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우리 민족은 왜 흰옷을 즐겨입었나요~?

백의민족 조회수 : 2,388
작성일 : 2025-09-20 13:10:52

“백의민족(白衣民族)”이라는 표현은 한국인을 가리킬 때 전통적으로 많이 쓰이던 말이잖아요. 

경제적,사회적으로 여러썰이 있던데 궁금해서요..

 

흰옷은 때도 잘타고 특히 세제도 없고 세탁하기 힘들던 시절인데 어두운색 옷 입으면 티도 안나고 더 편했을텐데..

여자조상님들은 여러가지로 힘들었을것 같아요.

 

IP : 211.36.xxx.10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나무가죽
    '25.9.20 1:13 PM (223.39.xxx.23)

    벗겨먹었는데
    옷은 ...

  • 2. 제생각
    '25.9.20 1:14 PM (106.101.xxx.18) - 삭제된댓글

    염색기술이 없어서?
    양반들이 입던 색있는 비단과 구별하려고?

  • 3. 천쪼가리라도
    '25.9.20 1:15 PM (219.255.xxx.120)

    걸치면 다행

  • 4. 염색기술이
    '25.9.20 1:19 PM (118.235.xxx.21) - 삭제된댓글

    없어서라고 알고 있음요

  • 5. 객관적
    '25.9.20 1:23 PM (61.81.xxx.116)

    외국인들이 한국인들을 백의민족이라고 부르나요?

  • 6. ...
    '25.9.20 1:23 PM (39.124.xxx.23) - 삭제된댓글

    예전엔 화학적인 염색약이 없고 천연염색만 가능했어요.
    즉, 염색=돈과 시간이 필요함.
    쨍하고 예쁜 색깔은 더 많은 돈과 시간이 필요함.

  • 7. 염색
    '25.9.20 1:27 PM (220.65.xxx.99)

    이 힘드니까요
    염료가 없어서 그림도 죄 수묵화

  • 8. ...
    '25.9.20 1:35 PM (124.111.xxx.163)

    염색하는게 빨래의 수고를 오히려 덜었을 거 같은데 흰옷을 좋아한 취향도 있는 거 같아요. 여자들만 고생한 거죠. 그 흰 옷 빨래하느라.

  • 9. ...
    '25.9.20 1:42 PM (39.125.xxx.94)

    영화보면 서양 서민들은 우중충한 색 많이 입던데
    ...님 말처럼 여자들이 삶아대느라 힘들었을 거 같긴 하네요

    서민 옷 염색이야 회색이나 갈색이었을 테니
    염색 기술이 필요하지도 않을 거구요

  • 10. 산업혁명 이전의
    '25.9.20 2:14 PM (219.255.xxx.120)

    인류의 생활은 석기시대랑 차이가 없었대요

  • 11. 은나라 후예
    '25.9.20 2:29 PM (114.203.xxx.239)

    은나라가 망하면서 유민이 조선에 자리잡았고 중국은 역대 왕조마다 그 왕조를 상징하는 색이 하나씩 있었는데 ( 당나라 금나라 다 색이 있었는데 기억안남 ㅜ) 상징이 흰색이어서 라고 한문학자께서 알려주심 염색기술 어쩌고는 일제시대 망언중 하나..염색기술 없는 나라에 색동옷이 왜 있겠음..흰색에 대한 특별한 선호로 음식도 백명란 백순대 등 흰색이 고퀄, 상복도 흰색, 검정은 일본에서 들여온 것임

  • 12.
    '25.9.20 3:34 PM (220.117.xxx.100)

    왕족이나 돈많은 양반가 빼고 평민들이 대부분인데 먹고살기도 어려웠던 시절에 무슨 염색이요
    염색기술이 넘치고 빼어났으면 굳이 흰색 고집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함
    왜 특별한 날에만 색동을 입었는지 생각해 보면 색동이 평상복에 쓰이지 않아서일 것이고 왜 평상시에 색색의 옷을 못 입었을까 생각해 보면 답이 나오죠
    저도 한국인이고 한국에 대해 자랑스러워할 것들이 많다고 보지만 백의민족이 특별히 흰색을 사랑해서 그런다는 말은 좀 억지스럽게 느껴져요
    그냥 아무 말도 붙이지 않는게 좋았을뻔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 13. ㅇㅇ
    '25.9.20 4:06 PM (211.234.xxx.228)

    흰옷 자체가 염색 기술이 사용된거래요
    천연 옷감은 그렇게 하얗게 뽑히지 않는다고 함

  • 14. 옛날
    '25.9.20 4:09 PM (121.124.xxx.33) - 삭제된댓글

    시할머니 돌아가셨을때 흰소복 입었었는데 하루만 지나도 얼마나 고질고질 해지던지요
    그 옛날 매일 빨아입지는 않았을테고 어떻게 입었을까요

  • 15. 흰색을 좋아해서
    '25.9.20 4:53 PM (112.168.xxx.146)

    흰색을 좋아해서요

    한국인이 흰옷을 즐겨 입었다”는 기록은 삼국시대 이후 빈번하게 발견된다. 위지동이전 ‘부여’에 “부여인은 흰색 옷을 숭상해 흰옷에 소매가 넓은 포와 바지를 입는다”는 기록이 있다. 에는 “신라의 복색은 흰색”이라는 묘사가 나온다

    염색기술타령은 그냥 헛소리고요~

    그리고 예전에 빨래할 땐 잿물을 사용했대요 이걸로 빨면 푸르스름한 흰빛이 된다고…

  • 16. 중세
    '25.9.20 5:54 PM (121.128.xxx.105)

    시대 걸레 색 옷들보다 흰색 옷이 더 이뻐요!

  • 17. ㅇㅇ
    '25.9.20 7:38 PM (118.235.xxx.55)

    흰색을 좋아해서라구요?
    그러면 양반들은 왜 색깔있는 옷들을 입었나요?
    그게 제일 싸니까 흰옷을 입었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5815 식당에서 나오는 딱딱한듯 하면서 쫀득한 어묵볶음 레시피 아시나요.. 8 요리초보 2025/09/20 2,780
1755814 병원 위로금 ㄴㅌㅈㅅㅈ 2025/09/20 773
1755813 회사에서 보면 3 ... .... 2025/09/20 964
1755812 고구마가 퍽퍽한데 어찌 먹음 좋을까요? 11 이번에산 2025/09/20 1,368
1755811 딥워터 푸른주스 먹고 배가 너무 아파요. 2 ㅠㅠ 2025/09/20 1,016
1755810 암 수술하면 체력? 면역력이 떨어지나요? 14 암수술하신분.. 2025/09/20 2,572
1755809 시원한데 상큼하고 많이 달지 않으면서 달달한 19 찾고싶다 2025/09/20 3,533
1755808 일리 커피 머신 색상 추천해 주세요 6 …. 2025/09/20 796
1755807 평생 돈에 무심하고 살았던 8 2025/09/20 3,998
1755806 역시 찐부자들은 민생지원금 타령 안하네요 ㅎㅎ 24 ㅣㅣㅣ 2025/09/20 4,143
1755805 남편 안경 맞추러 왔는데요 10 Nnn 2025/09/20 2,982
1755804 은중과 상연 질문이요. (스포있음) 10 ㅎㅎㅎ 2025/09/20 3,392
1755803 건조기 좋긴 좋네요 13 좋네요 2025/09/20 2,821
1755802 2차소비쿠폰 어디서 알아보나요? 3 000 2025/09/20 2,412
1755801 최저시급에 집 차 없는데 상위 10퍼? 29 . . . .. 2025/09/20 5,004
1755800 중.고등학생 쌍꺼풀수술 언제가 좋아요? 12 Dhshs 2025/09/20 1,323
1755799 6.25때 처럼 전쟁나면요 21 .. 2025/09/20 2,512
1755798 한가인이 광고하는 세탁세제 라비킷 써보셨나요? 2 얼룩 2025/09/20 1,132
1755797 소비쿠폰 대상자 아니신 분들 40만원에 타격크신가요? 64 지나다 2025/09/20 5,253
1755796 7-10만원대 추석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무명 2025/09/20 1,284
1755795 나보다 비싼 집 사는 사람도 다 받는데 못 받으니 좀 억울하긴 .. 29 2025/09/20 4,286
1755794 광주 송정역 주변 잘 아시는 분께 여쭙니다 3 ... 2025/09/20 747
1755793 남대문에 안경점 추천해주세요 5 .. 2025/09/20 1,021
1755792 부자도 아닌데 민생2차 못받아요. 52 .. 2025/09/20 14,168
1755791 우리 민족은 왜 흰옷을 즐겨입었나요~? 13 백의민족 2025/09/20 2,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