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후견인 없는 노후 돈관리는 누가 하나요?

조회수 : 3,476
작성일 : 2025-11-02 11:59:44

최근에 소설읽고 있는데, 자녀들이 멀리서 있어서

노인을 잘 케어를 못하고 요양보호사가 오히려 딸같이 살갑게 대하는데, 실버타운 입주비를 잃어버려

요양보호사가 의심 받는 상황이 소설에 등장하더라구요.

진실은 안밝혀지구요. 

돈이면 다된다고 하더라도 80대 되면 금융 관리하는

지능도 떨어지잖아요.

당장  노인 인구들  영민하더라도 눈이 침침해지니

키오스크 사용도 잘 안되고 정부 24 앱사용도  어려운게 현실인데요.

후견인이나 자녀없는 경우 금융 관리는

다들 어떻게 대비하시는지 궁금해서요.

특히 무자녀 부부는요.

IP : 223.39.xxx.50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wnqus
    '25.11.2 12:01 PM (203.142.xxx.241) - 삭제된댓글

    주변 지인보니 형님 딸 하나(딸 두명인 형님)를 수양딸 삼아서(입양은 안하고)
    차도 사 주고 나중 집도 준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니 그 조카가 잘 살펴드리더이다
    형님 입장에서도, 큰딸 입장에서도 손해 보는 거 아니니 다 사이좋게요

  • 2. 그래서
    '25.11.2 12:06 PM (83.249.xxx.83)

    무조건 결혼시키려고 난리였던건데.
    무슨 결혼을 지들 잡아먹는건줄알고 펄쩎뛰고 이혼하고 뛰쳐나오고 .
    옛분들이 영민하신거였어요.
    결혼해서 애낳고 키우는거 보통일 아니고 힘들고 어려운거지만,
    그게 다 나중을 위한 보험이라고.
    자식 낳은게 결국은 나 편하려고 한거죠.
    자식새끼 오죽이나 힘든가요. 몇 십년 어렵게 키워놓은거 나중에 저런꼴 안당하려고 하는거죠.

  • 3. 일인가족이
    '25.11.2 12:18 PM (112.154.xxx.218)

    늘어나면서 나라에서 그런 제도를 마련해주지 않을까요

  • 4. 요즘은
    '25.11.2 12:19 PM (58.231.xxx.145)

    은행에서 관리해주는 상품이 나왔던데요?

  • 5.
    '25.11.2 12:20 PM (124.49.xxx.205) - 삭제된댓글

    은행마다 신탁제도가 있으니 잘 활용하면 되겠죠 저도 아버지 지인중에 독거노인이 있는데 요양보호사께 몇십씩 막 주더라구요. 저희 아버지도 위중해서 관섭할 상황도 안되고 건너건너 듣는데 누가 말리겠어요 안타까웠어요

  • 6. ..
    '25.11.2 12:21 PM (59.14.xxx.159)

    저도 자식 둘키우지만
    돈없고 늙어서 내손으로 밥 못먹을때면 무슨 소용인가 싶어요.
    돈이 있어야 자식도 있다는글 여기 많잖아요.
    혼자인분들은 신탁같은걸 이용하면 어떨까요?

  • 7. 돈어디다쓰게요
    '25.11.2 12:28 PM (116.32.xxx.155) - 삭제된댓글

    아버지 지인중에 독거노인이 있는데 요양보호사께 몇십씩 막 주더라구요. 저희 아버지도 위중해서 관섭할 상황도 안되고 건너건너 듣는데 누가 말리겠어요 안타까웠어요

    저는 생각이 달라요.
    그 나이에 옷을 살 거예요, 건물을 살 거예요.
    죽으면 돈 싸들고 갈 것도 아니고
    갈 날이 무수히 남은 것도 아니고
    남겨 봐야 찾아오지도 않는 자식이나 친척들에게 갈 텐데
    나 잘 돌봐주는 사람이 있으면
    돈 쓰면서 기분 내고 돌봄도 잘 받을 것 같아요.
    요양보호사든 옆집 젊은 부부든.
    이웃집 노인에게 유산 받았다는 사람들이나
    노인이나 이해가 돼요.
    저는 그분이 돈 잘 쓰는 거라 생각.

  • 8. 돈아껴뭐하게요
    '25.11.2 12:29 PM (116.32.xxx.155) - 삭제된댓글

    아버지 지인중에 독거노인이 있는데 요양보호사께 몇십씩 막 주더라구요. 저희 아버지도 위중해서 관섭할 상황도 안되고 건너건너 듣는데 누가 말리겠어요 안타까웠어요

    저는 생각이 달라요. 왜 안타까우신지?
    그 나이에 옷을 살 거예요, 건물을 살 거예요.
    죽으면 돈 싸들고 갈 것도 아니고
    갈 날이 무수히 남은 것도 아니고
    남겨 봐야 찾아오지도 않는 자식이나 친척들에게 갈 텐데
    나 잘 돌봐주는 사람이 있으면
    돈 쓰면서 기분 내고 돌봄도 잘 받을 것 같아요.
    요양보호사든 옆집 젊은 부부든.
    이웃집 노인에게 유산 받았다는 사람들
    가끔 보이던 이해가 돼요.
    저는 그분이 돈 잘 쓰는 거라 생각.

  • 9. 그럼돈어떻게쓰게요
    '25.11.2 12:30 PM (116.32.xxx.155)

    아버지 지인중에 독거노인이 있는데 요양보호사께 몇십씩 막 주더라구요. 저희 아버지도 위중해서 관섭할 상황도 안되고 건너건너 듣는데 누가 말리겠어요 안타까웠어요

    저는 생각이 달라요. 왜 안타까우신지?
    그 나이에 옷을 살 거예요, 건물을 살 거예요.
    죽으면 돈 싸들고 갈 것도 아니고
    갈 날이 무수히 남은 것도 아니고
    남겨 봐야 찾아오지도 않는 자식이나 친척들에게 갈 텐데
    나 잘 돌봐주는 사람이 있으면
    돈 쓰면서 기분 내고 돌봄도 잘 받을 것 같아요.
    요양보호사든 옆집 젊은 부부든.
    이웃집 노인에게 유산 받았다는 사람들
    가끔 보이던데 이해가 돼요.
    저는 그분이 돈 잘 쓰는 거라 생각.

  • 10. 시스템
    '25.11.2 12:30 PM (180.65.xxx.211)

    요즘은 자식 있어도 하나 정도뿐이라, 외국 또는 타지역에 떨어져살거나 바쁘고 어쩌고 하면
    못챙기는 경우가 비일비재할 거 같고
    그렇게
    사회적 문제가 몇번 일어난 후에
    나라에서 법제화된 시스템이 나올거 같아요.
    법은 항상 현실보다 한박자 늦으니까
    시스템 좋아질때까지 온전한 정신줄 잡고 있어야죠.

  • 11. ㅇㅇ
    '25.11.2 12:41 PM (211.251.xxx.199)

    나 잘 돌봐주는 사람이 있으면
    돈 쓰면서 기분 내고 돌봄도 잘 받을 것 같아요. 2222

  • 12. 보통은
    '25.11.2 12:42 PM (211.186.xxx.7)

    친한 조카들이 보살핌 노릇 해주고 유산도 받지요.

  • 13. 나라
    '25.11.2 12:47 PM (223.38.xxx.11)

    나라에서 그런 노년들을 위한 제도까지 만들어주기에는 할게 너무 많네요.

  • 14.
    '25.11.2 12:54 PM (124.49.xxx.205) - 삭제된댓글

    그 분이 어떻게 쓰던 상관은 없죠. 넉넉한 상황이 아닌데 진짜 위급할 때 어쩌나 하고 약간 걱정되긴 하죠. 물론 연세가 아주 많으셔서 병원치료 안받고 싶으실 수도 있구요

  • 15. 오수20
    '25.11.2 12:56 PM (182.222.xxx.16)

    나라에서 해야죠. 임대주택부터 너무나 많은 복지를 민간에 맡기고 있는데요. 제발 정부안으로 제대로 된 시스템을 갖춰주시길

  • 16.
    '25.11.2 1:01 PM (124.49.xxx.205) - 삭제된댓글

    잘 돌봐주는 분 만나면 돈 안아깝겠죠. 저희도 그런 분 만나서 그런 편견을 가지고 보는 건 아니예요. 돌봄이 잘 이뤄져서 주시는 게 아니라.. 암튼 뭐 각자 인생이니 아버지가 안타깝다 하셔서 저도 안타깝게 생각되었던 거죠.

  • 17. ㅇㅇ
    '25.11.2 1:08 PM (223.39.xxx.7)

    살아있는 형제나 친척들 중에 가장 가까운 사람이 하게 되는거죠.
    피붙이 없으면 피붙이의 피붙이가 아닌 부인이나 남편등등 또 그들의 자손..등등이 하고
    요양보호사 쓸때도 통장관리 잘해야 돼요.

  • 18. ....
    '25.11.2 1:14 PM (223.39.xxx.158)

    노인을 케어해주는 가족이 없을뿐이지
    통장 관리해주는 사람을 많을거에요.
    서로 할려고 난리일듯

  • 19. ..
    '25.11.2 1:22 PM (58.123.xxx.253)

    나라에서 해야할 복지 사업이라 생각해요.
    공무원 , 감사 많이 뽑아 복지 일자리 많이 만들고
    ai 사업 돈 많이 버는 기업들 세금 많이 내고..

  • 20. ....
    '25.11.2 1:37 PM (61.43.xxx.178)

    통장관리 해주려는 사람이 많은게 뭐가 중요해요
    믿을만한 사람인가가 중요하죠
    일본은 정부에서 그런 노인들을 위해 후견인 제도 같은게 있더라구요
    정부에 등록된 사람들인거죠

  • 21. 그래도 자식이
    '25.11.2 1:43 PM (223.38.xxx.93)

    맡기기엔 가장 믿을만하죠
    타인은 뭘 믿고 맡기겠어요

  • 22. ....
    '25.11.2 2:04 PM (223.38.xxx.182)

    돈관리야 서로 해주겠다 난리겠죠.
    사기한번 당하면 비참하게 죽는거고.
    지금도 집에 드나드는 요보사들도 슬쩍하는 경우 많아요.

  • 23. 자식인가
    '25.11.2 2:14 PM (168.126.xxx.113)

    빼앗겨도 내 자식이 낫나요?
    뉴스보면
    보호사도 훔쳐가고
    수양자식도 돈 다 빼먹고
    조카도 그렇고

    일본 영화에 은행 직원이 노인들 집 찾아다니며
    에금을 대신 해 주는데 이여자가 치매 할머니 돈으로
    연하님과 바람 피면서 돈 다 씀.

  • 24. 경험자
    '25.11.2 3:33 PM (121.128.xxx.105)

    지금도 집에 드나드는 요보사들도 슬쩍하는 경우 많아요.2222

    추가로 노인들에게 입안의 혀같이 굴어서 돈을 주게 만듭니다. 보통이 아니에요 다들.

  • 25.
    '25.11.2 6:34 PM (121.167.xxx.120)

    나라에서 몇년 전부터 시스템 개발 중이라고 하던데요
    개인이 상속인이 없는 경우 복지재단이나 기관에 사후 기부 약정하면 거기 직원이 병원 모시고 다니고 입퇴원 시키고 돈 관리 해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0096 ETF만 하고 계신분 뭐 가지고 계세요? 6 ddd 16:06:41 1,645
1770095 생굴 샀는데 냉장고에 일주일 둬도 되나요 6 oo 16:03:55 589
1770094 알바하는 곳에서 급여를 입금 안해줬어요 3 월급은소중 16:03:07 780
1770093 아파트 실내온도 떄문에 넘 고민입니다. 다들 요즘 몇도신가요? 13 ... 15:59:47 1,289
1770092 주식으로 돈벌어 집 샀는 글 보고 느낀 점 13 15:56:48 2,732
1770091 아직은 아니에요 지리산 단풍.. 15:50:59 637
1770090 섬유유연제 르샤트라 향과 품질 괜찮으신가요? 3 애경 15:48:15 439
1770089 중년되니 너무 억울하네요 8 ..... 15:47:27 3,119
1770088 젠슨황, 나카이치에게?.jpg 4 셧더마웃 15:46:59 1,815
1770087 층간소음 분쟁 무서워 1층을 못벗어나요 4 ㅇㅇ 15:45:59 881
1770086 조희대 상대 손해배상청구 소송 국민원고단 모집 사법정의TV.. 15:43:14 227
1770085 요즘도 고터몰에 인테리어소품 가게 있나요? 4 ... 15:33:45 481
1770084 KODEX 200TR,sk하이닉스 지금 사기 늦었을까요? 11 주식 15:33:43 2,185
1770083 마이클잭슨의 첫사랑이었다는 다이애나로스 아티스트로서의 평가는 어.. 3 .. 15:33:27 1,453
1770082 중고등학교 카톡 대안 있나요? 4 .. 15:31:54 665
1770081 은중과 상연 끝에 울었네요 123 15:31:05 576
1770080 정의선 '국가신세 꼭 갚겠다'…관세인하에 감사 표시 34 ... 15:27:38 3,188
1770079 집도 지저분한데 집으로 초대하는 심리 17 심리 15:25:57 2,796
1770078 성시경이요..10년 넘게 일한 매니저가 얼마나 돈을 해먹었길래... 39 궁금하네요 15:21:56 7,364
1770077 경동시장 아싸! 간만에 또 다녀왔어요 9 날안추움 15:19:53 1,398
1770076 아파트 층수 선택이요 12 ... 15:17:18 1,192
1770075 1월 첫째주~둘째주 스위스 여행 4 여행 15:16:22 475
1770074 시부모의 졸혼과 별거 15 ㅇㅇ 15:14:00 3,237
1770073 집에서 맛간장 만들때 설탕 생략해도 되나요? 4 맛간장 15:09:38 386
1770072 시진핑 바둑판 제작자 “가격은 매길 수 없어...100년 가도 .. 1 15:09:17 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