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과학자들이 답하는 '방사능비, 걱정해야하나?'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너무 걱정하지 말아라...이건데요.
방사능비때문에 걱정하시는 분들께서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82에는 방사능 관련해서는 괜찮다고 말했다만 엄청 공격받는 분위기라...글 올리기 조심스럽네요.
문제는 지금 당장 닥친 방사능비보다는 앞으로 식품 등이 오히려 문제가 될 것 같구요.
정부의 안일한 대처와... 만일 우리나라에 원전사고가 일어날 경우, 이에 대한 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이 더 심각한 것 같습니다.
[펌] 방사능 비? 과학은 거짓말하지 않는다 전달이 서투를 뿐이다
http://blog.daum.net/_blog/BlogTypeMain.do?blogid=0NovT#ajax_history_home
1. 방사능비
'11.4.8 1:19 AM (123.254.xxx.33)http://blog.daum.net/_blog/BlogTypeMain.do?blogid=0NovT#ajax_history_home
2. 참맛
'11.4.8 1:25 AM (121.151.xxx.92)여러 정보를 올리는 거야 누가 뭐라나요.
82의 고수님들이 다만 요상한 사람들이 물타기하는 거에 분노하는 거지요.
그라고 그 기사도 물타긴데요.
그 정도는 처음부터 여러분들이 정보를 올리셔서 알고 있는 거고,
정부가 여러 정부를 의도적으로 호도하는데서 분노하는 거고,
일도 제대로 못하는데서 더더욱 열 받는 겁니다.
그리고 원전 초기부터 여러 글들이 올라 왔는데요, 원전과 방사느의 위험도에 대해서는
원전산업관계 학자들과 의료관계 학자들과의 대립이 세계적으로 있다네요.
평시에는 둘 다 그냥 볼 수 있지만, 지금은 원전산업 관계자들의 의견은 무시하는게 이로운 형편입니다.
"조심해서 나쁠 건 없다!"3. 후아유
'11.4.8 1:48 AM (180.68.xxx.106)저 토론회가 정말 100%사실이면 참 좋겠습니다. 근데 얼마전 기사를 보니 원자력방사능 연구를 하
는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국제적인 협회에서 최근 나온 연구결과는 방사능수치에 안전하다는 수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하더군요.
뭐 저분들도 미국이나 다른나라에서 공부들 하셨겠지만 미국에서 원자력관련 연구를 하신 교수님도 같은 결론을 내렸고요.
제가 그 기사를 며칠전에 봐서 찾아올수가 없고요.
그리고 또 퍼오신 글에서 토론자를 보니 안전을 주장해온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일했던 일하는 분들도 꽤 있어서 좀 100%믿기엔 그닥 믿음이 안가네요.
우리나라가 국토대비 원자력발전소 수가 세계에서 1위라는 기사도 봤고요.
과연,,,원자력에 대한 거부감을 두려워하는 정부와 원자력관계자들에 말을 100% 믿어야 할지
잘 모르겠네요.4. 후아유
'11.4.8 2:04 AM (180.68.xxx.106)제가 위에 오늘 퍼온 기사 일부를 발췌.
----------------
보건의료단체연합(연합)은 6일 "내일 방사능 낙진 예보가 있다"며 "정부는 비를 맞지 말 것과 불가피하지 않은 야외활동 자제권고를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은 "미국 보건성은 방사선에 대해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노출되면 해롭다고 가정해야 한다는 지침을 내리고 있다"며 "극미량이라도 노출되는 양에 비례해 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지적했다.
전미연구평의회에 의하면 연간 100밀리시버트(mSv·1mSv는 1000분의 1Sv)의 전리방사선에 노출되면 100명당 1명이 평생 암에 더 걸린다. 이는 연간 1mSv에 노출되면 인구 1만명당 1명이 암에 더 걸린다는 결론이다.5. 음
'11.4.8 7:07 AM (58.145.xxx.249)안전하기때문에 조심하지않아도된다는거랑
어떻게 사태가 바뀔지모르고 미량이라도 미리미리 조심하고 대책을 세우는거랑
뭐가 나을까요
담당기관이나 국가가 전자를 택한다면 직무유기라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