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이 첫째면 첫째 자식에게 더 정이 가고
둘째면 둘째 자식에게 더 정이 간다는 말이 있는데
자신도 모르게 본능적으로 더 끌리는 자식이 정말 있을까요?
본인이 첫째면 첫째 자식에게 더 정이 가고
둘째면 둘째 자식에게 더 정이 간다는 말이 있는데
자신도 모르게 본능적으로 더 끌리는 자식이 정말 있을까요?
더 정이 간다기 보다
얘가 왜 이런지 이해는 확실히 더 잘 가요.
아니요.첫째는 첫째대로 둘째는 둘째대로 정이 가요.
제가 둘째인데 둘째가 더 정이 가지는 않아요.
기본인거 같고요
아이입장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돼요
저는 둘째인데 더 정이 간다기 보다는 둘째아이로 내가 서운하다고 느꼈던 부분들 아이에게 더 신경쓰기는 해요.
그리고 큰아이 보니 큰아이들의 고충도 알것 같아요. 우리 언니도 이런감정이었겠다 제 아이 보면서 생각하기도 하구요.
저는 외동이라 성장하면서 형제 각각이 느끼는 감정을 직접 느끼진 않았는데
친구들이나 사촌들에게 많이 들어서 각각의 감정들을 어느 정도 알겠더라고요
그래서 내 아이를 키울 때는 차별은 하지말아야지
큰아이에게 첫째라서 뭘 해야한다 하지말아야지
막내를 너무 막내라고 대하지 않아야지
아이의 성향이나 기질을 그대로 바라봐야지 등등은 늘 새기고 살았던 것 같아요
결혼해서 장남인 저희에게만 바라고 요구했던 시부모를 보면서
큰아이에게 장손의 짐을 짓게 안했고요
많은 힘든 일들이 있었고 돈도 많이 들어가고 억울한 마음도 있었지만
저희 둘째를 보면서 시동생네를 이해하는 마음도 생기고
지금은 남편 시동생이 리드하면서 반반씩 잘 해나가고 있어요
시모로 인해 위기가 많았지만 자식들이 기준을 잘 잡았지요
저는 그렇지 않지만 부모라고 하면
제아무리 본능적으로 끌리는 자식이 있다고 해도 절대 드러내거나 차별해서는 안됩니다
저는 외동이라 성장하면서 형제 각각이 느끼는 감정을 직접 느끼진 않았는데
친구들이나 사촌들에게 많이 들어서 그 감정들을 어느 정도 알겠더라고요
저한테 하소연 하는 사람들이 많았거든요
그래서 내 아이를 키울 때는 차별은 하지말아야지
큰아이에게 첫째라서 뭘 해야한다 하지말아야지
막내를 너무 막내라고 대하지 않아야지
아이의 성향이나 기질을 그대로 바라봐야지 등등은 늘 새기고 살았던 것 같아요
결혼해서 장남인 저희에게만 바라고 요구했던 시부모를 보면서
큰아이에게 장손의 짐을 짓게 안했고요
많은 힘든 일들이 있었고 돈도 많이 들어가고 억울한 마음도 있었지만
저희 둘째를 보면서 시동생네를 이해하는 마음도 생기고
지금은 남편 시동생이 리드하면서 반반씩 잘 해나가고 있어요
시모로 인해 위기가 많았지만 자식들이 기준을 잘 잡았지요
저는 그렇지 않지만 부모라고 하면
제아무리 본능적으로 끌리는 자식이 있다고 해도 절대 드러내거나 차별해서는 안됩니다
첫째의 고충을 이해하게 되었달까요. 예전에는 둘째로서의 입장만 생각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