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저희집 전기료, 주범이 뭘까요?

| 조회수 : 2,304 | 추천수 : 5
작성일 : 2007-04-24 16:06:12
살돋에 전기료 얘기가 나와서 문의드려요..

저희는 신혼이구요, 10년된 26평형 아파트입니다.
26평형이라지만 방2개.
식구는 달랑 둘에 게다가 맞벌이.

이제 3번째 관리비 고지서를 받았는데요,
거의 300와트(맞나요? ^^::) 사용해서 3만원가까이 나오드라구요..
근데 제가 생각하기엔 많이 나오는것 같아서요..

저희 전기사용내역을 보자면..
⊙ 12인용 식기세척기 : 일주일에 2번정도사용
⊙ 세탁기 : 일주일에 2번정도
⊙ 비데 : 거~~~~의 꺼놓죠..(왜샀나 싶을때가 많아요..ㅋㅋ)
⊙ 전동칫솔 : 충전떨어지면 충전 시킬때만 꽂아놔요
⊙ 40인치 lcd tv : 하루에 많아야 2~3시간정도 봐요. 그 이하일떄도 많구요.
⊙ 실별등 :  동시에 이곳저곳 켜놓는일은 거의없어요.
⊙ 가습기 : 기관지가 엄청약해서 꼭! 키고자요.
⊙ 일월옥매트 : 이것또한 거의 꼭! 키고 자구요.
⊙ 컴퓨터 : 평균으로 따지면 하루에 한시간 정도?
⊙ 드라이기, 매직기 : 거의매일쓰는데 쓰고선 바로 코드 뽑아놔요.

대충 이정도인데 많이 쓰는편인가요?
제가 살림엔 영~ 아는게 전-혀 없어서 감이 안와요..
아, 그리고 신랑이 교대근무라서 어느날은 가습기랑 일월옥매트가 거의 24시간 틀어놓기도해요.
한달에 음..한 9일정도?
이거땜에 많이나오는건가..

어떻게 하면 전기료 줄일 수 있을까요?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별이야기
    '07.4.24 4:14 PM

    다른건 모르겠지만,
    가습기는 전기료 많이 많이 나와요.

  • 2. dkwnaak
    '07.4.24 4:15 PM

    와, 많이 전기사용 내역에 비해 많이 나오는 것 같아요.
    전 거기에 냉동고 김치냉장고 있어도 230 안짝으로 나오는데요.
    저희 집은 원글 님 댁과 비교해서 옥매트가 없어요.
    하루 종일 틀어놓으신다면 그게 주범 아닐까요?
    게다가 드라이어나 매직기는 코드 뽑아놔도 별 차이없는 물건 같구요.

    저라면 가습기 대신 자연 분수나 그런 전기요금 안드는 것 설치하고
    옥매트도 최소량만 쓰고 이불 덮어놓아서 여열을 이용해 볼 것 같아요.
    그리고 드랄이기도 머리 말리는 용도는 그냥 냉풍만 이용하구요.
    별 도움 못됐지요? 죄송.....하하

  • 3. 아이스라떼
    '07.4.24 4:27 PM

    열내는 전기제품이 전기 많이 먹어요.
    그리고 저희는 30평대 김치 냉장고 쓰는데도 300안넘거든요.
    웬만한 콘센트는 뽑아놓고, 스위치 되는 멀티탭 사용해서 안쓰는 가전은 멀티탭 스위치 꺼놔요.
    프린터, 오븐, 토스터, 오디오, 티비..
    그리고 화장실 불 잘 끄셔야해요... 남편과 제가 계랑기 보면 실험한 결과
    화장실 등, 컴퓨터... 계량기 쌩쌩 돌아요..

  • 4. 행복이당
    '07.4.24 4:30 PM

    옥매트 전기 많이 먹습니다. 혹시 깜빡하고 끄지 않고 출근하시면 팽팽 돌아가고
    가습기 혹시 순간 가열식이면 이것도 어마어마 합니다.

  • 5. fiz
    '07.4.24 4:36 PM

    가습기 전깃세 많이 나오나요?
    저희는 가습기 매일 켜고 자는데 가습기 사기 전이랑 큰 차이 없던데요.
    저희는 방 두개짜리 25평이구요.
    다 비슷하지만 원글님댁과는 달리 옥매트하고 식기세척기가 없어요.
    원글님댁보다 더 쓰는건 컴퓨터.. 노트북 한대는 하루종일(제꺼요. ㅋ) 남편 퇴근하면 저녁에 4-5시간 정도 한대 더 켜고.. 켜 놓는 시간 생각하면 이건 전깃세 별로 안나오나봐요..
    아, 그리고 전기오븐도 2, 3일에 한번 정도 한시간씩 트네요. 전기세 많이 나온다는 밥솥으로 매일 밥하고..
    이러고도 2만원 정도, 적게 나오는 달은 2만원에서 1, 2천원 빠지게 나와요.
    아무래도 원글님댁은 옥매트가 주범이지.. 싶은데요. ^^

  • 6. 비오는 날
    '07.4.24 5:28 PM

    가습기도 기능있는거는 많이 나온대요
    옥매트 많이 나오고요
    식시 세척기는 3일에 2번 정도 쓰니 3000원 더 나오던데요

  • 7. 비오는 날
    '07.4.24 5:30 PM

    참 전기료는 100와트 이상 되면 100단위로 많이 누진된다고 해요 오늘 물어보니

    그래서 200 이하랑 200이상이랑 차이가 많이 나 보이는 거에요

  • 8. Connie
    '07.4.24 5:32 PM

    다같은 제품이라 하더라도 각각의 전기사용량이 틀리면 전기요금도 틀려집니다. 저번에 불만제로 보는데 똑같은 냉장고인데 백화점이랑 홈쇼핑 파는 제품 뜯어놓고 비교하는데 안에 모터 자체가 틀려서 한달 전기료가 확 차이나던걸요. 그런 문제도 있으니 꼼꼼히 따져보셔야할 듯 하네요.

  • 9. 저우리
    '07.4.24 6:03 PM

    가열식 가습기는 엄청 전기 많이 먹더군요.
    혹시 냉온 정수기가 있나요?고것도 전기 어느정도 먹는다는군요.
    그리고 요즘 온열매트도 전기 많이 안먹던데요.
    전자제품들 안쓸때 콘센트 뽑아 놓는게 많이 도움 되는거 같아요.
    저는 세탁기,전자렌지,라디오,텔레비젼,세탁기,컴퓨터 등등 좀 귀찮아도 딱 쓰고는 뽑고 꺼놓습니다.
    냉장고와 김치냉장고 요거 두가지만 꽂혀있지요.
    요런 별난 절전정신 덕분인지 저는 32평인데 만원대로 나와요. ^^

  • 10. 젊은느티나무
    '07.4.24 6:10 PM

    몇가지 제가 알고 있는 것을 알려드리면요.
    사용하지않을때 뽑아놓아야 하는 것 - TV, 전자렌지, 밥솥의 경우에는 보온으로 하지마시고 끄세요.
    화장실 불끌때 팬도 같이 끄세요,(아, 이건 없을 수도 있겠어요...^^)
    기타 평상시에 사용하지 않는 전자기기는 왠만하면 다 뽑아두시구요.
    가습기의 경우 저희는 복합기인데 그리 많이 나온다는 느낌않들던데요.

  • 11. 스콘
    '07.4.24 7:26 PM

    헉.저희 집이랑 조건이 비슷하신데 2배로 나오시네요. 13,000~14,000원 나오거든요. 일단 저희집과 비교하자면 식구 수에 비해 좀 가전제품들 덩지가 크시네요. 식기세척기도 12인용, TV도 40인치..일단 여기서 좀 많이 나오는 것 같은데요..전동칫솔,매직기 등 은근히 가전이 많으신 듯 합니다. 콘센트는 절전형 쓰시나요?

  • 12. 골고루
    '07.4.24 8:36 PM

    티비가 범인인듯 합니다.
    저희 집과 비교하면 유난히 티비가 전기를 많이 먹는 듯한 ...

  • 13. 쿵쿵거리는
    '07.4.24 11:41 PM

    저희집도 옥매트 사용하는데 이거 사용할때와 안할때 전기료가 거의 5,000원 정도 차이납니다.
    밤12시부터 아침 8시까지 매일 사용하는 거 치곤 별로 안나온다고 생각되구요.
    tv도 42인치 lcd 보는데 생각처럼 많이 나오진 않더라구요. 더군다나 하루에 2~3시간 틀어놓는다면 그다지... ^^ 소비전력비교해보면 42인치 lcd tv가 29인치 브라운관 tv 2대 사용하는 것과 비슷해요.
    그러니 tv도 범인은 아닐거구요.
    가습기가 가열식(뜨거운 가습되는 것)이라면 소비전력을 한번 확인해보시구요.

    식기세척기도 온수를 수도꼭지 온수물을 바로 받아서 사용하는 건지 찬물만 받아서 세척기가 따뜻하게 데워서 사용하는 건지 확인해보세요. 찬물받아 따뜻하게 데워 사용하는 세척기라면 이게 전기 많이 잡아먹습니다.
    세탁기도 혹시 건조기능 같이 사용하시는 거라면 그게 또 전기 많이 잡아먹구요.

    사용하시는 전기제품 소비전력 쭈욱 한번 확인해보세요.

  • 14. 쥬만지
    '07.4.25 1:24 AM

    주범은 가습기와 옥매트입니다.

  • 15. 여유만만™
    '07.4.25 8:18 AM

    (원글이)

    여러고수님들, 감사합니다~

    일단 가장 얘기 많이 나온 가습기..
    가열식이 아닌 복합식이예요.. 저도 전기세 때문에 복합식 구입했거든요..

    그리고 온열매트는 신랑이 3교대여서 따로 잘 일이 꽤 있을것 같아
    일부러 반반 나눠서 쓸수있는걸로 구입해서
    신랑 혼자 잘때나 아님 저혼자 잘떈 한쪽만 켜서 사용하거든요..
    이게 혹시 1/2 사용하나 둘다 사용하나 별 차이가 없는건가..

    식기세척기요..
    동양매직인데요, 사용할떄보면 온수,냉수 선택하는게 있던데
    보통 냉수로 선택해서 돌리거든요.
    이렇게 쓰면 냉수가 들어가서 온수로 데워지는 건가요?
    어제 설명서 찾아봤는데 그부분은 얘기가 없더라구요..
    좀 알려주세요..

    담달부터는 어떻게해서든 꼭 2만원밑으로 줄이고 싶어요..

  • 16. 핑크홀릭
    '07.4.25 11:00 AM

    티브이, 옥매트, 형광등이 주범인듯..

    저희집은 37평 전업주부에 아이 하나. 12인용 식기세척기 주 3회정도, 트롬 격일로 삶음코스, 가습기, 노트북 3~4시간 이용 인데 28,000원 정도 나오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2729 카시트 추천 부탁드려요~ 1 여유만만™ 2007.04.25 806 1
22728 어린이집에서 할 생일 파티 인데요 ^^ 2 잘살아보세 2007.04.25 852 1
22727 빌레로이 그릇 추천해주세요.. 6 띵굴댕굴 2007.04.25 1,806 6
22726 진공포장기구입해도 돼나요? 순진녀 2007.04.25 776 4
22725 광주요, 아올다 그릇 싸게 구입가능한 곳 문의요 (대구) 2 연주 2007.04.25 1,218 7
22724 코스트코 케이크 맛이 어떤가요? 11 발상의 전환 2007.04.25 4,170 13
22723 트롬세탁기... 삶는 기능이 만족스러우신가요? 14 유노 2007.04.25 3,889 20
22722 아이스크림 메이커 괜찮은가요? 1 얄루~ 2007.04.25 1,264 26
22721 후라이팬 용도로 사용할 롯지 제품 추천해주세요 2 요리공부 2007.04.25 1,536 42
22720 스위스에서 사올만한 물건이 뭐가 있죠? 2 내파란하로 2007.04.25 1,489 5
22719 건조기 추천요~~~ 6 헤레나 2007.04.25 1,286 16
22718 옷장 냄새 제거법? 정경숙 2007.04.25 1,225 16
22717 24평 집에 32인치 티비에요..낮은거실장 무리일까요? 2 최뿡순이 2007.04.25 2,355 25
22716 예전 빅마마 키친에서 빅마마가 하고 나온 한쪽 어깨 끈만 있는 앞치마 아시는 분! 2 이효- 2007.04.24 2,945 3
22715 미니믹서기^**^필립스와한일,,,어떤걸로,,, 6 물망초 2007.04.24 2,744 65
22714 미싱하실줄아는분 봐주세요 4 순진녀 2007.04.24 1,083 2
22713 르크루제..제일 많이 쓰시는 사이즈 11 키키 2007.04.24 3,360 20
22712 알러지케어와 무세제세탁기 4 박선영 2007.04.24 2,014 4
22711 다림질 잘하는법좀가르쳐주세요. 2 하이킥™ 2007.04.24 1,216 3
22710 새아파트에 가전제품 옵션으로 주어지면 쓰시던 제품들은 어찌들 하시나요? 3 마쉐리~ 2007.04.24 1,598 40
22709 저희집 전기료, 주범이 뭘까요? 16 여유만만™ 2007.04.24 2,304 5
22708 아이스박스 얼만한게 쓸모 있을까요? 3 웃어요 2007.04.24 924 4
22707 WMF 퍼펙트 압력솥 모양에 따른 명칭 잘 아시는분.... 3 송이삼경 2007.04.24 1,110 6
22706 세탁기 먼지 4 박물관고양이 2007.04.24 1,356 16
22705 드럼세탁기에 세제 넣는법좀 알려주세요~ 2 맛이좋아 2007.04.24 14,416 6
22704 인조가죽 소파 닦을려면...? 똘똘이맘 2007.04.24 887 30
22703 롯지 콤보랑 튀김냄비요.. 둘 다 필요할까요? 4 쭈니마미 2007.04.24 2,485 2
22702 빨래솥 어느것 쓰세요? 11 이미라 2007.04.24 1,744 3
22701 실내공기정화용으로 썼던 대량의 숯 어찌 처치하나요? 1 뽀미언니 2007.04.24 953 3
22700 유리피쳐랑 라탄매트 어디 파나요?? 2 국제연금 2007.04.24 93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