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대체 부모님이 준 김치값을 왜 재료비를 따지면서 책정(?)해서 내나 약간 그 스웨덴인가 어딘가 친구는 밥시간돼도 재료비 아까워 밥안주는 그런 느낌이라 충격과 공포였는데
김치값 관련 여러 썰들을 보다보니 이게 그냥 실용적인 협업, Oem 또는 품앗이 같은 구조였어요
보니까 부모님 측에서도 새우젓 고춧가루를 니네가 사라 하기도 하고 돈은 됐고 와서 일을 해라 일꾼이 필요하다 하기도 하고ㅎ
그니까 김장이 원재료, 공수가 많이 들어가는 큰 일인데
이걸 우리 생각처럼 혹시 맛이나 볼래 하고 한포기 두포기 주고 받는 자식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느낌이 아니라
그 받는 자식들도 그 김장김치가 꼭 필요하고 김장한 결과물 중에 상당한 부분을 받아오는 거예요.
그니까 내가 재료를 댈테니 내가 돈을 낼테니 나도 노동력을 보탤테니 엄마의 노하우로 잘 생산해보자 하는게 암묵적으로 깔려있는 합의인거죠! 이렇게 생각하면 재료비 인건비 따지는게 이해가 가요 우리딸 이거 한 포기 먹어볼래가 아니라 우리가 재료비 + 노동력 + 노하우를 합친 결과물을 나누고 정산하는 과정인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