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보유세를 증세 이유와 근거가 뭐예요?

.... 조회수 : 978
작성일 : 2025-09-19 14:36:41

답변 부탁     

 

 

IP : 223.38.xxx.10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답변은아니고
    '25.9.19 2:55 PM (61.251.xxx.187) - 삭제된댓글

    82에 집값 글들을 보면서 드는 생각인데 이런 마음 아닐까싶어요
    열심히 일해서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으로 벌었다는 생각은 안하고 무조건 투기라고 생각하는 시선부터 출발.


    아무것도 안한거 같은데 운좋아 집사놓은게 올랐쟎아..
    나도 좋은데 가고 싶은데 너무 비싸서 못가. 그럼 니들 세금이라도 내야 하쟎아.
    그세금으로 나같은 사람 도움주는게 뭐가 나빠?
    내가 아무리해도 비싼집을 못사는데 그냥 앉아서 돈을 벌었으니 내는게 공평한거 아니야?
    비싼집이면 더더욱 많이 내야지. 우리나라 집값이 몇십억에 백억이 넘어가는게 말이 된다고 생각해?
    나는 사실 무슨 사단이 나서 다시 리셋되면 좋겠어.
    그럼 그때 나도 집을 사서 돈을 벌고 싶어.
    음 그런데 노력은 하고 싶지않아. 리스크도 지고 싶지않아.
    그냥 가격이 내가 감당할 정도로 되었으면 좋겠어.
    배가 아파서 집값만 보면 울화통이 터져.
    나도 못사는데 우리아이들은 더 못사게 생겼거든.....
    그냥 부자들 다 가난해졌음 좋겠어.

  • 2. 뭐 그리 거창?
    '25.9.19 2:57 PM (121.154.xxx.224)

    세수 부족하니 돈 나올 곳 찾는 거죠

  • 3. 레알
    '25.9.19 2:57 PM (118.235.xxx.153)

    진짜 우리나라 민도 너무 심해요
    나보다 더 가진거 같으면 빼앗아 나누자 이런 국민성인듯

  • 4. ..
    '25.9.19 3:12 PM (118.235.xxx.52)

    검색을 먼저 해보는게 어때요? 남들이 많이 써놨는데..핑거 프린세스이신가..

  • 5. ..
    '25.9.19 3:12 PM (118.235.xxx.52)

    여기요~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급격한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해 생산가능인구는 감소하고, 복지 및 연금에 대한 지출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증세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어디서 세금을 더 거둬야 할까요?

    우선,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것은 근로소득세입니다. 현재 한국의 근로소득자 중 약 40%가 면세 구간에 속해 있습니다. 이는 국제적인 기준으로 볼 때 매우 이례적인 상황입니다.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아무리 저소득자라도 최소한 5~10%의 세금을 내도록 하고 있습니다. 조세 형평성 차원에서라도 이들의 면세 구간을 축소하는 것이 논리적인 순서입니다.

    하지만 모든 근로소득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면 '조세정의'라는 더 큰 문제가 발생합니다. 근로소득자가 연봉 5천만 원을 벌어 200만~350만 원의 세금을 내는 상황에서, 주택을 10억 원에 사서 15억 원에 팔아 5억 원의 시세차익을 얻고도 양도소득세가 150만~200만 원에 불과하다면, 과연 이것이 정의로운 조세 구조라고 할 수 있을까요? 노동을 통해 얻은 소득보다 자산 증식으로 얻은 불로소득에 더 낮은 세금이 부과되는 현실은 근로 의욕을 저하시키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킵니다.

    더욱이 앞으로의 한국 사회는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고 우수한 인력이 해외로 유출되는 문제까지 겪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근로소득과 불로소득 사이의 조세 형평성을 바로잡는 것은 국가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됩니다.

    그렇다면 근로소득세 외에 손볼 수 있는 세금은 무엇일까요? 부가가치세가 있습니다. 현재 10%의 단일세율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올리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 소득세 면세 구간이 사라진 저소득자들에게 부가가치세 인상분까지 부담하게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은 부동산 보유세 인상입니다. 부동산 시세차익은 전적으로 개인의 노력으로 얻은 것이 아닙니다. 정부가 철도나 공원 등 인프라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주변 환경을 개선한 덕분에 가치가 상승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정부가 국민의 세금으로 조성한 이득의 일정 부분을 환수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물론 보유세가 인상되면, 양도소득세를 포함한 모든 부동산 관련 거래세는 최소화되고 보유세로 일원화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부동산을 사고팔 때 발생하는 세금 부담이 줄어들어 시장의 거래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보유세 인상은 주택의 효율적인 배분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합니다. 현재 서울 강남과 같은 고가 지역에는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고령층이 오랫동안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택 외에는 자산이 없어 보유세를 낼 여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서울의 중심 업무지구에 근접한 주거지에는 출퇴근에 막대한 시간을 허비하는 젊은 근로자들이 거주하는 것이 사회 전체적으로 효율적입니다. 보유세 인상은 경제활동이 없는 고령층이 넓은 주택을 처분하고 그 자리에 직주근접을 원하는 젊은 근로자들이 들어와 살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는 주택 가격을 안정시키고, 출퇴근 시간을 줄여주며, 궁극적으로 젊은 세대가 결혼하고 아이를 키우는 데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증세는 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근로소득과 부가가치세 인상에는 한계와 부작용이 명확합니다. 따라서 불로소득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고 주택의 효율적 배분을 유도하는 보유세 인상은 조세정의를 바로 세우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필연적인 선택이 될 것입니다.

  • 6. ...
    '25.9.19 3:32 PM (118.235.xxx.106)

    우리나라 실효 보유세율이 글로벌 대비 많이 낮대요. 부동산 보유세율이 낮으니까 부동산 수익률이 좋아서 부동산에 돈이 몰리는 거래요. 실효세율이 0.1% 인데, 이것을 0.3% 정도까지는 올리자는 주장이 꽤 많아요. 선진국은 1% 정도래요. 세금이 부동산에 많이 유리하답니다.

  • 7. .......
    '25.9.19 3:40 PM (118.235.xxx.106)

    부동산에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되면 세금부담이 적어져서 그렇게 똘똘한 한 채로 몰리는 거래요. 보통 거래세, 양도세 줄이고, 보유세 높이고, 다주택자 규제 풀어주는 것을 바람직한 정책 방향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아요.

  • 8. ...
    '25.9.19 3:40 PM (223.39.xxx.141)

    우리나라 처럼 자기 돈이 아니라 세입자 전세금을 끼고 살 수 있는 곳은 보유세 더 엄격해야 하는데 다른 나라는 1프로인데 우리는 0.1프로에요
    국가에서 갭투기 장려하는거죠

  • 9. .......
    '25.9.19 3:50 PM (118.235.xxx.106) - 삭제된댓글

    기재부 장관이 만약 서울 개포에 집이 있다면 보유세 강화를 할 수 있을까 뭐 이런 생각이 들죠.

  • 10. ...
    '25.9.19 3:56 PM (118.235.xxx.106) - 삭제된댓글

    기사 찾아보니 기재부 장관과 금융위 장관이 2013년 개포주공을 샀다고 하네요. 보유세는 기재부 세제실에서 결정하나요?

  • 11. 주변에
    '25.9.19 4:04 PM (116.46.xxx.92)

    자기 집은 전세대출 받은 사람에게 전세주고
    자기도 전세대출로 전세가서 살며 대출 일으키고
    문정권초기였는데 다주택자도 전세자금대출을
    안 막았어요.
    또 문정권 초기에 법인대출 막힌자고
    부랴부랴 다들 법인만들어 대출90% 받아
    또 갭투하고 그런 사람들이 문정권 초반에 엄청 많았어요.
    그 주변사람 10년만에 그런 식으로
    단돈 자기자본 1.2억으로
    50억 벌고 주변에도 엄청 많다고 자랑합니다.
    하 세상은 요지경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5697 꽃게 냉동 시간? 2 꽃게 2025/09/19 593
1755696 빗소리 들으면 잠 더 잘와요? 4 2025/09/19 1,674
1755695 조국혁신당, 이해민, KT·롯데카드  현장조사, 국민의 데이터는.. ../.. 2025/09/19 570
1755694 남편사망후 형부가 계속 성 추행을해요. 96 푸른바다 2025/09/19 34,533
1755693 황희두 이사 -이명박이 뿌린 씨앗, 윤석열 만들었다 ㅇㅇ 2025/09/19 988
1755692 지볶행)남자가 여자한테 질려버리면 하는 행동 4 .. 2025/09/19 5,498
1755691 저 아무래도 슈퍼개미 되는거 아닐까요?. 14 Dd 2025/09/19 5,613
1755690 리치 아메리칸 걸스 보신분 재미있나요? ... 2025/09/19 470
1755689 이름을 남기는 것.....로버트 레드포드... 3 연예인 2025/09/19 2,356
1755688 홈플러스 폐점 안한다네요 18 오늘기사에 2025/09/19 12,333
1755687 금 안사서 후회 11 ..... 2025/09/19 6,109
1755686 아들 잘 키워봤자 며느리만 좋은 일 시키는 거라는 말 입에 달고.. 13 .... 2025/09/19 5,597
1755685 명언 - 인생의 참된 가치 2 ♧♧♧ 2025/09/19 2,138
1755684 전복으로 미역국? 5 미역국 2025/09/19 1,481
1755683 간편로그인 할 때 조심하세요! 4 ... 2025/09/19 5,172
1755682 근육이 늘었어요. 1 인바디 2025/09/19 1,596
1755681 에어프라이어에 사기 그릇 넣어도 되나요? 8 요리는어렵다.. 2025/09/19 2,121
1755680 유로환율 1642원이네요 12 .. 2025/09/19 4,090
1755679 거실 러그요? 4 .. 2025/09/19 1,163
1755678 강아지 좋아하는 분 보세요. 3 .. 2025/09/19 1,636
1755677 손, 발 쥐가 잘 날 때 도움되는거 있을까요? 5 ........ 2025/09/19 1,193
1755676 이제 스키니진은 유행 안할까요? 16 바지 2025/09/19 4,725
1755675 자궁근종 유방혹 갱년기 호르몬제안되겠죠 9 2025/09/19 2,029
1755674 내 첫사랑 로버트 레드포드, RIP 3 Dd 2025/09/19 1,984
1755673 김치냉장고 오나무 2025/09/19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