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스텐 냄비 사려는데요..
밑에만 삼중인게 국끓일때도 나쁜점이 있을까요??
글을 쭉 읽어보니 통3중이 다들 좋다고 하셔서요...
- [식당에가보니] 삼성 보노보노 비추에요.. 1 2012-12-19
- [요리물음표] 삼계탕할때 현미를 넣으.. 3 2008-07-12
- [요리물음표] 튀김요리를 어디 가져가.. 2 2008-06-18
- [요리물음표] 쭈꾸미 고추장 볶음 해.. 2 2008-04-27
1. 박인숙
'05.8.15 4:16 AM저는 조금은 비싸지만은 "컷코"냄비를 강~~~추
한 번 장만해서 오래쓰면은 좋은것같아요
저도 큰 셋트로잇는데 모두 바닥이 5중이라서 음식이 빨리되고해서
시간도 단축되는것같아서 좋아요~~~~2. 황윤선
'05.8.15 7:15 AM저는 통삼중보다 옆이 얇은 냄비가 대류가 더잘된다고 알고있어요 우리나라에 제일 비씨게 소개되었던 AMC냄비도 옆은 얇고요 Zepter,실가냄비도 모두 옆은 얇아요 특히 실가는 통판에서 옆면을 일부러 깍은거래요 대류 때문에요
3. 풍뎅이
'05.8.15 9:10 AM3중냄비라면 암웨이 퀸쿡을 추천합니다. 3중이라 열이 골고루 전달되어 물과 기름을 적게 사용하는 건강식 요리가 가능해요. 웰빙시대에 맞는 냄비랍니다.
4. 파란마음
'05.8.15 11:33 AM바닥만 3중이나 5중인 경우는 옆면이 타기 쉽죠.
통인 경우는 다른 분들의 말도 그렇고 제가 얼마 안 써 본 경험이지만
고기나 야채 같은거 볶을때 옆면만 타는 일은 없는것 같아요.
바닥과 옆면 모두 같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때문인것 같습니다.5. J
'05.8.15 11:50 AM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볶거나 조리거나 하는 데는 전혀 쓰지 않으시고 국물을 퍽퍽~ 끓이는 용도만으로 쓴다면
굳이 통구조(클래드) 냄비를 써야할 필요가 아주 크지는 않습니다.
물론, 통구조가 열전도가 더 좋아서 더 빨리 끓기 시작하고, 오래 끓이고 난 뒤에도 냄비 옆면이 덜 지저분해지고,
그렇기 때문에 닦을 때에 더 쉽고 대체적으로 수명이 더 길다는 점은 여전히 클래드냄비의 장점이지만
오직 국물만 끓인다면 아주 큰 차이점은 못 느끼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클래드 냄비 중에 뚜껑이 저수분용으로 된 것들이 많은데
국물을 끓이는 요리에서는 굳이 그런 뚜껑이 필요 없다는 점도 한가지 이유이기도 하답니다.
(저도 국물을 펄펄 끓여야 할 경우에는 일부러 저수분이 안되는 유리뚜껑을 찾아 덮기도 해요)
꼭 클래드 냄비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면 실가(레슬레) 같이 전체적으로 두껍고 특히 바닥이 더 두꺼운 냄비들은
국을 끓였을 때에, 특히 사골국같이 진하게 우러나는 국물을 끓여낼 때에 더 맛이 깊이 잘 우러납니다.
그러니까, 클래드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웬만큼 두툼해야 국물 끓이기에 좀더 좋은 냄비가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물론, 맛에 민감하지 않거나 그냥 '끓기만 하면 되지 뭘'이라는 생각을 가지신 분들에게는 아무런 차이가 안 느껴지실 수도 있다는 걸 같이 알려드려요. 어찌보면 참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문제이기도 해서요..^^
하지만 많이 무겁다는 것이 어떤 분들에게는 결정적인 약점이 될 수가 있지요.
무거운 냄비를 결국 잘 사용하지 않고 기피하게 되는 경향이 강한 우리나라 주부들에게는 더더욱이요.
(그런데 위의 황윤선님께는 죄송하지만....실가가 옆을 깍아내었다는 말은 금시초문이고, 그럴 리는 없답니다. -.-
일부러 깎아낼 것을 왜 처음에 두껍게 만들겠어요. 비용면에서나 효율 면에서나 넌센스이지요.
실가는 한 겹의 통판 스테인리스에 바닥을 덧붙인 냄비가 맞습니다.
다만 그 한겹짜리 통판이 무지 두껍고 바닥에 덧댄 판도 엄청나게 두꺼운 것이 특징이지요.
그리고, 열전도는 아무래도 클래드에서 더 높은 것도 사실이고요.
클래드가 아닌 두꺼운 냄비가 열을 받으려면 당연히 시간은 더 걸린답니다. ^^ )
원글님께 정리해서 말씀드리자면.....
클래드 냄비의 장점은 많습니다만...그렇다고 해서 바닥을 붙인 냄비들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더구나 두툼하게 나온 고급품들은 비록 무겁기는 하지만..좋은 제품들도 많습니다.(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그 차이점을 잘 느끼고 특성에 맞게 잘 사용하시는 분에게는 조그만 차이도 아주 큰 것이 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분에게는 아무것도 아닐 수도 있는 것이죠.
국물을 끓이기 위한 냄비로 반드시 클래드 냄비를 써야 하느냐 마느냐는 그래서
네, 아니오라는 단편적인답으로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어서 자세히 쓰다보니 줄줄이 길어졌네요. ^^6. 키위
'05.8.15 1:59 PM..너무 무거운 건 사지마라고 권유 .씻고 들고 자주 하다보면 손 목이나 어깨에 무리가.. 첨엔 모르고 살았는데 어느 날 팔꿈치-테니스 장 옆에도 안 갔는데 병명은 테니스 엘보! 라고 하더군요.치료 받아도 잘 낫질않고 나중엔 포크오 밥을-젓가락질도 힘들어서죠. 원인은 제 생각에 본인도 모르게 무거운 조리 기구 사용하고 여러 생활 속에..무리가 있었던것 같아서요.원래 어깨 힘이 약하긴해요. 살림 무거운 건 절대 비추
7. 키친에이드
'05.8.15 4:56 PM저두 무거운건 잘 안쓰게 되네요
곰솥을 하나 살려고 하는데 이번엔
그냥 국산으로 가볍고 디쟌 이쁜걸로 사려구요
이것저것 골고루 써봣는데 비싸고 소위 명품이란걸
써도 요리가 더 맛잇어지진 않네요
암것도 모르고 막쓰던 옛날이 더 맛잇엇는것 같아요8. 아짐
'05.8.16 12:42 AM너무나 자세한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많은 공부가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