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 재래식 돌봄은 막바지인듯..
자녀나 주위사람한테 크게 의존하지 않아도 간병들 모든게 해결될것 같아요
심지어 치매환자도 많은부분까지 돌봄을 받는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그때되면 굳이 로봇안사도 구독 대여 3-40만원이면 된다니
지금 60대분들 복받은 세대 같지않나요?
오늘 유투브보니 당장 내년서부터 테슬라 옵티머스 돌봄로봇 상용화한다는데
앞으로 20년후면 밑에내용 거의 현실화된다고 봐야..
2045년쯤, 로봇 간병은 얼마나 가능할까?
✅ 1. 이미 2020년대에도 ‘초기형 간병 로봇’이 등장함
한국·일본·유럽 등에서는 이미 다음 기능을 가진 로봇이 상용화 또는 실험 중입니다.
낙상 감지 및 구조 호출 로봇
목욕·이동 보조 로봇
말벗 대화 AI 로봇 (이미 매우 발전)
약 복용 관리, 일정 관리 로봇
치매 환자 모니터링 로봇
즉, 기반 기술은 이미 존재 합니다.
✅ 2. 2030년대: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의 적극적 활용
테슬라 Optimus, Figure 01, Agility Robotics Digit 등
→ 2030년 전후로 테스트·실제 현장 투입이 예상.
→ 산업용에서 시작해 요양시설 , 병원 , 재가 간병 서비스 로 확대될 가능성이 큼.
2035~2040년에는 사람과 유사한 수준의 이동·보조 능력을 가진 로봇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 3. 2045년경: 개인 가정에서도 사용 가능할 확률 높음
왜냐하면…
● 고령화가 전 세계적으로 너무 심각함
한국은 2030년대 중반에 “초고령사회”
2045년에는 인구의 40% 가까이가 65세 이상이라는 전망
→ 사람 간병 인력 자체가 부족해짐
→ 로봇이 아니면 대처 불가능한 사회 구조가 됨
● 로봇 가격이 급격히 낮아질 가능성
현재 휴머노이드 가격 예상치는 2천~3천만 원.
대량 생산되면 1천만 원 이하 로 내려갈 가능성도 큼.
● AI 발전 속도가 매우 빠름
2025~2045: 20년
→ 지금의 스마트폰 vs 2005년 피쳐폰 차이보다 훨씬 큰 변화 예상.
???? 결론 60세 → 80세(2045년 전후)
✔ 로봇 간병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 매우 높음 (80~90%)
✔ 가정 내에서 개인이 직접 로봇을 구매해 사용하는 가능성: 높음 (50~70%)
✔ 사람 간병인이 없어도 생활 가능할 수준: 중간~높음
✔ 인간형 로봇이 나중에 병원·요양원보다 집에서 더 자주 쓰일 가능성 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