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휘슬러 압력솥이랑 wmf압력솥 고민중인데요...어느것이더 좋은가요?..밥맛/ 기능..

| 조회수 : 6,959 | 추천수 : 30
작성일 : 2005-06-18 01:40:23
써보신분들 의견 궁금하구요...또 휘슬러 솔라시리즈랑 모양이 똑같은데 무늬가 없는제품도 있던데 ...정말로 무늬만 다르고 기능은 솔라시리즈와 같은지요?...에궁....압력밥솥 하나 사려구 무지무지 알아보는중입니다.....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황채은
    '05.6.18 2:08 AM

    저는 개인적으로 둘다 써봤는데 wmf가 더 나은것 같아요 또 휘슬러 보다 세계적으론 wmf 가 더
    인지도도 높고요

  • 2. 느리게걷기
    '05.6.18 6:44 AM

    솔라시리즈는 독일에서 수출용으로 제작되는 제품이에요. 독일에선 서울에서 흔히볼수있는 땡땡이 솔라시리즈는 실제 없답니다. 무늬없는 제품만 있지요. 무늬있고,없고의 차이입니다.
    그리고 독일에서도 WMF가 휘슬러보다 더 쳐줍니다.

  • 3. 조세핀
    '05.6.18 10:48 AM

    WMF가 Perfect를 말하는 것인가요? 저는 휘슬러와 퍼펙트 2개의 압력솥을 크기별로 가지고 있는데, 밥맛으로만 보면 단연 휘슬러가 최고구요. 퍼펙트는 휘슬러보다 밥맛은 절대 떨어지지만 시간이 덜 걸려요. 식구가 적어서 퍼펙트는 아주 작은 사이즈고 휘슬러는 중간사이즈인데, 손님들 올때 휘슬러에 밥하면 저는 가장 싼 쌀을 사고 먹는데도 쌀이 어디거냐면서 다들 물어볼 정도로 밥맛이 좋은 것같아요. 퍼펙트는 그런 정도까지는 아니고 밥이 스피디하게 잘 되는 정도구요.

  • 4. morihwa
    '05.6.18 11:39 AM

    어쩌다 보니 압력솥이 3개가 있는데 누룽지 눌리고 밥해 먹기엔 , 국산 경질 압력솥(검은것)이 제일 좋은것 같아요.

  • 5. Terry
    '05.6.18 5:11 PM

    제가 봐도 밥이 잘 되는 용도로는 휘슬러가 나은 것 같아요. 친정엄마가 압력솥 광팬이시라서
    시집올 때 WMF 작은 압력솥과 휘슬러 중간 크기 압력솥을 사 주셨었죠...

    엄마가 지은 휘슬러밥맛은 정말 일품이죠. 엄마가 권장하는 방법으로 하면 절대 지나치게 차지게 되지 않아요.. 물론 찰진 밥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보통으로만 해도 좋으시겠지만요.

    근데.. 저는 밥은 일제전기밥솥 (히타치 IH)에 주로 해 먹으니 우리 엄마 헛 돈 쓰셨죠? ^^
    제가 밥은 어떻게 하면 알알이 떨어지나를 연구할 정도로 고슬한 것만 좋아해서리~

    요즘은 쟈스민라이스를 구입해서 맛의달인 버전으로 해 봤더니 맛있더만요.
    일단 물에다 20분 쯤 끓여서 체에 받쳐서 반쯤 익은 밥을 냄비에 앉혀 뜸을 들이는 방법이요..
    고것이 바로 동남아식 정석 밥짓기 방법인데 일본이 전기밥솥을 개발한 이후로 동남아도 편리한 전기밥솥 바람이 부는 바람에 밥맛이 옛맛을 잃었다더군요. 원래 안남미를 짓는 방법은 울나라나 일본쌀처럼 끈적한 쌀을 조리하는 방법과는 다르게 해야 맛이 있대요.

    울나라 쌀로는 별 짓 다 해 보고 있답니다. 버터에 한 번 볶은 후 밥을 해 본다든지... (칼로리 엄청 높겠죠? ^^)

    왜..저는 한국사람이 그렇게도 끈적한 쌀이 싫은지....어릴 때부터 그랬는데...쪼매 이상합니다...

  • 6. 정원사
    '05.6.18 6:03 PM

    밥맛은 휘슬러가 좋지요?
    그런데 terry님 처럼 밥이 맛있다는 것도 나라차 개인차가 있더라구요.
    울 아들놈도 terry님 처럼 순종이면서 차진 밥을 아주 싫어한답니다.
    아마도 서양쪽처럼 차진 쌀을 소화시키는 그 분해효소(뭐더라^^?)가 없이 태어났나 봅니다-.-

  • 7. 용감씩씩꿋꿋
    '05.6.18 11:47 PM

    테리님
    어머님의 밥 짓는 방법을 여쭤봐도 되나여? 민망, 조심조심--;;

  • 8. Terry
    '05.6.23 9:56 AM

    리플을 너무 한참 있다 봤네요.

    엄마는 일단 30분 이상 쌀을 불려서... 압력솥에 물을 밥 위로 6밀리 정도 올라오게 잡으세요. (3컵 기준)
    그리고는 불을 센 불로 켜서 눈금이 두 단이 올라오면 바로 불을 끄지요. 그리고는... 추가 다 내려오길 기다렸다가.. 추가 다 내려오면 바로 뚜껑 열지 마시고 5분 정도 뜸들이는 기분으로 더 놔둔다음 뚜껑을 열어요. 포인트는...절대로 추가 오바로 올라오게 하시면 안 됩니다. 그럼 떡밥되요.
    추가 올라오기 시작하면 지켜섰다가 두 단이 올라오면 바로 끕니다. 잘못해서 세 단쯤 올라오면 강제로 압력을 미리 조금 빼시더군요. 압력이 너무 세면 밥이 밑으로 착 가라앉고 회색빛 도는 이상한 밥이 됩니다. 그게 국산 풍년 압력솥과 독일제 압력솥의 이용방법상의 가장 큰 차이인 것 같습니다.

    답변이 너무 늦어서 쪽지 드릴 께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8339 82cook home page 에 덕두원 2005.06.20 1,181 5
8338 애니백 공구하는 진공기 받아보신분 있으신가요 5 민성맘 2005.06.20 1,020 2
8337 아기들 샴푸할때 머리에 쓰는 캡 9 아름이 2005.06.20 1,372 3
8336 질문있습니다.^^ 1 재현사랑 2005.06.20 723 10
8335 원래 제빵기 요구르트가 요구르트제조기꺼랑 다르게되나요? 5 dmsdi 2005.06.18 1,501 1
8334 아미쿡 공구 언제하나여??? 2 로미 2005.06.18 1,386 3
8333 호주산 양모이불 뭐가 좋아요? 2 영맘 2005.06.18 1,391 14
8332 핸드믹서기염.. 4 우렁이 2005.06.18 1,230 3
8331 매실 담그는 그릇 소독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7 또욱이 2005.06.18 3,685 1
8330 제빵기 말인데요 2 스카이라이프 2005.06.18 899 5
8329 아이온스타일 분들.. 5 정원사 2005.06.18 1,350 1
8328 락앤락에서.. 9 바쁜그녀 2005.06.18 1,851 2
8327 전자레인지와 전기오븐 7 모이 2005.06.18 1,229 2
8326 운틴가마솥 전골팬과 전골냄비 고민입니다 11 깽굴 2005.06.18 2,192 4
8325 요거트제조기 추천해주세요 6 nami 2005.06.18 4,132 3
8324 테팔오븐이요... 짜장 2005.06.18 828 3
8323 휘슬러 압력솥이랑 wmf압력솥 고민중인데요...어느것이더 좋은가요?..밥맛/ 기능.. 8 준이맘 2005.06.18 6,959 30
8322 암웨이제품이 그렇게 다 좋나요? 23 yaibora 2005.06.17 12,567 4
8321 씽크대위 수납장 뭘로 닦으세요? 3 수풀 2005.06.17 1,707 2
8320 아미쿡 vs 휘슬러 (넘 급해요. 코팅부스러기 먹고있는 중이거든요 -.-) 2 유하 2005.06.17 1,774 1
8319 카라 화이브센스 받았는데요...(사진무) 2 이프로 2005.06.17 1,007 1
8318 식기세척기에서 물샌 경험 있으신분 9 일리 2005.06.17 4,725 2
8317 심영순 향신제품에 관해서요. 49 엘리사벳 2005.06.17 2,091 1
8316 새로나온 엘지 놀이방매트는 냄새 안나나요? 3 꼼히메 2005.06.17 1,001 2
8315 락앤락에서 나온 제빵용기 사용하고 계신분? 7 망구 2005.06.17 1,390 2
8314 드롱기 RO-190 2 메이 2005.06.17 1,476 1
8313 카라오븐 용기 1 애니 2005.06.17 1,167 3
8312 이마트 캐쉬백 할인쿠폰 써보신분? 6 헤베 2005.06.17 1,280 4
8311 제가 저렴하게 집을 잘 고친걸까요? 14 웃음의 여왕 2005.06.17 2,523 1
8310 또 질문.. ^^;; 가전배치.. 2 홀로살기 2005.06.17 1,05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