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11.7 11:12 AM
(211.218.xxx.194)
진짜 직장다니고, 학교다니느라 바쁜사람들은
콜대원이나 타이레놀 먹고 끝나요.
일반의약품이 얼마나 다양하게 나와있는지.(가격은 전문의약품보다 비쌀순 있음)
시간이 남아돌거나, 고열나야 병원가죠.
2. 전문의약품
'25.11.7 11:15 AM
(218.50.xxx.169)
약사가 왜 약사인가요?
감기정도는 의사 처방전 없이도
전문의약품 취급할 수 있지 않나요?
너무 경증까지 싸 잡아서 의사를 만나야 하니, 쓸데없이 고비용같아여.
3. 가끔은
'25.11.7 11:19 AM
(106.101.xxx.148)
예전 의사 처방전 없이 약사한테 상의 해서 약 지어 먹이면 묘하게 잘낫던 기억이 있네요
4. ....
'25.11.7 11:23 AM
(211.218.xxx.194)
약사랑 의사랑 배우는게 다르죠.
약사는 왜 의사가 아니고 약사겠어요.
제약회사 약사들이 알아서 콜대원 만드는겁니다.
5. 보통은
'25.11.7 11:25 AM
(211.36.xxx.56)
감기 그런거에 병원 거의 안가요. 심할때나 가죠.
그냥 약국약 사다먹어요.
저희가족뿐 아니라 제 주변인들도 다들 그럽니다.
6. 움
'25.11.7 11:28 AM
(175.213.xxx.244)
감기 배탈..
이런게 간단하고 다 비슷한거 같아도
모든 큰 병의 전조 증상인 경우가 많아요.
그걸 판단해주는게 의사구요.
그런 감기나 배탈 증세 단순 진통제 해열제로만 누르고 살다가 병 키우는게 아직도 허다한 일인데
그것을 제도적으로까지 막아버리면 어쩝니까
가뜩이나 큰 병 수술할 필수 의사도 없는 마당에요.
작은돈 아끼려다가 병 키우고 큰돈 듭니다.
신중합시다
7. 공감합니다
'25.11.7 11:32 AM
(119.195.xxx.153)
경증은 본인 부담금 더 많이
중증은 본인 부담금 더 적게
그리고,,,,,,,,,,,, 한방병원과 병원,,,,,,, 의료보험 분리 해 주세요 제발
8. 비급여
'25.11.7 11:37 AM
(218.50.xxx.169)
비급여화까진 어려워도
경증은 본인 부담금 더 많이
중증은 본인 부담금 더 적게
그리고,,,,,,,,,,,, 한방병원과 병원,,,,,,, 의료보험 분리
22222
9. 전
'25.11.7 11:39 AM
(110.11.xxx.105)
지금 좋은데요? 혹시 약사님이세요?
중증 때만 의사 만날 수 있는 의료체계요?
미국? 영국?
공공의료 영국은 별별 희한한 의료기사 단골 주인공 아닌가요?
타이레놀 같은 처방으로 버티다 때 놓치는?
아님,
아무 때나 의사 만나려면 비싼 돈 주고 비급여 진료 받는 상황 만들게 될 거예요.
돈 없으면 미국처럼 별별 건기식, 진통제로 자가처방 하는.
캐나다에서
지인이 몸이 심상치 않은데 가벼운 진료만 해주니
다시 검사, 진단 받으려는데 안해줘서
(검사, 진단을 환자 맘대로 다시 받을 수 없대요)
학업 다 내려놓고 급히 귀국해 진료 받았어요.
위급한 간질환이라 대학병원에서 치료 받았고
더 늦었으면 큰일날뻔 했다고 여태 가슴을 쓸어 내립니다.
아쉬운 부분은 보완해야겠지만
지금 의료체계 기본틀을 바꾸는 건 절대 반대요!!!!
10. 경증은
'25.11.7 11:45 AM
(59.7.xxx.113)
본인부담율 높여야한다는 말은 여러차례 나왔으나 소아과병원은 안그래도 힘든데 더 힘들게 한다는 말도 있고 소득낮은 노인들은 어쩌란 말이냐..라고도 하고 쉽지 않죠.
11. ㅇㅇ
'25.11.7 11:46 AM
(112.170.xxx.141)
약국약만 먹다가 큰 병 키우는 거 봐서요.
중증여부는 개인이 판단할 일이 아니죠.
12. 전
'25.11.7 11:49 AM
(110.11.xxx.105)
그리고
경증 부담 크게 하는 것이 좋겠다 생각해본 적 있는데
이 또한 병 키우는 사람들 많아지게 될 수 있지 않을까요?
돈 든다 생각하고 진료 미루겠죠.
그래서 큰 병 되면 건강보험 재정 지출로 이어질 것이고요.
경증이라도 염려되어 진료 받고 싶을 때 비급여 진료 받아야 하는 상황,
싫습니다.
13. 이제바꿔
'25.11.7 11:51 AM
(221.149.xxx.36)
-
삭제된댓글
연고 안약 인공눈물 제산제. 등등 선진국은 다 약국도 아닌 마트에서 사는 것들을
왜 우리나라는 의약분업이라는 명분아래
의사만나 진료비 내고
약바만나 조제로 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예전같은 문맹국가도 아니고
다들 고등학교 이상 나온 국민들인데
저런 간단한 것들은
의약사 안 거치고 선진국들처럼 마트에서 사도 되잖아요
심지어 새벽배송시켜도 됩
이런것들이라도 의약분업 제외하면 건보료 세이브 정말 많이 될겁니다.
14. ....
'25.11.7 11:58 AM
(223.38.xxx.97)
감기약도 처방약이 효과가 좋아요.
15. 경기도
'25.11.7 12:04 PM
(122.36.xxx.22)
여주 이천 갔는데 병원이 전무
의약분업 예외지옉이라
약국서 약사가 경증진료&처방 하더라구요
전문약으로 조제하던데 그정도는 약사에 푸는것도
의보 절약차원으로 괜찮지 않나요
근데 그러면 내과 가정의학과 이비인후과 소아과 등
개원의들 타격이 있으니 절대 안되겠죠
이권이 다 붙어있으니 경증 자비부담 올리는 것도 쉽지 않을듯
16. 경기도님
'25.11.7 12:12 PM
(110.11.xxx.105)
그렇게되면
서울, 광역시들 포함 모두
의약분업 예외지역 처럼 되는 거네요...
병원 말고 약국 다니는.
17. ---
'25.11.7 12:17 PM
(220.116.xxx.233)
감기 증상 처럼 보이지만 감기가 아닌 경우가 꽤 있어요.
그건 약사가 판단할 일이 아니고요.
굉장히 위험한 생각이십니다...
18. 지금
'25.11.7 12:27 PM
(211.234.xxx.150)
지금 의료체계가 우리 대다수한케 아직 좋은 거 맞죠,
근데 응급뺑뺑이도 증증 필수과 의사도 없는 거,
지금 시스템이 문제가 있으니 뭔가 바꿔야한다는 건데,
지금이 좋다는 말은 현실외면인가요?
내가 약사면 이 시간에 댓글이나 쓰고 있겠나요.
아직 50대인 내가 더 늙으면 정말 문제가 심각할 수 있겠구나
싶은거죠.
뭐든 최고로 받고 싶은 거, 의료/교육은 끝도 없다더니
갈데까지 가보는 거겠죠.
19. 음
'25.11.7 12:34 PM
(211.234.xxx.1)
40후반부터 감기 걸리면 너무 오래가고 힘들어요.
직장 안 가면 집에서 푹 쉬면 되는데 그러지 못하니
더 힘들구요.
그래서 감기 기운 있으면 바로 병원 가서 처방약
받아 먹어요.
20. 동네병원도
'25.11.7 12:38 PM
(122.36.xxx.22)
감기 2~3주 끌다가 그제서야 큰병원 가는 경우도 많긴 하죠
어쨌거나 의료비절감을 위해 이궁리저궁리 해봤자 저마다의이권이 있어서 쉽지 않을듯요
당장 경증 자비부담 높이면 어지간해서 병원 안갈거고 그러면 개원의들도 가만 안있을듯
21. 한의원
'25.11.7 12:44 PM
(112.151.xxx.19)
한약만 빼도 괜찮을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