층의 단점보다 1층의 단점이 더 커요.

  • 3. 15층 살아요
    '11.5.8 12:19 PM (14.63.xxx.105)

    남향 15층에 15년 째 살고 있는데
    햇볕 잘 들고, 통풍 잘 되고,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해요
    전망도 좋구요
    그리고 옥상에서 새는거면 관리실에서 수리해줘요

    그치만 윗님 말씀대로 아기들이 있으면 당연 1층이 좋구요~

  • 4. ..
    '11.5.8 12:28 PM (122.34.xxx.200)

    1층도 살아봤고 16층곡대기도 살아봤어요

    1층은 애들에게 조심시키지않아도 되니편하고
    엘리베이터고장나거나 음식물버리러갈때 편하고
    앞의 나무나 풀의 변화로 정원같은 아늑함에
    땅의 기운을 받는 느김도 좋았어요
    하지만 도둑들까봐 방법창해놓은 옆집보니 불안하기는했구요
    겨울에 찬기운이 올라와서 난방비가 조금더들구요
    집에따라 햇빛이 덜들기도해요 이건방향과 나무탕인데제가산집은 밝고 따스했어요

    16층은 꼭대기지만 위층이 옥상이아니라 세모지붕이라 여름에 시원했어요
    하지만 윗층소음못지않게 아래층소음끝내주게올라왔구요(이웃복은 복불복)
    엘레베이터 점검하면 죽어납니다
    겨울엔 결로때문에 아무리닦아도 베란다구석 결로와 곰팡이 숨막혔어요
    한겨울에도 1센티정도열어두고 가디건겨입ㄱ고살고 보일러많이 안틀어두요

    층간소음은 이웃나름이니 제외구요
    다시선택하라면 전 1층입니다
    여름엔 쪄죽고 겨울엔 추워요
    지금6층인데 만족합니다

  • 5. 당연
    '11.5.8 12:32 PM (114.203.xxx.7)

    15층이요.

  • 6. @@
    '11.5.8 12:46 PM (121.55.xxx.10)

    당연 꼭대기층이 좋죠.
    저희도 꼭대기층으로 오면서 더위 걱정 많이 했는데 다행히 옥상에 엘리베이터 올라가는 공간이 거실과 안방쪽으로 그늘을 만들어줘서 덥지않네요.
    입구쪽 아이들 방은 좀 더워요. 다행히 바람이 잘 통해서 그렇게 덥다고는 하지않네요.
    문 활짝 열어놓고 있으면 바람이 잘 들어와서 더 시원한듯(?) ...
    같은 라인 이웃들 놀러와서 그러데요. 더울줄 알았는데 하면서 옥상 엘리베이트 덕 본다고들해요.
    내부샤시를 다 하고 들어왔더니 다른집보다 오히려 가스비 적게 나왔던데요.

    옥상에서 새는거는 관리실에서 해 준다고 하던데요.

  • 7.
    '11.5.8 12:57 PM (121.124.xxx.186)

    당연히 2개라면 2중에서는 15층이라고 생각했는데
    댓글을 보니 1층이 더 나은 경우도 보이네요.

  • 8. .
    '11.5.8 1:11 PM (14.52.xxx.167)

    가격에 다 반영되죠. 세모지붕 탑층은 가격도 탑일겁니다. 전 저층 싫어해서 15층이 나을거같지만 간혹가다 1층 선호하는 분들도 계시니까요.

  • 9. 전 1층
    '11.5.8 1:17 PM (122.128.xxx.147)

    오래된 아파트면 나무들이 커서 1층에 살면 전망이 탁 트이진 않아도 나무가 보이는 정원 안고 사는 기분이에요. 아이들 있으면 엘리베이터 위험 없고, 뛰어도 아무래도 아래층이 없으니 좀 더 안심이고. 쓰레기 버리고 택배받을때 편하고 방범창만 잘 해놓으면 전 1층 할래용

  • 10. 15층
    '11.5.8 1:35 PM (175.126.xxx.127)

    엘리베이터 점검등으로 걸어 올라갈때가 있긴 하겠지만, 그건 14층, 13층도 마찬가지예요.
    오히려 1층 엘리베이터 앞에서 떠드는 소리보다 낫지 않을까 싶어요. 훨씬 밝고, 전망 좋고,주차장 차 매연, 쓰레기냄새등도 없고요. 다만 땅에서 떨어져 있으니, 지력 신경쓰시는 분이라면 곤란하겠지요. 제가 살면서 베란다 샷시랑 모든 창문을 좀 좋은걸로 새로 했거든요. 할땐 큰돈이 들어서 많이 망설였는데 하고나니, 난방비, 전기세가 뚝뚝 떨어지더이다. 오래된아파트라 겨울엔 웃풍도 있었는데 지금은 전혀 못 느끼고요. 층간소음은 윗층이 없다고 절간처럼 조용할거라 생각하시겠지만, 아랫층 소리 올라옵니다. 바로 위에서 뛰는것 보다는 좀 덜해도요. 개인선호도에 따라 잘 결정하시길.^^

  • 11. ,,
    '11.5.8 2:10 PM (125.133.xxx.197)

    1층이 낫지요.
    정원 같은 마당에다 엘리베이터 안 타고 금방 튀어 나갈 수 있어서 좋아요.
    옛날에 윗층 살때 아랫층에서 화재 발생했다고 도피하라는 방송 나왔을때 엄청 혼났어요.
    그리고 아이들 뛰어도 상관없고 도둑 걱정도 안했어요. 방범샤시 만들어 놓고도 열어놓고 살고 있습니다. 사람들 출입하는 것이 노출되어 있어서 오히려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시장 봐서 들고 들어 오기도 편하고 음식물 쓰레기 자주 버리게 되어 좋아요. 그리고 엘레베이터 타는 사람들 시끄러운 소리는 좀 불편하기는 하지만 여러가지 좋은 점으로 커버하고 있어요.

  • 12. 아우
    '11.5.8 2:16 PM (218.155.xxx.145)

    울언니 베란다 앞에 꽃밭 가꾸는 맛에 1층 살았는데
    여름에 한번 놀러 갔더니 숲에서나 볼수있는 모기가 얼마나 많던지 질려 가지고 ..
    뭐 1층이라고 다 그런건 아니겠죠

  • 13. ..
    '11.5.8 3:24 PM (121.155.xxx.51)

    오래된 아파트 1층은 나무가 커서 집안이 엄청 어두워요.
    저 같으면 고민할 것 없이 15층이요.

  • 14. 비교불가
    '11.5.8 5:37 PM (110.10.xxx.19)

    아직도 최상층을 1층과 비교하는 분이 계셔서 오히려 놀라고 갑니다.
    가격이 말해주지요.
    당연히 15층~

  • 15. 1층
    '11.5.8 7:51 PM (222.237.xxx.117)

    예전에 32평 1층 사택에서 4년 정도 살았는데 앞 화단이 다른 아파트보다 넓고 수목이 우거져서 참 좋았습니다.
    지금은 21층 아파트 18층 살고 있는데 직장에 다니는 딸이 예전의 1층이 그립다고 합니다.
    밤늦게 엘리베이터 타는 게 부담스럽고, 아침에 출근하는데 10분은 더 걸린다구요...
    저도 1층이 살짝 그리운 요즘입니다.

  • 16. 당근
    '11.5.8 10:00 PM (121.165.xxx.191)

    15층..추위, 더위.. 살면서 돈으로 막을수있지만,,,보이는 시원한 풍경은 돈으로 못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6383 전기압력밥솥 브랜드마다 차이많이나나요? 2 .... 2011/03/04 351
626382 아기 포동포동하게 하는 방법있나요? 14 ^^ 2011/03/04 780
626381 직장맘이신데 외고1등에 서울대 보내신 어머님~~ 후기 부탁드려요 21 .. 2011/03/04 2,259
626380 전세값 잡아줄 정치인 누구일까요? 9 2011/03/04 623
626379 국민은행 시세와 실제 시세는 차이가 있나요? 10 궁금하군요 2011/03/04 1,244
626378 아이들 원에 보낼때 바지 어떻게 입히세요 2 바다 2011/03/04 270
626377 네스카페 돌체구스토 사신분 있어요? 9 커피매냐 2011/03/04 1,292
626376 소셜커머스 불량업체가 없어져야 해요! 티켓 2011/03/04 399
626375 빚많고 월급많은거랑 빚없고 월급적은것중에 4 친정자매 넷.. 2011/03/04 829
626374 민주당, '구제역 매몰지 지도' 전격 공개키로 2 베리떼 2011/03/04 189
626373 돈이 돈이 아니네요 5 사랑이여 2011/03/04 1,503
626372 사촌간의 호칭은..? 6 궁금 2011/03/04 369
626371 구립어린이집인데 2 봉봉 2011/03/04 279
626370 영국은 섬나라인데 문화가 발달한 이유는 뭔가요? 6 일본 2011/03/04 1,203
626369 등산화도 늘어나나요? 5 운동하자 2011/03/04 943
626368 늦은감이 있지만 유치원 선생님께 선물을 하려고 하는데 4 ... 2011/03/04 357
626367 대구에 레이저 시술 가격 좀 봐주세요~ 4 궁금 2011/03/04 435
626366 중2, ebs 무료강의? 2 ... 2011/03/04 518
626365 아들은 거의 이런가요? 우리아들만 그런지.. 8 어린아들 2011/03/04 1,294
626364 아침방송에 다섯아이 엄마 아빠 보셨나요 44 ,,, 2011/03/04 11,604
626363 장시간 정전되는 경우 냉장고의 음식들은 어떻게 하나요? 5 고민 2011/03/04 568
626362 영국에 한달간 여행하며 머물다 올예정인데요. 3 문의 2011/03/04 713
626361 눈썹 거상술 해보신분 계신가요..? 4 .. 2011/03/04 690
626360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7세 남자아이 5 몸무게 2011/03/04 474
626359 도우미 아주머니에게 퇴짜 먹었어요. ㅡㅜ 22 도우미 2011/03/04 8,831
626358 학교에 빨리 가고 싶데요^^ 1 초등3학년 2011/03/04 164
626357 커피에 에이스 찍어먹고 싶어요 ㅠ.ㅠ 17 참아야하느니.. 2011/03/04 1,466
626356 물혹이랑 홍삼,콩 등 식품과의 관계? 2 정말 궁금... 2011/03/04 689
626355 4인 식탁을 사려고 하는데요~ 고민 2011/03/04 152
626354 역곡역 상권이 어떤가요 2 역곡역 2011/03/04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