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건강 위해 미지근한물 억지로 먹는게 제일 힘들어요

.. 조회수 : 4,877
작성일 : 2025-08-24 22:43:45

시원한 물 벌컥벌컥 먹고있는데

건강 생각하는 사람들은 한여름 빼곤 미지근한물

마시더라구요

따뜻한차도 아니고 미지근한 맹물은 세상 제일

맛 없는 맛이에요..

 

혹시 미지근한물 마시는 노하우 좀 알려주실래요;

IP : 118.235.xxx.7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죽염
    '25.8.24 10:44 PM (118.235.xxx.78)

    죽염을 조금 타서 드세요

  • 2. ㅇㅇ
    '25.8.24 10:45 PM (118.235.xxx.174)

    정수기없으면 강제로 미지근한물 먹게되요 ㅠㅠ

  • 3. Ddd
    '25.8.24 10:47 PM (172.224.xxx.23)

    그냥 실온의 물 먹고있어요

  • 4. ..
    '25.8.24 10:50 PM (118.235.xxx.7)

    죽염 타라고요?ㅠ 울고싶을만큼 더 끔찍한 맛일것 같아요..ㅜ
    미지근한 소금물요? 오...

    윗님 저도 정수기 없어요
    녹차나 헛개차 끓이거나 맹물 끓여서 냉장고에 넣어놓고 시원하게 해서 먹어요..
    요즘 갱년기라그런지 속에 열이 많아서 자꾸 찬물이 먹고싶어요
    당뇨는 아직이구요

  • 5.
    '25.8.24 10:51 PM (58.235.xxx.48)

    찬물은 가슴에 걸리는 느낌이라 안 마신지 오래됬고
    아아도 따뜻한물 옆에 두고 마셔가면서 먹는 사람이라
    원글님 이해는 안 가지만
    특이한 체질 빼곤 찬물 마셔서 좋은 사람은 없대요.
    위장 기능을 떨어뜨리고 면역력에도 안 좋고.
    그냥 마셔 버릇 하시면 또 괜찮아요. 찬물처럼 션한 맛은 없지만
    몸에 빠르게 흡수되는 느낌은 미지근한 물이 더 있거든요.

  • 6. ..
    '25.8.24 10:54 PM (49.142.xxx.126)

    약간 차가운 물 드셔도 돼요
    열이 많을때 미지근한 물 별로던데
    건강상식으로 알려진게 다 맞는건 아니에요

  • 7. ....
    '25.8.24 10:54 PM (220.76.xxx.89) - 삭제된댓글

    생수병 뚜껑에 조금씩 따라먹는 습관 들이면돼요 500ml는 정해져있잖아요 그거 뚜껑에 부어 감질나게 드세요. 먹는거에 초점이아니라 익숙해지고 습관이들어야 먹어요

  • 8. ..
    '25.8.24 10:55 PM (118.235.xxx.7)

    찬물 안좋은거 알겠고 미지근한물이 좋은게 몸에서 느껴지긴하는데 아무래도 날씨탓인지 갱년기 때문인지 미지근한 물이 새삼 너무 끔찍하드라구요..
    제가 생각한거는 차라리 미지근한물 보약 먹는다 생각으로 억지로 먹고 얼음 한조각 입에 머금고 있을까 이건 어떨까 생각만 해봤어요ㅋ

  • 9. ..
    '25.8.24 10:58 PM (118.235.xxx.7)

    생수병 뚜껑에 조금씩요?ㅠㅠ
    다들 건강 위해 많이 노력하시는구나..
    전 관리를 너무 안해서 몸뚱이가 이제 좀 맛이 가는 느낌이 드는데 저도 본받아야겠어요..
    근데 뚜껑에 조금씩.. 하. 갈길이 너무 멀게 느껴지네요

  • 10. ....
    '25.8.24 11:06 PM (220.76.xxx.89) - 삭제된댓글

    이거 의사가 가르쳐준거에요 저 다이어트할때 의사가 물을 많이먹는데 초점두지말고 자주조금씩먹으라고했어요. 지방을 분해하는 유일한 연료가 물이라고 찬물먹지말고 실온에서 따뜻한물로 자주 먹으라구요 제일 작은 단위가 홉이라고 물을 아주적게 자주 먹어야 위에 부담가지 않고 흡수가 된다고 저렇게 먹으라고했어요. 한번에 몽창 먹으면 장기쪽에 무리만가고 소변으로만 간다고요. 여름힘들면 가을부터 서서히 해보세요.

  • 11. ..
    '25.8.24 11:08 PM (118.235.xxx.7)

    네 일단 돈 안드는거니까 조금씩 노력해볼게요
    좋은 정보 주셔서 다들 감사합니다
    진짜 찬물이 안좋은걸 몸이 느껴서 바꿔야해요

  • 12. 더위야가라
    '25.8.24 11:39 PM (124.216.xxx.79)

    건강위해서 상온물을 마시라고 하지만 지금 더위엔 몸의 체온을내려주는게 더 중요해서 시원한물 마시래요

  • 13. 차라리
    '25.8.24 11:47 PM (39.124.xxx.23) - 삭제된댓글

    그러면 따뜻한물을 보온병에
    넣어두고 그렇게 드셔보세요
    그리고 물은 조금씩 자주 마시래요
    저는 영양제를 한알씩 여러차례
    나눠먹어요 겸사겸사 물도먹게^^

  • 14. 정수기
    '25.8.24 11:54 PM (121.186.xxx.10)

    냉,온 정수기를 쓰는데
    냉,온 다 끄고 정수로만 마셔요.
    요즘은 아침에 죽염탄 물
    미지근하게 마십니다.
    습관이 들면 마실만합니다.
    겨울에는 따끈한 물

    저는 사우나할 때 빼곤 온수
    커피도 온커피

  • 15. ㅇㅇ
    '25.8.25 12:24 AM (118.235.xxx.2)

    하 이래서 이 한여름에
    아줌마들이 백화점 푸드코드 같은데서 자꾸 자꾸
    정수로 돌려놓는거였구만요ㅉ

  • 16. ...
    '25.8.25 4:01 AM (124.5.xxx.146)

    중국인들이 건강 위해 찬물 찬음료 안 먹고 따뜻하거나 미지근한 물 먹거든요.
    근데 우리나라 사람보다 건강한 줄도 모르겠어요.
    찬물 유해설이 과학적 근거도 없어요.

  • 17. ㅇㅇ
    '25.8.25 4:55 AM (125.130.xxx.146)

    비염환자는 냉장고를 멀리 하래요

  • 18. 그럼
    '25.8.25 5:05 AM (124.5.xxx.146) - 삭제된댓글

    ㄴ그럼 에어컨은요?

  • 19. 그럼
    '25.8.25 5:33 AM (124.5.xxx.146)

    ㄴ그럼 선풍기, 에어컨은요?

  • 20. ...
    '25.8.25 8:20 AM (202.20.xxx.210)

    뭐 얼마나 더 오래 살아보겠다고 이 더운 여름에 실온 물을 마시겠어요. 그냥 얼음물 먹고 덜 사는 걸 택하겠습니다.

  • 21. ,,,,,
    '25.8.25 1:00 PM (110.13.xxx.200)

    저도 여름엔 먹어요
    요즘엔 얼죽아라고 젊은애들은 사계절 먹던데..ㅎ
    글찮아도 사는거 피곤한데 찬물 하나 못먹고 살고 싶지 않아요.. ㅎ
    건강도 내가 즐겁게 할수 있고 힘들지 않은 위주로 챙깁니다.

  • 22. dma
    '25.8.25 4:59 PM (222.117.xxx.182)

    저는 한여름에도 따뜻한 물 혹은 냉수말고 미지근한 물이 좋아요
    건강에 좋아서 억지로 마시는게 아니고 전 그냥 찬물 먹는거 보다 따뜻한 물이 좋더라구요. 집에 냉온정수기 있는데 먼저 정수로 컵에 물을 약간 받고 그 위에 뜨거운 물을 타요. 그렇게 해서 기상후 한컵 마시거든요. 저는 그게 딱 좋던데 모두 다 취향이 다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6523 저 이재명 지지자인 척 해요 49 2025/08/25 4,461
1746522 타지에서 냉면집 4 꿀순이 2025/08/25 1,356
1746521 남편이 징징대는거 미치겠네요 징징 2025/08/25 2,007
1746520 콜레스테롤약 복용 불면증 생겼어요 7 ... 2025/08/25 1,315
1746519 무당이모가 김명신 영부인 안됐으면 8 ㅇㅇ 2025/08/25 5,751
1746518 부부가 여행갈때 트래블 카드 6 부부 2025/08/25 1,852
1746517 집밥을 어지간히 11 .. 2025/08/25 4,235
1746516 식당 직원들의 담배와 화장실 사용시 앞치마..ㅜㅜ 3 노담 2025/08/25 1,440
1746515 저축은행도 예금보호한도 1억이네요. 8 이제 2025/08/25 2,020
1746514 장윤정 도경완 부부 28 나무 2025/08/25 15,177
1746513 콜레스테롤 수치좀 봐주세요 7 ..... 2025/08/25 1,522
1746512 총신대 이수역 주변 5억전세 6 기다리자 2025/08/25 1,620
1746511 실연의 아픔에 타이레놀이 효과적이라는 글이요 20 ,,,, 2025/08/25 3,924
1746510 눈을 낮추지 못하는 병도 있는 거 같아요. 15 oik 2025/08/25 2,310
1746509 아이폰12미니 쓰시는분 계세요? 11 이앤류 2025/08/25 1,015
1746508 단백질+비타민D 가성비 루틴 추천좀해주셔요~ jason 2025/08/25 381
1746507 남편 은퇴후 아파트 경비직 하시는분 계신가요 25 어떨지 2025/08/25 6,435
1746506 비밀은 누구든 있지않나 6 ㅁㅁ 2025/08/25 1,428
1746505 삼겹살 좋은 건 기름도 안나오네요. 11 2025/08/25 2,275
1746504 배에서 꼬르륵 소리 나는 거 해결방법 없을까요? 5 ㅇㅇ 2025/08/25 1,329
1746503 진짜 바람 한번만 피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하세요? 28 바람 2025/08/25 3,912
1746502 당화혈색소 낮으신분들 5 ㅎㅎ 2025/08/25 2,522
1746501 친조카결혼식 모르시는 친정어머니 40 갈등 2025/08/25 3,909
1746500 굥측 "트럼프가 현 정부를 용납하지 않을 것".. 23 2025/08/25 2,829
1746499 이재명 지지자인 척 해라 7 의심 2025/08/25 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