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스텐인레스도 소재가 다른가요?
요즘에 3ply라고 나오는 것들.. 스텐+알루미늄+스텐 이렇게 3중으로 된 건... 아주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도 많이 나오는데요.
독일제 비싼 제품들 있잖아요. 그런 것들은 소재를 스텐18-10 이런 거 쓴다고 표기를 하네요.
스텐 냄비는 다 같은 줄 알았는데... 스텐도 다 다른 건가요?
비싼 게 그만큼 좋은 건가요?
- [요리물음표] 청국장은 냉장보관 안 .. 3 2009-11-04
- [요리물음표] 팥배기 보관법 알려주세.. 1 2008-12-15
- [요리물음표] 늙은 호박전 하는데.... 4 2008-11-02
- [요리물음표] 유리병에 든 씨겨자 어.. 5 2008-10-01
1. 사막여우
'08.3.27 9:13 AM스텐도 다 같은건 아니더라구요.
통삼중,통오중....바닥면만 3중인제품등등....
요즘 제품은 잘 모르겠는데 예전 제품들중에 18-8도 제법 있었던것 같아요.
제품이 묵직해 좋은 제품이구나... 생각하며 사용했는데 18-8 이였어요.
제가 살돋에도 올렸지만 오래 사용하다보니 스텐인데도 찢어 지더라구요..ㅎㅎ
저는 개인적으로 통삼중,통오중 제품보다
두툼한...묵직한 스텐 제품을 좋아합니다.2. J
'08.3.27 10:54 AM18-8, 18-10, 27종, 304스테인리스는 모두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단지 표현만 달리 한 것입니다.
나라마다 표기법이 조금씩 달라서 그렇습니다.
스테인리스는 워낙 수십종으로 다양하게 생산되는데
그중에서 이 304스테인리스가 가장 널리 쓰입니다.
304스테인리스는 냄비나 팬 등의 주방용품으로만이 아니라
건축용(외장재,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난간, 캐노피 등)이나
야외시설물(가로등, 보행도로 펜스, 어린이 놀이시설, 공중전화 부스 등)에는 물론
의료용으로도 쓰입니다. (특별히 의료용으로 만든냄비라는 것은 높은 가격을 설명하기 위한 과장광고입니다)
일단 스테인리스라는 재질은 그렇고요
그것이 냄비나 팬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클래드(통*중)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겹바닥(*중바닥)으로 만들어지기도 하는 것이에요.
열전도와 무게, 가격 등을 고려되기 때문에 대개 알루미늄와 함께(붙여져) 쓰입니다.
그러니까, 18-8 18-10 27종 304따위의 표현은 '재질'에 관한 이야기,
통삼중, 삼중바닥 따위의 표현은 제품의 '구조'에 관한 이야기,
이렇게 구분해서 생각하시면 많이 헷갈리지 않으실 거예요.3. J
'08.3.27 10:58 AM구조가 비슷하고 중량이나 재질이 같으면
브랜드나 가격대에 상관 없이 제품의 생산단가는 대동소이하며
(물론 생산성이 좋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들어지는 제품이 아무래도 단가가 낮아지게 됩니다)
음식을 끓이는 기능면에서의 품질은 다르지 않습니다.
차이가 난다면 표면처리, 끝마무리 정도입니다.
그 외에 가격차이가 나는 것은
브랜드 이름값, 유통비, 광고비 등이랍니다.4. 다발
'08.4.2 11:08 AM그럼 독일제나 국산제품이랑 재질은 차이가 없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