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조문 다녀온후 언제 신생아보러 갈수있나요?

궁금맘 조회수 : 8,026
작성일 : 2011-10-14 18:41:08

제동생이 어제 아기를 낳았습니다.

근데, 남편 직장 같은 팀 동료가 장인상을 당해서 어젯밤에 조문 다녀왔어요.

같은 팀원인데다 남편이 팀장이니 꼭 다녀와야할 상황이었고,

동생아기는 나중에라도 볼수있으니 다녀오라고 하고, 저만 어제 동생이 있는 병원에 다녀왔어요.

 

저희야 종교도 없고 이런저런거 따지는것은 없지만,

동생네 시부모님 생각은 다르실지도 모르니... 여기 언니들께 여쭤봅니다.

 

조문다녀온뒤에 신생아를 바로 보러가는것은 좋지 않다고 하시는것같던데,

며칠쯤 지난후에 다녀와도 될런지 여쭤봅니다.

주말에 갈수 있음 좋을텐데 말이예요...

 

 

IP : 175.114.xxx.20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1.10.14 6:43 PM (211.237.xxx.51)

    저같으면 조문 같은거 상관없이 언제든지 아기 보러 오라고 하겠지만..
    뭐 동생네 시부모님 생각이 다르다니;; 동생분께 물어보세요.
    임산부도 뭐 장례식장 가면 안된다 하지만 다 가잖아요. 무슨 상관일까;;;

  • 2.
    '11.10.14 6:52 PM (115.136.xxx.27)

    저같음 그럼 3, 7일 지나고 가겠어요. 원래 미신으로 그때까지는 아이 보여주는 거 아니라잖아요. 물론 조문하고는 다르지만 어쨌든요.. 동생한테는 이유를 저렇게 말해주구요..
    자기 아이 생각해서 그렇게 해주는 거니 동생이 전혀 노여워하거나 서운해하지 않을거 같아요.

    아무리 미신이라고 하지만. 본인이 찝찝하거나 걸리는게 있다면 저렇게 해주는게 좋지 않을까요?

  • 미신이 아니라
    '11.10.14 7:16 PM (121.138.xxx.172)

    옛날전통은 모두 미신이라고 생각하게 만든 요즘 교육이 문제군요
    그건 미신이 아닙니다 면역력약한 아가를 보호하기위한거죠 금줄친것도 그런 이유구요
    가릴것없이 행동하는것이 합리적인것처럼 잘못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옛말에 그런 말이있으면 어떤 이유가 있지않을까 한번쯤 생각해보는 게 필요합니다
    상가엔 온갖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곳입니다 그곳에 나쁜 병균이 얼마나 많겠어요
    가까운 사이라고 아무때나 가도 되는 거이 아니라 아가를 우선으로 생각해야합니다

  • 3. 저희도
    '11.10.14 7:06 PM (114.206.xxx.66)

    신랑이 우리 아이 낳았을때... 100일전에 친한친구형 상가에 다녀왔었는데요..
    들어가진 않고 밖에서 친구만 보고 왔었는데도 ..친정부모님이 모라고 한마디 하셨어요.
    집에 들어올때 소금뿌리고 그랬었는데요...
    미신이라도 왠지 찜찜하니까요...

    상가집다녀왔다고 말하고 좀 천천히 가세요.

  • 4. 큰애삼칠일에아빠돌아가셔서
    '11.10.14 10:57 PM (115.143.xxx.81)

    저 조리원 나와 친정간 다음날 아빠 돌아가셨어요

    전 몇시간씩 빈소 지키다가 바로 집에 와서 애보다가 다시 빈소가고 그랬습니다 -_-;;
    제 상황상 계속 빈소를 지키지 못해 아직도 죄송한 마음이 더크고요..
    소금뿌리니 나쁜귀신 뭐 그런 생각도 안났습니다...
    우리아빠니까 손자 잘 지켜주실꺼야 뭐그런 생각하고^^;;;

    큰애 잘 크고있구요...너무 특수한 상황을 말씀드린건가요??

    님이 다녀왔으니 다음에 가도 되지 않을까 싶네요..
    동생이니깐 사실대로 말해도 크게 문제될것 같지 않은데요..

    어제 언니도 왔는데 내일 또 형부도 오면
    출산한지 하루된 산모가 더 불편하지 않을려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240 아이팟 쓰시는 분~ 4 질문 2011/10/18 2,788
26239 반신욕을 아침에 해도 괜찮을까요? 4 반신욕 2011/10/18 11,179
26238 60대친정엄마 선크림요~~ 4 친정엄마 2011/10/18 3,854
26237 호박고구마 어떻게 보관해야 하나요? 5 주부 2011/10/18 3,320
26236 생각하는 피자 1 생각하는 피.. 2011/10/18 3,418
26235 이제야 알게된 도니돈까스?? 11 ^^ 2011/10/18 5,198
26234 (급질-영문학)Edgar Allan Poe의 시 중에 Persp.. 8 찌망 2011/10/18 2,613
26233 약 안먹고 음식으로 하는 방법은 없나요?? 7 숙변제거 2011/10/18 3,230
26232 보증금 대출받은 월세입자 만기전 이사하는데 괜챦을까요?.. 2011/10/18 3,013
26231 분당,용인근처 매장알고계신가요? 중고차팔때 2011/10/18 2,389
26230 박원순을 지켜주세요. '다르지 않네'라는 꼼수에서 8 우언 2011/10/18 3,024
26229 간단한 영작 하나만 부탁드려요.. 3 저한텐어렵네.. 2011/10/18 2,430
26228 딸아이 겨울점퍼를 세탁기에 넣어서 버렸어요 ㅠ.ㅠ 4 하트무지개 2011/10/18 3,688
26227 복도식 아파트 끝집 어때요? 15 질문 2011/10/18 15,033
26226 참깨요 1 기름을짤까깨.. 2011/10/18 2,717
26225 후쿠시마 앞바다 방사능 오염정도 충격적.. 꼭보시길.. 3 닭털K 2011/10/18 3,596
26224 m2를 평으로 환산 6 간편 계산법.. 2011/10/18 3,541
26223 초1 여태 얘기없으면 중간고사 안보는거죠? 7 헉... 2011/10/18 2,754
26222 캠핑장 좀 알려주세요~ 5 ^^ 2011/10/18 2,935
26221 물질이 좋긴 좋은가 봐요.. 1 와인 2011/10/18 2,588
26220 공황장애로 입원했대요... 18 김장훈 2011/10/18 12,656
26219 네번째 손가락 2 아픔을 참고.. 2011/10/18 2,796
26218 오늘 오후에 부산코스트코 가시는분 계세요? 꼬마섬 2011/10/18 2,886
26217 파프리카 오래 먹을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4 .. 2011/10/18 4,875
26216 가르시아나...그리구 CLA라는거요~~~**; 1 궁금맘 2011/10/18 6,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