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빗물 방사능, WHO 식수기준치 30% 육박

후아유 조회수 : 1,852
작성일 : 2011-04-11 02:16:35
      
빗물 방사능, WHO 식수기준치 30% 육박
환자선택 X레이 피폭량과 비교는 넌센스
7일 제주서 2.81베크렐 검출…WHO 기준은 ‘10’
정부는 식수 아닌 전체노출 내세워 “안전” 주장


  남종영 기자 류우종 기자 김명진 기자  

  

» 전국 방사성 요오드 농도

  

지난 7일 제주에서 채취한 빗물의 방사성 요오드 농도는 1ℓ당 2.81베크렐(㏃/ℓ)이다. 연간 피폭선량으로 환산하면 0.045밀리시버트(m㏜)다. 엑스레이 한 번 찍을 때 노출되는 양(0.1밀리시버트)의 절반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안심해도 되는 걸까?
정부는 거듭 엑스레이 1회 노출량 등을 들며 안전하다고 강조하지만, 예방의학계에서는 다른 상황을 전제로 한 부적절한 비교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제주 빗물의 요오드 농도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한 먹는 물 기준치의 3분의 1에 육박하는 수치다.

세계보건기구는 먹는 물의 방사성 요오드 농도가 ℓ당 10베크렐을 넘으면 안 된다고 권고한다. 먹는 물의 피폭선량 한도도 연간 0.1밀리시버트 이하로 정해두고 있다. 이 선량에 1년 동안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1만명 가운데 1명이 건강에 영향을 받는다고 세계보건기구는 설명한다. 하지만 정부는 이 기준을 언급하지 않은 채 먹는 물을 포함한 다른 인공 방사선 노출량을 모두 합한 연간 허용치(1밀리시버트)와 비교하고 있다.

  

» 동일본 대지진 여파로 원전 사고가 잇따르면서 대규모 방사성 물질 누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학생사람연대 회원들이 10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 지하철역 주변에서 방사능과 원전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 해 방사능에 의해서 죽어가는 생명을 상징하는 상황극을 펼치고 있다.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지난 7일 전국에 내린 ‘방사능 비’의 요오드 농도는 세계보건기구 권고치(10베크렐)의 4분의 1에서 3분의 1 수준이다. 특히 남부지방 농도가 높아 ℓ당 △제주 2.81베크렐 △광주 2.69베크렐 △부산 2.49베크렐로 나타났다.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은 “비 올 때 정수장에 덮개를 덮고 소를 축사 안으로 들여보내는 등 공중보건상 사전예방조처를 적용해야 할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정부가 엑스레이 등 의료기기의 피폭선량을 들며 안전을 강조하는 것을 두고도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미나 단국대 교수(예방의학)는 “엑스레이와 컴퓨터단층촬영(CT)은 건강상의 손해보다 실익이 크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라며 “반면 방사능 낙진은 건강한 국민이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으로 둘을 비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최근 의학계에서는 방사선 검진기기와 암 발생률의 관계가 속속 보고되고 있다. 영국 암 발생 환자 가운데 0.6%는 엑스레이가 원인이라는 분석도 나왔고, 미국 소아과협회에서는 어린이에게는 컴퓨터단층 촬영을 피하라고 권고한다.

  

» 일본 후쿠시마 원전폭발로 유출된 방사능 물질이 섞인 것으로 보이는 비가 내린 7일 오전 서울 마포구 공덕동 공덕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커다란 우산에 비옷을 입고 마스크를 쓴 채 등교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주영수 한림대 교수(산업의학)는 “항상 같은 농도로 방사능 비에 노출되진 않기 때문에 수치화하기 어려워, 정부가 엑스레이 노출량과 비교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개인적 차원에서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사회의 절대적 위험도는 커지기 때문에 정부가 적절한 대책을 세우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방사성 요오드 검출량이 ‘원자력시설 방호·방재법’에 따른 먹는 물 기준(100베크렐)보다 훨씬 적으므로 안전하다는 논리를 편다. 하지만 이 법률은 국내 원자력발전소 사고 등 비상사태를 전제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적절한 비교 대상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환경정책기본법은 ‘방사능 오염’을 환경오염의 일종으로 명시하고 관리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정부는 시행규칙에서 세계보건기구 권고치 같은 ‘평시(환경성) 기준’을 정하지 않은 상태다. 환경부가 라돈 등 ‘자연 방사선’을 관리하고, 교육과학기술부가 국내 방사능 재해에 따른 ‘인공 방사선’을 관리하는 업무 분장이 이뤄졌을 뿐이다. 이러다 보니 외국 원전 사고 등에 대비한 관리체계는 거의 없다. 하미나 교수는 “이동경로 조사, 노출량 평가 등 사회적 관리를 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472305.html
IP : 180.68.xxx.10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후아유
    '11.4.11 2:16 AM (180.68.xxx.106)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472305.html

  • 2. 참맛
    '11.4.11 2:23 AM (121.151.xxx.92)

    지금은 괜찮지만, 1년 후는?
    지금부터 누적노출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해서 나중을 대비해야 하는데.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면 데이터가 있으면 그나마 치료에 도움이 될거 같은데, 왜 아직 방치하는지.

  • 3. ..
    '11.4.11 2:23 AM (125.57.xxx.22)

    1/3이면 여러 경로로 음식물을 섭취하니까 기준치를 0.1% 만 계산해야하고 아이는 성인의 20-30배 더 위험하니 기준치를 0.1% 더 줄여서 생각하면 많이 위험한거네요. 밑에글 읽고 환산해본 거예요.

  • 4. 긴수염도사
    '11.4.11 4:29 AM (70.27.xxx.145)

    핵분열시 나오는 방사능은 X-ray에 비해 독성이 무척 강하다.

    임산부, 특히 2-16주 사이의 태아가 과학자들이 안전하다고 주장하는 양의 100분의 1이라도
    모태를 통해 피폭되면 사산이나 기형 혹은 저능아가 될 확율이 아주 높다.

    또한 가임기 여성들의 몸에 축척된 방사능으로 인해 수년뒤 저능아나 기형아를
    출산할 가능성도 아주 높은데 이에 대한 연구나 통계자료는 찾아 볼수가 없다.

    IAEA등 핵에너지 비지니스 세력들이 막대한 돈을 들여 하는 로비 때문에
    각국 정부와 언론들은 일반인들에게 핵방사능이 인체에 얼마나 위험한지
    제대로 알리지도 않고 그 피해를 숨기기에만 바쁘다.

    핵방사능으로 인한 기형아를 낳거나 암에 걸려 죽어도
    어디가서 하소연할 데도 없고 보상받을 데도 없으니
    자신의 건강은 자신이 지키지 않으면 후회 막급한 삶을 살게 된다.

  • 5. 보라색울렁증
    '11.4.11 4:34 AM (121.124.xxx.98)

    그래서그런가..
    제주도 왜이렇게 수치가 높은지..ㅠ

  • 6. 내가 옳았어
    '11.4.11 6:54 AM (125.182.xxx.42)

    방사능 구름 온다는 양 이틀간 학교 안보냈습니다.
    정말이지...컴터 한다는 분들만 살아남겠네요.

  • 7. ㅇㅇ
    '11.4.11 7:22 AM (58.145.xxx.249)

    괴롭네요...

  • 8. 궁금이
    '11.4.11 7:36 AM (125.135.xxx.149)

    방사능구름이 언제 왔나요? --;

  • 9. 청산avec공자비
    '11.4.11 8:03 AM (123.99.xxx.182)

    그러게요... 누적되는 양을 피할수있을까요ㅡㅡ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9921 코오롱 상품권 25% 할인권.. 1 이해가..잘.. 2011/01/04 1,147
609920 불교계나 천주교쪽에서 이런일일어났음 말많은 개신교인들 난리났을꺼예요 ㅋㅋ 1 소림교회? 2011/01/04 505
609919 혹시 일산 스키복 대여할 수 있는 곳 있을까요? 2 스키복 2011/01/04 278
609918 이 옷 넘 웃끼지 않아요? 그 옛날 그 옷 21 생각나요 2011/01/04 10,836
609917 강동구 명일동쪽. 3 ... 2011/01/04 814
609916 박상은 의원 "백령도에 외국인 카지노 건립" 7 세우실 2011/01/04 472
609915 하이치올씨 드셔보신 분? 3 피부에 좋다.. 2011/01/04 596
609914 금연다짐합니다.. 3 금연성공기 2011/01/04 300
609913 올해어울리는~ 사랑이 2011/01/04 111
609912 우리나라에 호스티스 숫자가 14만명밖에 안되나요? 2 호스티스 2011/01/04 438
609911 님들 동네 교회도 다 이런가요? 7 님들아 2011/01/04 1,316
609910 닌텐도 (한국구입 - 호주사용) 3 호주 2011/01/04 228
609909 곧 6살 되는 우리 아들 좀 봐주세요 1 고민입니다 2011/01/04 373
609908 9시부터5시까지 가사도우미 금액이 얼마인가요?(서초) 7 ... 2011/01/04 1,144
609907 코스트코 상품권 살수있나요? 6 코스트코 2011/01/04 797
609906 팔이 움직이지 못할정도로 아파요. 9 아파요 2011/01/04 849
609905 7개월아가이유식~! 6 vow 2011/01/04 299
609904 무쇠길들이는 방법 좀 갈춰주세요 6 무쇠길들이.. 2011/01/04 673
609903 둘째 출산하고 허리아프고 어깨고 아픈데.. 출산 2011/01/04 121
609902 24시간 베이비시터+ 간단한 저녁식사 준비 해주실 분을 찾기 어려울까요? 7 우휴 2011/01/04 1,198
609901 장터의 dulce 님 연락 안되나요? ... 2011/01/04 280
609900 폭풍의 연인 스토리가 어떻게 되나요? 1 .. 2011/01/04 691
609899 가게에서 쓸만한 에스프레소용 원두 맛있는것 추천해주세요^^ 커피코피&#.. 2011/01/04 271
609898 너 나보다 어리지? 까불면 혼난다. .. 여섯살 아이가 이렇게 말하면.. 9 밉상 2011/01/04 792
609897 차에 연락처 붙일때요... 4 리자 2011/01/04 588
609896 강아지 배변훈련 도와주세요 ㅠ 4 궁금 2011/01/04 393
609895 닌텐도 위 쓰시는분~좀 봐주세요 11 닌텐도 2011/01/04 615
609894 엄마가 골절이라서 입원하셨어요. 2 수술은 4시.. 2011/01/04 390
609893 교육정보 나누는 엄마들 싸이트 아시는 분 2 한석봉엄마되.. 2011/01/04 788
609892 드라마 '락락락' 보다보니...예쁜 여자들은 동네건달들이 가만 안두는군요 2 드라마 2011/01/04 1,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