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휴머니즘의 가면 속에 숨은 왜곡된 질서!

safi 조회수 : 1,136
작성일 : 2011-10-01 11:44:27

한 방송인의 커밍아웃

10년 전, 한 방송인의 커밍아웃으로 한국 사회는 발칵 뒤집혔었다.

각 방송국은 빛의 속도로 그를 출연정지 시켰고, 그는 사회에서 외면당했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지금, 각종 영화는 물론이고 대표적인 가족문화인 주말 드라마에서도 동성애 커플을 보는 일은

별로 어렵지 않게 되었다. 

 

동성애는 유전적인가?

동성애를 지지하는 주장 가운데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동성애가 선천적이라는 것인데

나는 여기에 의문을 갖는다.

동성애는 본인의 의지나 감정 때문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 몸을 갖고 태어났다는 것인데 정말 그럴까?

 

행동양식과 유전자

 어떤 행동이 선천적이라는 말은 그러한 행동을 하게 만드는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여러 다른 유전자들과 상호 연관되어서 작동을 하며, 독자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 일은 드물다.

 특히 생명체의 행동양식을 결정하는데는 수많은 유전자가 관여하게 된다. 일반적인 경우에 오랫동안 선택교배를 시키더라도 행동 양식은 아주 천천히 변화하게 된다.

 이런 사실을 근거로 할 때 동성애란 행동양식은 아주 천천히 여러 세대에 걸쳐서 변화되어야 한다. 즉, 일반적인 이성애자의 가계에서 동성애자가 나오려면, 여러 세대에 걸쳐서 조금씩 동성애적 경향이 강회되면서 동성애자가 나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 상황은 전혀 그렇지 않다. 가계조사를 해보면, 갑자가 동성애자가 나타났다가 갑자기 사라진다. 이는 일반적인 유전적 사실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좀 더 명쾌한 근거

 자녀를 적게 낳게 되는 행동약식은 결코 유전적일 수 없다. 왜냐하면 이런 유전자를 가진 집단은 종국에는 사라지게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수순이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해 동성애가 유전적이라면 선천적으로 동성애의 유전자를 가진 이들은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며, 결국 동성애도 사라졌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동성애의 빈도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큰 도시에서 자랄수록 동성애 빈도가 높고 시골에서 자랄수록 그 빈노가 낮다는 것이다

 결국 동성애는 유전적이 아니고 후천적인 경험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부모의 양육 태도라든지 친구들에 의한 학습, 혹은 사회적 유혹, 문화적 부추김 등이 동성애의 발생하는 요인이라는 것이 동성애가 선천적이라는 주장보다 훨씬 더 합리적이라는 것!!

 

선천적, 유전적이라는 주장으로 합리화시켜야 할 만큼

자기 자신에 대해 떳떳하지 않은 것인가?

 술은 선택하여 마셨지만 습관이 되면 알콜중독자가 되는 것처럼 어떤 행동을 반복하게 되면 습관이 되고 중독이 되어서 자신도 끊을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동성애 역시 육체적인 쾌감뿐만 아니라 서로 정서적 친밀감을 나누면서 이를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되면 강한 중독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동성애자들은 강한 중독성으로 인해 선천적으로 동성애자로 태어난 것이 아닌지 착각하게 된다.

 또한 반사회적, 반윤리적 행동을 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에 대해 떳떳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되돌릴 수 없다고 느끼는 심각한 중독의 상태에 이르게 되었을 때 자신을 합리화시키면서 사회적 비난의 화살을 벗어나기 위해 선천적, 유전적이라고 주장하게 되기도 한다.

 이는 자신의 부끄러움을 감추려다 도리어 더 크게 드러나게 만드는 '언 발에 오줌 누는' 식의 과학적 근거도 논리도 없는 주장이며 무엇보다 자신의 부모를 욕보이는 일이기도 하다.

 자신의 잘못된 선택과 중독에 의한 질병을 마치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처럼 이야기 하는 것은 책임을 회피하는 미성숙한 행동임과 동시에 동성애자로 살아가는 자신을 바라보며 힘들어 하는 부모의 가슴에 두 번 못을 박는 일이다.  

 

 

IP : 220.79.xxx.6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428 시민권쓰는란에...korean인가요 korea인가요? 2 서류작성 2011/10/04 1,628
    19427 혹시 발머스 한의원 효과 보신 분 계신지요? 2 ..... 2011/10/04 14,665
    19426 갑상선 양성 1cm면 그냥 냅둬두 되는건가요.... 4 .. 2011/10/04 2,362
    19425 가로수길에..디저트..듀크램 VS 듀자미 3 가로수길 2011/10/04 1,965
    19424 베란다 물청소후 누수에 대해 여쭤봅니다 1 누수ㅜㅜ 2011/10/04 1,833
    19423 (아파트) 구조가 잘 빠졌다는게 구체적으로 어떤건지요? 3 집짓기 2011/10/04 1,977
    19422 스탠드형 김치냉장고도 딤채가 좋나요? 3 엄마 곧 사.. 2011/10/04 2,705
    19421 헬스와 요가, 걷기운동 어떤 게 더 나을까요? 5 다이어트 2011/10/04 3,152
    19420 MB “우리 경제, 자신감 가질 만큼 튼튼” 7 세우실 2011/10/04 1,324
    19419 아이둘과 캐나다 보름정도...얼마나 할까요? 1 hoo 2011/10/04 1,385
    19418 줄리엣남편께 컴퓨터 구입해보신분~~ 9 아라아라 2011/10/04 2,272
    19417 비듬 샴푸의 지존은 뭘까요? 11 노래하는 집.. 2011/10/04 9,390
    19416 풀잎 문화센터 3 된다!! 2011/10/04 2,407
    19415 실비보험 가입하신 분 조언 부탁드려요.. 7 흔들려~ 2011/10/04 1,745
    19414 벤타 쓰시는 분들..여쭤볼께요.. 5 왕고민 2011/10/04 2,045
    19413 홈플에서 뱅어포를 샀는데..곰팡이가 피어있고 머리카락까지 있어요.. 3 홈플 2011/10/04 1,901
    19412 댁에 암막 롤스크린 설치해보신분!! 3 해보신분~ 2011/10/04 3,772
    19411 절약난방을 어찌하는것인가요? 2 ㅠ*ㅠ 2011/10/04 2,294
    19410 아이 머리를 때렸어요 5 반성중 2011/10/04 3,916
    19409 아바타를 세번이나 봤네요.ㅎㅎ 2 ㅎㅎㅎ 2011/10/04 1,650
    19408 지나치지 말고 답해주세요 1 ,,, 2011/10/04 1,323
    19407 새댁이에요. 햅쌀은 언제 나오는지 궁금해요 4 유니 2011/10/04 1,799
    19406 출산 D-3.. 용기 얻고 싶어서 글 써봐요.. ^^: 5 이글루 2011/10/04 1,624
    19405 파운데이션 유통기한이..? 7 masca 2011/10/04 2,240
    19404 9개월 여자조카 두상교정용 헬멧 맞추고 왔습니다. 21 세브란스서 .. 2011/10/04 1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