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시댁 방문하는거요...행사 빼고 얼마나 자주 가야 하나요?

아임프리 조회수 : 1,819
작성일 : 2011-04-25 09:00:30
기본적으로 가야할 생신 명절 그거 빼고 (일년에 6번..) 2주에 한번은 꼭 가야 하나요?
보통 맞벌이라 주말에는 쉬고 싶어서 한달에 한번 정도 갔는데..
시댁에서 빈정거려요..정말 빈정거리는 말투로 한달에 한번 오고 니들은 언제 올지 누가 아냐고..
그러시는데..참 기분 안좋더라고요..
저희 지방 살고 시댁 친정 다 서울 살아서..
솔직히 2주에 한번 가는것도 버거워요..
그렇다고 친정은 자주 가냐? 친정은
행사가 별로 없어 남편은 작년에 거진 3~4번 밖에 안갔더라고요..
그래도 전 별로 신경 안쓰는데..
2주만 되면 시댁에서 아주 집요하게 전화와요..그래서 남편만 보냈더니..
같이 오지 왜 남편만 보내냐고...(남편도 저 친정갈때 본인 피곤하면 걍 혼자가게 냅둬요..저도 별말 안하고요)
남편이 일 있어 서울가면 시댁에 잠깐 들립니다..
그것 조차도 미리 같이 와서 넌 시댁에 있다가 같이 내려가지 왜 자꾸 혼자 보내냐고..
혼자 보내면 안됩나요? 결혼한지 3년 됐는데..2년 넘게 그런 소리 하셔도 무시하고 살았는데
이제는 좀 질립니다..듣기 싫어요..앞으로 얼마나 참고 무시해야 잠잠해 질까요?
IP : 211.206.xxx.110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시댁이 지방이라서
    '11.4.25 9:02 AM (58.145.xxx.249)

    생신때, 명절때, 특별한 일이있을때만 가요...
    시부모님은 가끔올라오시구요

  • 2. ㅇㅇ
    '11.4.25 9:03 AM (1.104.xxx.74)

    저도 결혼4년차인데 한달에 두번가요 행사있음 더가고요 그렇게안가면 울고불고난리나는시댁땜에 ㅠㅠ 덕분에 친정은 서너달에 한번가네요 내몸이힘들어서

  • 3. 원글
    '11.4.25 9:08 AM (211.206.xxx.110)

    2시간 30정도 걸려요..애 없구요..주말엔 남편도 저도 토익도 공부해야 하고(승진시험등) 운동도 하고 그래야 하는데..시댁가면 남편 잠만 잡니다..저요..할일 없어 빈둥거리다..오고요..시간이 너무 아까워요..

  • 4. ...
    '11.4.25 9:09 AM (175.193.xxx.110)

    저희는 1년에 명절때,생신때, 제사때 한 6번 보네요.

  • 5. 7년차까지
    '11.4.25 9:11 AM (122.40.xxx.41)

    한달에 2번 갔는데
    이젠 부녀만 한달에 한번 보내고 저는 명절만 갑니다.

  • 6. .
    '11.4.25 9:12 AM (211.200.xxx.37)

    명절,생신,어버이날,포함안될달에는 그냥 식사하러..1년에 12번정도 갔었는데
    애가 고학년되니 주말도 바빠져서 고민이예요

  • 7. 어제 갔는데..
    '11.4.25 9:16 AM (218.158.xxx.139)

    한마디 하시더라구요..돌려서 제 딸한테요.,.
    저희는 1시간거린데..2주에 한번 정도 가요..매주갈때도 많았고요..
    어쩌다 한달에 한번 가면..(제 기억으론 어제까지 2번 되네요..)
    꼭 딸한테 얘기하는데..저 들으라는식으로 한마디 하세요..
    시댁에 갓난이가 있는데..어제 한달만에 갔더니 딸한테 그러시대요..
    "00(갓난이)가 언니~하고 말하겠다고..네가 너무 오랫만에 와서 00 말하겠다고.."
    솔직히, 그런말 들으면 더 가기 싫어져요..
    원글님처럼 울남편 시댁가면 잠자거나..리모콘돌이하거나 친구만나러 나가요..
    정말 시댁에 왜 가자고하는지 이해가 안된다니까요...

  • 8.
    '11.4.25 9:19 AM (211.203.xxx.86)

    이런 일에 원칙이 있나요? 쎈 사람이 이기는 거지... 님이 세면 일년에 서너번 가고, 시부모가 세면 매주 가고. 다 그런 거 아니겠어요? 듣기 싫은 소리 하면 한 귀로 흘리세요. 맞서다가는 험한 소리만 들어요. 항상 남편을 앞세우고, 어리숙한 척 하기. 명심명심.

  • 9. 처음부터
    '11.4.25 9:24 AM (58.145.xxx.249)

    명절 생신때만 딱 갔어요.. 전업이구요
    물론 시댁이 3-4시간 거리의 지방입니다만...
    처음부터 그랬기때문에 시댁에서도 별 말씀 안하세요.
    시어머니는 자주 올라오십니다.....
    주중에는 회사원들 야근하고 서로 얼굴볼시간도없는데
    주말만이라도 부부지간의 시간을 좀 보내야하지않나요...
    결혼을 시부모님과 한건 아니니까요;;

  • 10. .
    '11.4.25 9:26 AM (211.196.xxx.80)

    아직 아이가 없나요?
    그 시댁, 위세가 대단하시네요...아이 생기고 아이 커가면 전세 역전인데 왜 그렇게들 욕심을 내시는지...
    전 20년차이고 가까이 살지만 행사 외에는 두어달에 한번 가서 뵙습니다.
    그나마 대부분은 외식하구요.
    천성이 게으른 며느리라고 초반부터 알고 계세요.
    시어머님은 많이 부지런하셔서 신혼초에는 저도 그게 약간 힘들었는데
    지나고 보니 시어른들이 느려터지고 집안일 싫어라 하는 저 때문에 저 보다 몇배나 복장이 터지셨을 거라는 생각입니다.
    요는, 내가 편해야 어떤 관계든 결국 편해진다는 것입니다.
    상식선에서 할 도리는 하시되 억지로 맞추지 마세요.
    당신 아들 마음 편하게 해주고 둘이 잘 살면 최고입니다.

  • 11. Q
    '11.4.25 9:26 AM (218.39.xxx.213)

    저는 시댁,친정 같은 동네 수시로 길에서 만나요.ㅎㅎ

  • 12. 헐~
    '11.4.25 9:40 AM (221.141.xxx.106)

    2시간30분 거리를 2주에 한번을 요구하시다니...간큰 시댁이네요~
    평생 그러고 사실 거 아니면 가지마세요.
    당연히 남편만 보내셔도 되구요~
    요리조리 핑계대고 어쨌거나 버티세요. 몇년 지나면 포기하실 겁니다~
    강해지세요~!

  • 13.
    '11.4.25 9:47 AM (175.114.xxx.126)

    헐~222222
    2시간 30분 거리에, 게다가 맞벌이......
    1달에 1번이 적당할 거 같아요
    버티시고, 강해지세요....
    착한척 살라고 하면 결국 병 나고, 신랑하고도 사이 틀어집니다...
    참고로 저는 전업주부, 시댁은 40분거리, 1주에 거의 1번꼴로 갑니다.
    균형 맞추려 친정도 2주에 1번은 가는데.... 주말이 힘들어요
    이번주는 양가 다 쉬었더니,,, 아주 널널하네요...

  • 14. ...
    '11.4.25 9:48 AM (183.106.xxx.61)

    요즘 주말에 바빠서 못간다고 말하세요..
    핑계 아니고 사실을 말하는 건데..뭘 그리 눈치보시나요..

  • 15. 아이
    '11.4.25 9:57 AM (121.88.xxx.154)

    돌때부턴가.. 혼자 보냈어요.. 아이 데리고 적어도 2주에 한번씩 꼬박 가더니..(어머니가 주말이면 전화하십니다.. 누가 온다.. 과일 뭐 있는데 가져가라.. 떡 들어 온게 있는데 가져가라.. 등등..)
    언제부턴가 남편이 군기가 빠지더니 3주에 한 번.. 가더니 이젠 한달에 한 번에서 두 달에 한 번으로 갈아타고 있네요.
    저는 명절, 생신, 제사로 일년에 여섯번 정도 뵙나 봅니다. 저는 그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아들하고 손자는 콜하시면 언제든 보냅니다.^^ 처음 2년정도는 말이 나더니 (남편이 얘기 전하는거 안 하는데 표정 보면 알죠..) 이젠 피차 오라고 할, 가려고 할 구실이 없어서.. ㅋ

  • 16. ....
    '11.4.25 9:59 AM (58.122.xxx.247)

    제가 젊은친구들한테 말해주는거
    어른들도 나한테 적응할기회를 줘라
    그냥 휘둘리지말고 아주 큰상식만 벗어나지말고 내식대로 사세요

  • 17. 원글
    '11.4.25 10:04 AM (211.206.xxx.110)

    답변 감사합니다..선배님들..저도 정말 한따까리 하는 성격이라 거절 잘 하는 성격인데..왜케 이리 소심해 졌는지..한동안 냉정하게 거절 하고 안갔더니 잠잠하시다 또 그러시네요...

  • 18. --;;
    '11.4.25 11:03 AM (116.43.xxx.100)

    거기 가서 잠만 자는 남푠....꼭 굳이 기름값 들여서 멀리까지 자러 가는겁니까?
    다들 각자 스케줄에 해야할일들이 많은데...없는 것처럼 취급하는 그쪽 어른들도 문제네요
    그냥 원글님도 편리에 따라 적당히 하세요.....남편혼자 잘 보내시고~자러 가는데 나까지 가야 하니~~매주 차라리 일을 만드세요~~그렇게 점점 간격을 두면 언젠가 가끔 가도 반가워 하겠죠
    넘 자주 가니 그런 부작용이 있는거 같네요..

  • 19. ,
    '11.4.25 11:13 AM (112.72.xxx.167)

    결혼21년차 -- 결혼하고나서 차없을때부터 시작해서 기저귀가방들고 차갈아타고
    주말에 갔다오면 그다음주 빠꼼 그러면 틀림없이 날잡아놓고 전화하세요
    징글하고 스트레스받아요 지금은 특별한일있을때만갑니다
    명절 생신 친척분들일 공동행사등 --보면 빈정대고 잡아먹을라하지요
    그러거나 말거나 1년에 그것만도 6-7번인데 그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 20. 결혼13년차
    '11.4.25 11:28 AM (118.217.xxx.219)

    한달에 한번 갑니다
    행사겹치면 한달에 2,3번도 가지만 특별한 일 없으면 1번정도만 가요
    결혼 10년 넘으니 저도 간이 커졌는지 맘도 그리 불편하지 않아요
    남편이 평소엔 바빠서 일요일은 쉬어야하기도 하구요
    시댁 눈치보지 마시구 휴일은 편하게 알차게 보내세요
    공부까지 하신다면 당당해도 될 것 같은데요

  • 21. 시댁시댁..
    '11.4.25 10:51 PM (211.109.xxx.62)

    시댁이란 곳 . 먼저 가고픈 맘이 내키는 곳이면 얼마나 좋을까요? 후후
    결혼 5년차인데 아직도 가기 싫어요. 행사 같은거 포함해서 한달에 한번 정도는 가려고 하는데 (신랑이) 그마저도 갈때마다 저는 좋은 기분으로 가지지가 않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8351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같은류의 영화 뭐가 있을까요? 1 눈사람 2011/02/03 367
618350 방사선과와 간호학과 4 조언 부탁드.. 2011/02/03 1,190
618349 작년 설에 한 녹두전 먹어도 될까요? -.- 17 독신녀 2011/02/03 2,183
618348 이글스 내한공연..티켓값이 후덜덜 하네요 4 넘 비싸요 2011/02/03 1,483
618347 대구에 한복 대여료 얼마나 하나요? 2 한복 2011/02/03 449
618346 시댁이 서울이여도 하룻밤 같이 지내세요? 6 명절 2011/02/03 1,512
618345 한화리조트 싸게 가는방법 여행 2011/02/03 522
618344 남편들은 명절때 힘든걸 당연히 여기나여? 4 서러워요.... 2011/02/03 812
618343 시어머님이 해주신 미국산 불고기.. 거절 할 수가 없었어요 5 ㅜㅜ 2011/02/03 1,302
618342 직장 상사의 은근한 면박/따돌림때문에 잠이 안와요. 조언부탁드려요 4 고민 2011/02/03 1,098
618341 친구에게 뭐라고 조언해줄까요? 5 고민녀 2011/02/03 955
618340 가난이 민폐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6 당나귀들 2011/02/03 1,112
618339 요새 계속 입안이 바짝말라서 힘든데 이게 전기장판 때문일까요? 8 해피 2011/02/03 2,346
618338 시어머님이 화가 나신 이유를 모르겠어요 43 이유없음 2011/02/03 8,923
618337 호칭문제요...어떻게부르세요? 8 신경전 2011/02/03 864
618336 카카오톡 질문 7 질문 2011/02/03 1,605
618335 "가난은 민폐 타령... 그 종결자" 라고 제목을 쓰면 많이 보실까요... 14 ^^V 2011/02/03 1,643
618334 82의 한계 2 1 음.. 2011/02/03 595
618333 정말 빽이 없으면 대기업 입사는 힘들겠죠?? 41 정말.. 2011/02/03 7,768
618332 가난은 민폐맞습니다 36 민폐금지 2011/02/03 7,967
618331 친정가기 힘든 이 분위기 10 바보 2011/02/03 2,012
618330 떡국 끓일 때.. 3 소고기고명 2011/02/03 943
618329 석해균선장님 깨나셨네요 12 수다 2011/02/03 1,294
618328 82의 한계.. 11 다들 그렇습.. 2011/02/03 1,501
618327 보름있다 샌프란시스코가는데요..맥심 커피광고 찍은 곳이 어디쯤인지 아세요?+아이패드질문 3 출장녀 2011/02/03 569
618326 급궁금..유재석집은? 20 . 2011/02/03 14,650
618325 인도 체류시 꼭 필요한 물건은 뭐가 있을까요 3 그루터기 2011/02/03 498
618324 타래과 파는 사이트(절실히 먹고 싶어요~) 4 먹고파 2011/02/03 886
618323 불고기용 고기 적당할런지요~? 2 궁금이 2011/02/03 399
618322 그냥 닥치고 투표 // 투표하는 재미가 쏠쏠해요 3 한일전 저리.. 2011/02/03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