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hem
'25.11.13 6:23 PM
(59.10.xxx.5)
답 dddd
2. 넝쿨
'25.11.13 6:29 PM
(222.108.xxx.71)
영어는 할만했겠네요
3. ㅇㅇ
'25.11.13 6:29 PM
(106.101.xxx.172)
수학은 좀 쉬웠다고 하던데
영어는 전체적으로 어려웠나요?
4. ㅇㅇ
'25.11.13 6:30 PM
(211.234.xxx.69)
저도 d
5. Metoo
'25.11.13 6:32 PM
(221.153.xxx.127)
C 가 답이라네요. 저도 d 라 생각했는데...
6. ㅇㅇ
'25.11.13 6:33 PM
(211.234.xxx.69)
법은 이성적 존재들이 자유롭게 선택헌 원칙들의 구현이다 라고 앞에서 이야기 하고 있으니
그 다음에는 법이 하고자 하는 것을 제한하더라도,
‘그것이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 라고 할 수는 없다. ‘
라고 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7. ㅇㅇ
'25.11.13 6:35 PM
(211.234.xxx.69)
-
삭제된댓글
어머나 갑이 c라네요
근데 c와 d가 비슷한 문맥같아요
8. ...
'25.11.13 6:35 PM
(211.218.xxx.70)
오 저 맞았어요! C!
9. Metoo
'25.11.13 6:41 PM
(221.153.xxx.127)
reasonably 위치를 보면 c가 맞는것 같기도.
하지도 않을 일을 굳이 금한다는게...
10. ㅇㅇ
'25.11.13 6:43 PM
(59.17.xxx.197)
답은 D입니다
11. …
'25.11.13 6:45 PM
(175.193.xxx.136)
와~~~
딸아이 이거 지문 들어가자마자 그냥 찍었는데
뭘로.찍었냐 물어보니 4번..
정답인것 겉아요
소소하게 웃음 주네요
12. ...
'25.11.13 6:48 PM
(106.101.xxx.36)
수능영어를 초등학교 때 끝내놓아야 하고 끝낼 수 있다는 분들이 좀 보시면 좋겠어요.
13. 1시간전
'25.11.13 6:50 PM
(221.153.xxx.127)
나온 답지에는 홀,짝 모두 3번이라는데요
14. ...
'25.11.13 6:51 PM
(203.125.xxx.10)
수능영어를 초등학교 때 끝내놓아야 하고 끝낼 수 있다는 분들이 좀 보시면 좋겠어요. 22222
수능 영어 자체가 초등이 이해 할 수 있는 게 아닌데 우기는 거 보면 진짜 웃기죠 ㅋ
15. 미자
'25.11.13 6:52 PM
(180.228.xxx.130)
답은 D 하고 밑으로 내렸는데
답은 c라고해서 핵당황,,,
D가 맞는건가요??
16. wjsjg
'25.11.13 6:54 PM
(61.101.xxx.67)
저건 cannot이라 헷갈리기 쉬워요. 반대로 찍으면 되요
17. …
'25.11.13 6:55 PM
(203.170.xxx.203)
다시 봐도 d같은데
18. ㅇㅇ
'25.11.13 6:58 PM
(1.225.xxx.133)
C라고 하니 그런가요???
저도 처음에는 d가 답이라고 생각했는데…
Freedom과 liberty의 차이때문인가요
Liberty는 자유보다는 시민권, 법적 권리 같은 의미에 보다 가깝거든요.
잘 모르겠네요
19. 정리
'25.11.13 7:02 PM
(221.153.xxx.127)
공식 시험지와 원글의 선지 순서가 달라요
공식 시험지 기준으론 c 이고
원글에서라면 d 입니다.
근데 왜 바꾸셨을까.
20. ㅇㅇ
'25.11.13 7:07 PM
(1.225.xxx.133)
다시봐도
사회는 인간 본성의 악의가 가득하더라도(the nations of devil) 조화로운 법적 테두리 안에서 유지 가능하다. 이에 대한 헙의하에 이성적인 이들이 자유롭게 선택한 원칙을 준수하는 것은 하고자하는 바를 제한하는 일이 있더라도 자유 자체을 제한하는 것이라고 받아들일 수는 없다
이런 흐름이 맞는거 같아요
기본권 논의는 본문에 없는 듯. 기본권을 얘기하려면 뭔가 단계가 하나더 필요하지 않을까요
21. 민아호잔
'25.11.13 7:28 PM
(61.101.xxx.67)
인공지능에게 물어봤어요.
이러한 법이 이성적인 개인이 어쨌든 선택하지 않을 행동을 금지한다면, 이는 진정한 자유를 제한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러한 법은 이성적인 선택을 반영하므로 자유에 대한 제약으로 이해될 수 없습니다:이말이 구체적으로 잘 확 안와닿는데요 예로 이성적인 존재들이 선택하지 않는 것을 금지한다 말하자ㅁ면 부모를 패지 마라...이건 부모를 패는 행위는 이성적인 존재들이 선택하지 않을 행위니까 이걸 금지하면 하나마나한 소리가 된다는 것인가요?
-이성적인 존재라면, 자신의 행동이 보편적 법칙이 되어도 모순되지 않고 모두가 따를 수 있는 원칙을 선택할 것입니다. 이런 원칙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법은, 이성적 존재가 자유롭게 동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유를 침해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법이 금지하는 행동은 이성적인 존재가 스스로 선택하지 않을, 즉 이성적·도덕적 원칙에 어긋나는 행동입니다.
이제 법이 “부모를 패지 마라”고 금지한다고 가정합시다. 이 법은 이성적 존재가 이미 동의할 만한 원칙(폭력은 부당하다)을 반영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법은 이성적 존재의 자유를 제한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어차피 이성적으로 그런 행동(부모 폭행)을 선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법은 그들의 이성적 의지와 일치하며, 자유를 억압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이성적 자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 정답이 아닌 이유
ⓒ 옵션은 법이 “인간의 자유를 합리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이 문장은 언뜻 칸트의 철학과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칸트의 핵심 논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합니다. 다음 이유들을 통해 이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합리적으로 제한한다”는 표현의 모호함
“Confining” (제한하다)라는 단어는 자유를 어느 정도 억제하거나 축소한다는 뉘앙스를 내포합니다. 칸트의 철학에서 법은 자유를 억제하거나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유를 가능하게 하고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칸트는 법이 이성적 존재의 자율적 의지(즉, 이성에 따라 스스로 선택한 원칙)와 일치한다고 보았기 때문에, 법을 “자유를 제한하는 것”으로 보는 시각 자체가 그의 철학과 어긋납니다.
이성적 존재가 스스로 선택한 보편적 도덕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진정한 자유입니다. 따라서 이성적 원칙에 기반한 법은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를 실현하는 수단입니다.
ⓒ의 “reasonably confining”은 법이 자유를 어느 정도 억제하지만 그게 합리적이라는 뉘앙스를 줍니다. 하지만 칸트는 법이 자유를 억제한다고 보지 않습니다. 법은 이성적 존재의 자율적 의지와 조화를 이루므로, 자유를 억제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자유를 강화합니다.
본문의 빈칸 앞 문장은 “법이 이성적 존재가 어쨌든 선택하지 않을 행동을 금지한다면”이라고 시작합니다. 이는 법이 이성적 존재의 의지와 일치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문장은 법이 자유를 침해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오해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는 “합리적으로 제한한다”는 부정적 뉘앙스를 포함해, 법이 자유를 어느 정도 억제하지만 그게 정당하다는 식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이는 칸트가 법을 자유의 실현 도구로 보는 관점과 미묘하게 어긋납니다.
22. 오호
'25.11.13 7:37 PM
(211.36.xxx.3)
저도 D 선택했는데 정답인거죠?
23. ㅇㅇ
'25.11.13 8:15 PM
(39.113.xxx.162)
애들이 어렵다고 한건 내용일까요 영어일까요?
어른인 내가 읽기에는 쉽게 읽히는데
24. ...
'25.11.13 8:33 PM
(219.254.xxx.170)
-
삭제된댓글
저도 c맞았네요
25. ...
'25.11.13 8:37 PM
(219.254.xxx.170)
C라 생각 했는데 틀렸군요.
26. ......
'25.11.13 10:49 PM
(61.255.xxx.6)
-
삭제된댓글
C 합리적으로 제한한거라고 볼 수 없다
D 자유를 제한한거라고 볼 수 없다.
어차피 수능영어는 독해력 싸움인데
이 지문 경우 단순해요.
칸트는 법이 자유를 보장한다
근데 이건 인간의 좋은 본성에 기반한 거야
홉스는 인간의 나쁜 본성이 있기때문에 효과적인 법적 틀이 필요하다고 생각.
자기가 선택하는 않는 것을 하지 않도록 한다해도, 그 법은 나쁜 거 (자유를 제한하는 거라고) 볼 수 없어.
똑똑한 초딩들 충분히 이해가능한 논리구조예요
27. .....
'25.11.13 10:51 PM
(61.255.xxx.6)
C 합리적으로 제한한거라고 볼 수 없다
D 자유를 제한한거라고 볼 수 없다.
어차피 수능영어는 독해력 싸움인데
이 지문 경우 단순해요.
칸트는 법이 자유를 보장한다
근데 이건 인간의 좋은 본성에 기반한 거야
홉스는 인간의 나쁜 본성이 있기때문에 효과적인 법적 틀이 필요하다고 생각.
자기가 선택하는 않는 것을 하지 않도록 한다해도, 그 법은 나쁜 거 (자유를 제한하는 거라고) 볼 수 없어.
똑똑한 초딩들 충분히 이해가능한 논리구조예요
28. 오
'25.11.13 10:51 PM
(220.118.xxx.37)
저희집 중1 쉽게 답맞추네요!!!
대신 수학은 못....ㅜㅜㅜㅜㅜ
29. 1301호
'25.11.13 11:23 PM
(118.32.xxx.51)
C 아니에요오오? ㅎㅎ
두번 읽어도 C였는뎅
30. ㅗㅎㄹ
'25.11.13 11:30 PM
(61.101.xxx.67)
저런건 읽을때 합리적인 사람들은 굳이 선택안하는 사랑을 금지해도니까 이걸 예로 도둑질하지 마라 이걸 법으로 만들어도 사람들의 자유를 제한하는게 아니래요 어차피 안할거니까..그런식으로 논리를 적용해서 읽어야만 저답이 나와요.C의 합리적으로 제한한다는 많은 사람들이 선택할수도 있는것을 법으로 금지할 경우에나 맞는 답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