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논술은 어떻게 평가를 할까요

조회수 : 1,614
작성일 : 2025-11-16 01:26:13

수백대1인 과는 3000명넘게 지원한 학교도 있는데

 

그걸 다 어떻게 보고 고를 까요?

조교가 거르고 최종적인거 몇개만 교수가 보나요?

인문 논술

IP : 124.49.xxx.188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1.16 1:40 AM (114.206.xxx.18)

    수학은 풀이과정
    인문은 키워드를 본다는 말이
    있어요 근데 참.. 논술이라는게 그래요

  • 2. ..
    '25.11.16 2:25 AM (175.119.xxx.68)

    악필 거를까요
    알아보기 힘든 글씨 등이요

  • 3.
    '25.11.16 4:29 AM (218.150.xxx.232)

    키워드채점이요

  • 4. ㅁㅁ
    '25.11.16 7:30 AM (211.36.xxx.51)

    일단 최저부터 거르면 확 줄지않을까요

  • 5. 연대 논술 합격맘
    '25.11.16 7:55 AM (61.72.xxx.209)

    연대의 경우 지문이 5개 나왔었어요..
    국어2, 영어1, 수리1 문항.
    먼저 수학 오답자 3분2 이상 걸러낸 후에 키워드로 추리고,
    거기서부터 정밀 채점.

    아무리 논술을 기가맥히게 써도 수학 오답이면 그냥 걸러진다네요.

  • 6. .....
    '25.11.16 8:28 AM (175.193.xxx.138)

    모르는 사람들은 논술 로또라고 하지만,
    논술 준비하는 사람들은 정답이 있고 공부해야한다고 하네요.
    울 아들은 수리논술 학원 1달 다니다 거부, 못 하겠다고 했어요.
    대학 입시 뭐하나 쉬운거 없지만, 논술...어려워요.

  • 7. .....
    '25.11.16 9:55 AM (112.186.xxx.241)

    오죽하면 답안지 던져서 멀리가는 답지 부터 추린다는 말이 나올까요
    입시때마다 논술전형비로 학교 건물 하나씩 세운다잖아요
    키워드나 대충 뭐 보는 나름의 벙법이 있겠지만 문과논술은
    특히 운이 많이 적용한다고 생각해요

  • 8. .....
    '25.11.16 9:56 AM (112.186.xxx.241)

    적용 -----작용 오타

  • 9. 수리논술
    '25.11.16 10:19 AM (211.220.xxx.34)

    악필인데 합격했어요
    같은 학교 두번 쳤는데 둘다 잘 봤어요
    현역땐 풀이과정 부분점수에서 깍인거 같았어요. 예비번호보니…
    재수때는 풀이과정 신경 더 썼어요

  • 10. 합격자맘
    '25.11.16 10:34 AM (61.72.xxx.209)

    우리 아이는 인문 논술 연대 고대 모두 합격했어요.

    답안지 던질 때.두 학교 다 우리 아이 답지가 유독 멀리 떨어진 걸까요? ㅎㅎ

    참고로 수능 언외수 111이었어요.

  • 11. ...
    '25.11.16 10:47 AM (221.149.xxx.56)

    논술은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냅니다
    인문 논술을 썰푸는 거나 운으로 되는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이건 공부 이전에 입시를 전혀 모르는 사람 생각이에요
    입시는 공정성 시비가 생기면 감사에서나 법적으로 큰일이 날 수 있어서 아무렇게나 못 합니다
    각 대학 사이트마다 논술 기출문제와 평가 기준 공개돼있어요
    논술 준비하려면 이거부터 모아서 분석하세요
    요구하는 답이 있는 거니까 그게 없으면 탈락 여부 판단하는 게 어렵지 않죠. 답안지 멀리 던지는 거 아닙니다

  • 12. 저는 연고대 자랑
    '25.11.16 11:10 AM (124.49.xxx.188)

    듣고 싶은게 아니라
    그많은걸 어떻게 추려낼까 묻느거에요..

  • 13. . .
    '25.11.16 11:26 AM (180.83.xxx.253)

    일단 최저 못맞춘 애들 안왔고 또 수학 오답자 떨구고 나면 얼마 안남아요. 남편이 교순데 이 학교는 교수 다섯명인가가 채점하고 최고 최저 점수 준 교수건 제외하고 나머지 세명 평균이 수험생 점수래요. 결론은 다 읽는다고 글씨 반듯하면 더 집중해서 읽게 된다고 저희 아이들도 논술때 글씨 단정하게 쓰라고 하더라구요

  • 14. ㅇㅇ
    '25.11.16 11:38 AM (118.235.xxx.216)

    고대 논술이 수능 ‘언외수 ’로 치던 시절엔 없었을텐데요?

  • 15. 어휴
    '25.11.16 12:42 PM (49.164.xxx.30)

    위에 모지리 한명있네

  • 16. oo
    '25.11.16 1:35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 만으로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은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17. ㅇㅇ
    '25.11.16 1:50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 만으로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벆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은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18. ㅇㅇ
    '25.11.16 1:56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19. ㅇㅇ
    '25.11.16 2:14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0. ㅇㅇ
    '25.11.16 2:16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과목 필수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1. ㅇㅇ
    '25.11.16 2:23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여러 군데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2. ㅇㅇ
    '25.11.16 2:25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3. ㅇㅇ
    '25.11.16 2:30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사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4. ㅇㅇ
    '25.11.16 2:34 PM (117.111.xxx.214) - 삭제된댓글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2차 시험이 논술인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 잘하고 있어요.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25. oo
    '25.11.16 3:32 PM (117.111.xxx.135)

    저 과거 사설 입시업체 인문 논술 채점 교사였었고,
    우리 아이
    오래 전에
    인문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 세 곳 동시 합격했었고,
    그 중 한 대학 졸업하고
    논술 포함된 입사 시험 통과해서 직장생활하고 있어요.

    당시
    논술 끝난 뒤 집에 와서 매번 시험 경험담을 얘기하는데
    여러 개 되는 지문들, 본인이 쓴 답,
    핵심 개념(교과서에 등장하는 내용),
    잠시 고민했던 부분..이 모든 과정을
    마치 생중계하듯이 상세히 전해서 깜짝 놀랐어요.
    특히 연대 문제와 답은 더 고난이도이고,
    서강대는 지문의 양과 갯수가 많아서 그걸 다 기억하고
    본인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해서
    이러 저러하게 썼다고 전할 수 있고,
    그 대학들을 동시에 합격했다는 것만으로도
    말로만 듣던 논신이 이런 아이들이구나 싶었어요.
    수능도 틀린 문제가 총10개 이하였어요.
    학교 공부 잘하는 아이가 논술 고득점 확률이 훨씬 높아요.
    실제로 논술은 정시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아요.

    댓글 중에
    고등학교 교과 과정 안에서 구체적인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출제 한다는 분 말씀 맞아요.
    수리까지 포함시켜 다각도로 확장시킨 문제를
    출제자의 지시에 따라
    버릴 건 버리고 필요한 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서
    요약, 비교, 분석까지해서 결론을 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키워드(교과서 등장 개념ㅡ본인이 공부한 과목과 직결될 수도, 선택하지 않은 과목일 수도 있어요. 이것은 다소의 운의 영역이지만 수준이 궤도에 올라 있으면
    문제 될 정도는 아닙니다) 채점이 필수구요.
    수리가 틀리면 바로 탈락일 수밖에 없는 게,
    수리 문제, 인문 문제가 구분된 게 아니라
    수리 분석력 및 정답도 전체 중 일부로서
    유기적으로 녹여내야 되는 문제라서 그래요.
    정답만 딱 내는 게 아니라 정답을 내서 전체 분석의 도구로 활용해야 돼요.

    합격하려면
    논지를 적확히 파악해서
    구체적인 논거를 대가며
    설득력 있게 출제자가 요구한 답을 정밀하게 뽑아내야 해요.
    들어가기 힘든 대학 논술을 통과하려면
    논신들과의 경쟁이기 때문에
    작문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하나의 훌륭한 주장 글이 완성되어야 해요.
    (출제자가 요구한 디테일한 정답은 필수 장착!!!)
    비문이 있거나 맞춤법이 부족해도 거의 탈락이라고 봐야해요.
    논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훌륭한 노래나 연기가 주는 감동처럼
    훌륭한 논술 문제(주로 연대 문제)나 답안지는
    감동 그 자체입니다.

    글씨는 반듯하게 쓰면 호감은 생기나
    내용이 절대적이에요.
    내용이 부실한 논술문은
    미모는 뛰어나나 실력이 부족한 연기자의 연기를
    보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 경험에 비춰볼 때
    시험지 날려서 합격자 정한다더라는 식의 폄훼 발언은
    인문 논술에 대한 무지를 웅변하는 말이고,
    본분을 다하는 능력있는 교수들,
    노력과 실력으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논술 합격생들에게 매우 실례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595 [단독] 정부, ‘대장동 항소 포기’ 반발 집단행동 검사장 전원.. 31 끄지라고 12:44:56 2,501
1773594 이럴경우는 어떻게 해요? 3 ........ 12:42:09 467
1773593 빵 요요 왔나봐요 6 급지름신 12:41:21 1,769
1773592 대나무수액 키성장 영양제 결제중 6 12:39:31 483
1773591 계엄 당일날에도 11시에 출근한 내란빤스 7 대단하다진짜.. 12:38:52 1,327
1773590 병원검사 받아도 병명을 모르는 경우 5 질문 12:38:23 698
1773589 고3 아들 진로로 소방공무원 선택 어떨까요? 10 kiki5 12:37:13 1,181
1773588 대학생 아이가 축의금 보낸다는데 5 엄마 12:37:06 1,162
1773587 대학학과결정 2 고민 12:36:40 545
1773586 정부, ‘대장동 항소 포기’ 반발 집단행동 검사장 전원 ‘평검사.. 15 단독 12:33:38 1,271
1773585 논술 7번 떨어졌으면... 13 음... 12:33:07 1,729
1773584 투룸 용달이사 힘들까요? 3 아줌마 12:31:31 398
1773583 이시간 표류중인 한강버스 사진.jpg 12 .. 12:31:08 2,403
1773582 지하철 요금 이게 맞나요? 7 AAA 12:23:56 1,278
1773581 밥솥 내솥이 코팅과 스텐이 밥맛에 차이가 있나요?? ... 12:08:20 309
1773580 52살인데 망했어요 26 .. 12:04:12 14,277
1773579 김장하는 분들은 여전히 많은가봐요 34 ... 12:03:26 3,306
1773578 말 안듣는 초고. 중딩이들 두신 분들 2 학원 12:00:32 465
1773577 초단기 기억장애는 병원가야 할까요? 3 걱정 11:59:49 698
1773576 다 만들었는데 세제 냄새가 난다면 5 딜리쉬 11:57:50 1,124
1773575 김부장은 현모양처까지 다 가졌네요 10 00 11:57:15 2,882
1773574 살찌면 손.발 사이즈커지는거..전 안그렇더라구요. 8 ㅣㅣ 11:54:04 793
1773573 아기 끔해몽 1 11:53:28 314
1773572 친구가 짜증나요 13 ㆍㆍㆍ 11:53:10 2,701
1773571 경기남부 신도시 전세물량 없는게.. 11 .. 11:47:28 2,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