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님과 같은 생각을 많이 해보았죠.
댓글 읽다보니 제가 내린 결론과는 너무 상반되는 결론을 내리시는 분들이 많아서
여성 참정권 최초는 영국 1918년....
그 여성참정권 하나 가지려고 참정권 운동한 것은 1980년대 남자들은 거저 얻는 그 권리 하나로
58년을 투쟁해야 했음에도
프랑스 (1944), 일본 (1945), 이탈리아 (1945)보다는 조금 늦었지만,
우리나라는 1946년 얻게 되었죠.
스위스 (1971), 포르투갈 (1976), 사우디아라비아 (2015) 이지만
이슬람 국가는 아예 여자의 인권은 말 할 수 없겠죠.
참정권을 얻은 1946에도 우리나라는 아직도 처첩이 존재했고 여성에게 제대로 된 기회주지도 않았고
교육뿐만 아니라 재산은 무조건 가정사에 결정들은 아들 위주로 세상은 돌아갔죠.
70-80년대 남동생이나 오빠 공부시키기 위해 공장으로 내몰렸던 여자들이 얼마나 많았나요.
아니면 오빠나 남동생보다 공부 잘 했지만 진학을 포기했어야만 했던 여자들도 많았죠.
90년대 기업들 남녀신입사원 비율 확실히 차이가 났고 승진에서는 아무리 능력 좋아도
여자라는 이유로 제외 되기 일쑤였죠.
오늘날 까지 남녀차별 점수 주는 사례들이 많이 났죠
그 대표적인 예로 노벨물리학상도 원래는 퀴리 부부 공동의 연구였음에도 남편인 피에르만 수상 대상자였다가, 이를 안 피에르가 끈질기게 청원을 내서 부부 공동 수상으로 변경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어요.
피에르 퀴리가 그 정도로 양심적이고 바른 사람이 아니었다면 역사는 달리 적혀졌을 수도 있습니다.
위인들 뒤에 숨은 여자 내조자들의 능력을 빼앗았다고 나온 위인들도 많지 않나요?
어느 정도 남녀 차별없는 느낌이 드는 것은 2000년 겨우 들어와서에요.
2000년동안 남자들은 여자들의 내조와 원조를 받아가면서 위인이 되었죠.
여자들 이제 부모들의 제대로 된 후원으로 자신의 능력 펼치고
제 목소리 낼 수 있는게 25년 정도밖에 안되었어요.
그 전에 이름 알려진 여자 위인들은 얼마나 그 고난과 역경을 딛고 일어섰는지
그저 존경스럽거나 아니면 정말 주변의 여건들이 너무 좋아서 여자조차도 능력 펼칠 수
있을만큼 부모들의 지원을 받거나 아니면 그 천재성에 탄복에서 후원자들이
나타날 만큼 두각이 뛰어난 사람들 뿐입니다.
아직도 가부장적인 부모들로 인해 재산은 여전히 아들 위주로 돌아가고 있는 현실이예요.
남자가 더 많은 업적을 내놓는다고 하기전에 출산 육아를 제외하기도 전에........
가장 먼저 여성 남성 출발선상이 똑같았는지 그것부터 생각해보시고 난 뒤에
여자들은 왜 위대한 인물들이 없는지를 물어보셔야 해요.
지금 당신 가사 노동이나 부부사이에 대화에서 대등하다고 생각하고 있나요?
솔직히 전 맞벌이고 남편은 50대지만 설거지 쓰레기버리기등 친구들이 그래도
그 정도면 많이 도와(?) 준다고 할 정도이지만
제가 더 많이 더 오래 하고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