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물 어떻게 드세요?

외국살다와서리,,,,, 조회수 : 2,452
작성일 : 2011-10-09 18:45:23
외국어는 그냥 브리타정수기 필터교환하며 쓰고 살다가얼마전 한국왔어요지금은그냥 마시는건 생수 사다 마시는데밥물이나 국찌개 과일 씻고,,,,뭐 그럴땐 수돗물 그냥 사용해요주변에선 정수기나 알카리이온수기 이런거 사서 쓰라는데요뭘 골라야할지 고민이네요님들은 수돗물 그냥 사용하시나요?아님 어떤걸 쓰고 계신가요?좋은물 먹고싶어요건강위해서요
IP : 175.210.xxx.158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
    '11.10.9 6:47 PM (175.210.xxx.158)

    아이패드라 오타났네요
    띄어쓰기도 안되고 올려졌네요 ㅡ,ㅜ

    외국어는 ㅡㅡㅡ외국에서는
    으로 고칩니다

  • 2. 제경우
    '11.10.9 6:57 PM (61.78.xxx.215)

    코스트코 갈때마다 5박스정도 사옵니다..
    거기 생수값이 워낙 싸잖아요..(2리터짜리 6개 1박스가 2,190원인가..)
    그거 사면 몇주 충분히 버팁니다..
    만원정도에 몇주를 쓰면 실어 나르기가 좀 귀찮지 정수기 설치하는 것보다
    어쩌면 더 저렴합니다.
    정수기는 안써봐서 모르는데 필터값이니 뭐니..비용이 많이 드는 것 같고..
    그리고 수돗물이 잘 정수가 되는지도 좀 의문이고...(제생각입니다.)

    설겆이나 씻는 것은 수돗물도 하지만 밥물이든 국이든 먹는 것은
    무조건 생수를 사용합니다..

  • ㅜㅜ
    '11.10.9 7:08 PM (175.203.xxx.127)

    플라스틱에서 환경호르몬 안나오나요?

  • 3. 요건또
    '11.10.9 7:08 PM (182.211.xxx.176)

    저희도 처음 귀국했을 때는 정수기 문제로 고민 많이 었었는데, 당시 아이들이 너무 어려 정수기 관리가 쉽지도 않았고 온수는 아이들에게 위험할 수도 잇고해서, 그냥 외국서 하던 식으로 하고 삽니다.
    브리타 정수기 그냥 쓰고요, 마시는 물은 브리타 정수기 물을 무선 주전자에 끓여서 어느 정도 식으면 냉장고에 넣어두고 마시거나 생수 사서 마십니다.
    생수는 외국에선 볼빅이나 에비앙 마셨기에 처음 귀국해서는 마시던 것만 마셨었는데 친구들 집에 가니 거의 삼다수 먹길래 삼다수 사다 마시기 시작했었습니다.

    정리하면, 일반 야채나 쌀 씻는 물등 헹굼물과 국이나 찌개 물 등은 기존의 브리타 정수기 물로 쓰고요,
    마시는 물은, 브리타 정수기 물 끓여서 식힌 물이나 삼다수 등등 일반 생수 물 혼용해서 마십니다.
    정수기 필터 관리나 정수기 전기 요금 등등을 신경 쓰지 않으니 속 편해서 큰 변동이 없는 한 앞으로도 이렇게 하려고 합니다.
    다만, 저희 아파트가 연식이 좀 된지라 혹여라도 녹물이 나온다면 수도에 설치하는 필터를 끼든가 연수기 설치 하든가 혀고 합니다. 그렇게 해도 식음용은 브리타 정수기와 생수 혼용으로 나가겠지요.

  • 4. 무크
    '11.10.9 7:09 PM (118.218.xxx.197)

    마시는 물은 브리타로 거른 물 루이보스티 끓여 마시고요, 음식할 때도 브리타로 거른 물 쓰지만, 야채나 과일 씻을 때 그냥 수도물 쓰네요

  • 5. 그냥
    '11.10.9 7:45 PM (121.147.xxx.151)

    팔팔 끓여 먹습니다..
    환경공학과 교수인 남편이 관리 잘못하면 헛거라고
    차라리 수돗물 끓여먹는게 제일 편하고 믿을만한 거라 누누히 강조해서리~~

  • 6. 그냥
    '11.10.9 7:47 PM (121.147.xxx.151)

    우리나라같이 좋은 식수를 갖고 있는 나라가 전세계에 드물다고
    헌데 명바기 썪은 물 만드는 보때문에 앞으로 모르겠군요.
    아직은 열심히 끓여먹습니다.
    야외 나갈때는 생수 챙기지만
    생수가 제 입에 안맞더군요...보리차가 최고네요^^

  • 7. .....
    '11.10.9 8:02 PM (124.54.xxx.43)

    저희집은 오랫동안 보리차 끓여먹었는데 귀찮아서
    냉 정수기를 들여놨건만
    남편이 보리차 끓여달라고 해서 보리차 먹네요

  • 8. 저도
    '11.10.9 8:10 PM (36.39.xxx.240)

    보리차에 길들어져있어서 생수는 먹기싫어서 생수사다놓고도 보리차끓인답니다

  • 9. 샐리
    '11.10.9 8:49 PM (218.39.xxx.38)

    우리나라 물 좋지 않나요? 서울 수돗물 아리수 괜찮은 거 같은데요. 식수를 보릿물로 끓여 마시고
    나머진 수돗물 사용해요. 정수기도 설치 돼 있지만 ...
    유럽 같은 경우 석회물 때문에 생수나 많이들 먹지요. 생수도 잘 따져서 문제없는 브랜드 드셔야 해요

  • 10. 원글
    '11.10.10 9:54 AM (175.210.xxx.158)

    답변 감사합니다

    브리타 다시 써야겠네요,,,,,,

    귀국 이사하며 버리고 왔는데,,,,,,ㅡ.ㅡ
    다시 사야겠네요

    이온알칼리수가 건강에 좋다고 주변 지인들이 그러길래
    검색했는데,,,,,
    종류도 많고

    가격도 너무 고가에
    무엇보다
    그 효과나 위생관리가

    과연 얼마나 좋을런지 고민되더라구요

    게다가 방사능오염도 걱정되구요
    일단 브리타 다시 사러갑니다^^

  • 11. 밍여사
    '11.10.10 12:12 PM (210.222.xxx.221)

    삼다수 한 8년 먹다가 너무 비싸서 브리타로 바꿨어요.
    왜 진작 안바꿨는지 후회될 정도로 물맛이 좋고 편하고 돈 안들고 재활용버릴거 없고
    심지어 나물이나 국수 데칠때도 이 물 사용하고 너무 좋아요.
    필터 원리가 그리 어려울거 같지 않은데 왜 우리나라는 이런 좋은 정수기가 없는지 안타까워요.
    전 평생 쓸거 같네요 지금같아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342 분당 이매동이나 야탑 쪽에 수학전문학원 있으면 알려주세요 1 중학생 수학.. 2011/10/12 1,782
22341 화성인 흡혈귀녀 “사슴피 바로 따서 먹는다, 생리통에 좋아” 경.. 12 호박덩쿨 2011/10/12 2,607
22340 이미지 변신 3 가을여자 2011/10/12 1,400
22339 요즘 지리산 노고단 풍경은 어떻습니까? 1 산바람 2011/10/12 1,411
22338 가격을 부탁드려요 산타 2011/10/12 1,275
22337 우리결혼했어요에 이장우 안좋아하는 사람은 저뿐인가요?? 9 ㅔㅔ 2011/10/12 3,046
22336 커트러리 사려는데요..중사이즈,대사이즈가있는데..뭐가 더 좋나요.. 커트러리 2011/10/12 1,198
22335 어릴 때 불화가 많은집에서 자랐지만 성격은 밝은 분 계세요? 4 행복이 2011/10/12 2,367
22334 박원순의 또 들통난 거짓말... 43 기록이없다 2011/10/12 2,254
22333 다리가 저리신분 없으신가용? 1 초롱동이 2011/10/12 1,275
22332 MBC뉴스,,,, 박원순만 철저히 검증? 3 베리떼 2011/10/12 1,320
22331 주승용 "나경원, 복지위 한 번도 출석 안해" 3 ㅎㅎ 2011/10/12 1,602
22330 마이스터고 진학 어때요? 6 중3엄마.... 2011/10/12 2,915
22329 형님네 때문에 가슴이 답답해요. 5 소금 2011/10/12 3,243
22328 집에 있는 원단 누빔하고 싶은데 어디가서 해야하나요?? 1 TT 2011/10/12 1,194
22327 요즘 반찬 어떤거 해드셔요. 9 은새엄마 2011/10/12 2,733
22326 TV토론보고 나경원에 혹~하신분이 있나보네요. 5 ㅇㅇ 2011/10/12 1,463
22325 아이가 교활하다...?? ---- 죄송합니다 버튼을 잘못 눌러 .. 6 도와주세요 2011/10/12 1,791
22324 나경원한테 사과 받아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여러분 생각은 어떠세요 13 아마 2011/10/12 1,771
22323 임신과 출산이 여자의 특권이라는 말이 이해가 되지 않아요 18 과연? 2011/10/12 3,167
22322 며칠전 재테크 관련글 어디로 갔나요? 1 삭제됐나죠?.. 2011/10/12 1,566
22321 네거티브 역풍 맞은 신지호 3 세우실 2011/10/12 1,519
22320 에리카 (안산) 정시 지원가능 % 커트라인 배치표 5 한양대 2011/10/12 7,812
22319 전 돌잔치는 그러려니 해요 11 솔직히.. 2011/10/12 2,324
22318 20조 번 은행들, 서민금융 3억 지원은 "곤란" 샬랄라 2011/10/12 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