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심리학과는 이과라고 할 수 있죠?

조회수 : 2,336
작성일 : 2025-08-23 13:33:42

상식과는 달리 심리학과에서 젤 중요한 과목이 통계이고

이과 학문이다... 이게 맞는 말인거죠?

아이가 막연히 심리학과 나와서 상담사를 직업으로 하고싶다는데

제가 얼핏 알기로도 심리학과에서 그런 걸 배우는 게 아닌것 같아서요

 

IP : 1.209.xxx.250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8.23 1:36 PM (192.169.xxx.2) - 삭제된댓글

    그래도 대학에서는 인문계열도 분리되어 있어요.
    본인 상식으로 어느쪽이라고 단정짓는 것은 개인의 자유죠.

  • 2. .....
    '25.8.23 1:36 PM (39.124.xxx.75) - 삭제된댓글

    문과죠
    사회관련 학과들도 거의 통계를 다뤄요

  • 3. 논문
    '25.8.23 1:38 PM (122.36.xxx.22)

    쓸때나 임상심리 상담심리 등 시험과목이라 필요하죠
    죄다 이론이고 실습인데 이과는 아니죠

  • 4. ...
    '25.8.23 1:44 PM (219.254.xxx.170)

    네에???
    심리통계 한과목 있다고 심리학이 어찌 이과에요?

  • 5. ..
    '25.8.23 1:45 PM (39.118.xxx.199)

    통계를 통해 해설하는 영역이죠.

  • 6.
    '25.8.23 1:46 PM (36.255.xxx.142) - 삭제된댓글

    서양의 대학들은 이과와 문과가 분리 되어 있지 않아요.
    우리처럼 두가지 영역이 완전 별개인것처럼 분리하는게 이상한거에요.
    심리학에선 통계와 실험 설계가 중요한 부분이고
    요즘은 뇌과학도 함께 연구 되고 있어요.

  • 7. ???
    '25.8.23 1:47 PM (221.149.xxx.56)

    심리학과 출신들이 상담사 되는 거 맞습니다
    다른 전공자들도 상담사가 될 수 있지만요
    통계는 문이과 상관없이 널리 쓰이는 도구이지
    문이과를 판가름하는 기준은 아니지요
    사회과학에서는 대부분 필수죠. 사회학, 경제학, 경영학, 지리학 등등
    안 쓰이는 데가 없다고 봐야겠네요

  • 8.
    '25.8.23 2:02 PM (124.50.xxx.9)

    이과 과목이 반은 돼서 외국에선 이과대에 속하기도 해요.
    통계학은 필수 과목이 아니고요.
    유독 심리학 쪽으로는 모르면서 아는 체하는 분들이 너무 많네요
    심리용어도 남발되고.

  • 9.
    '25.8.23 2:03 PM (115.138.xxx.1)

    심리학과는 주로 사회과학대 안에 있습니다 사회과학을 연구하는 방법론중 하나가 양적 연구 즉 통계학 기반이구요

    심리학 이론들의 학문적 배경이 워낙 다양한데다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문학 생물학등 광범위한 이론체계가 다 필요하죠
    상담사는 학부 전공과 상관없이 될수는 있으나
    가능한 학부까지 졸업하는게 좋겠죠
    대학원수업의 커리큘럼만으로는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워 합니다

  • 10. ...
    '25.8.23 2:04 PM (39.125.xxx.94)

    그래서 그런가 몇 십년 전이긴 하지만
    심리학과 졸업하고 의대 가는 학생들 좀 있었어요

    왼전 문과가 아니라 가능한가봐요

  • 11. 저요..
    '25.8.23 2:12 PM (211.234.xxx.221) - 삭제된댓글

    수포자, 특히 통계 너어무 싫어했었는데
    심리학과 갔더니 심리통계가 있는 거예요.
    심리통계 빵구난 거 못 메우고
    분석하고, 통계내고... 이런게 적성에 안 맞아서
    결국 중퇴했어요ㅜㅜ

  • 12. ㅅㅅ
    '25.8.23 2:22 PM (218.234.xxx.212)

    통계 좀 필요한 것과 이과라는 건 달라요.

    심리과보다 수학이 훨씬 더 필요한 경제학는 무슨 "특수 이과"라도 됩니까?

  • 13. 전공자
    '25.8.23 2:24 PM (221.138.xxx.92) - 삭제된댓글

    문과입니다.
    통계는 프로그램 돌리면 됩니다.

  • 14. ㅡㅡ
    '25.8.23 2:34 PM (175.127.xxx.157)

    상담사가 목표이면 굳이 심리학과 말고 상담과 가면 될듯요~

  • 15. ㅇㅇ
    '25.8.23 3:04 PM (1.225.xxx.133)

    문과예요

  • 16. ....
    '25.8.23 3:33 PM (112.148.xxx.119)

    통계가 필요한 게 문과예요.
    법칙이 딱딱 맞지 않으니까 가장 많은 경우의 수를 따라가는 거 잖아요.
    이과에선 통계보다 원리가 더 중요

  • 17. 잘못 아시네요
    '25.8.23 3:40 PM (79.235.xxx.26)

    이과 과목이 반은 돼서 외국에선 이과대에 속하기도 해요.
    통계학은 필수 과목이 아니고요.
    유독 심리학 쪽으로는 모르면서 아는 체하는 분들이 너무 많네요
    심리용어도 남발되고.


    ㅡㅡㅡㅡ

    통계는 필수에요.
    님이 제일 잘 모르는 듯.

  • 18. 전공자
    '25.8.23 3:48 PM (122.252.xxx.40)

    댓글보니 부정확한 얘기들이..
    심리학과는 사회과학대학에 속해있고 통계를 포함한 연구방법론은 사회과학에서 필수에요
    논문쓰려면 통계분석해야돼요
    질적연구도 있지만 양적연구가 기본이니까요

    하지만 심리학이라는 학문연구의 방법론이지 이게 심리학 자체가 아니죠.
    학부에서 다양한 심리학분야를 배웁니다
    임상심리(이상심리), 상담심리(심리치료), 심리검사, 생물심리(뇌 신경), 인지심리, 산업심리, 발달심리, 사회심리등요
    학부에서 전체적으로 훑으고 대학원에서 한분야를 전공하는거에요

    임상심리를 전공해서 병원수련받고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상담심리를 전공해서 수련받고 상담심리사
    그 외 전공은 다양한 분야로 갑니다

    "심리학과"라는 학과명을 붙이려면 분야별로 교수진이 다 있어야돼요 그래야 대학원 전공생을 받을 수 있고요
    그래서 심리학과는 생각보다 많지 않아요
    서울소재 대학과 지거국 정도고요
    학부가 상담심리학과, 산업심리학과 등 이런곳은 교수진이 다 없는 곳이라 보면 됩니다.
    대학원도 그쪽 중심입니다. 더 못하다 그런의미는 아니구요

    보통 다 그렇겠지만 심리학쪽도 대학원에서 전공하지 않으면 그쪽 분야에서 일하기 어려워요 자격여건도 잘 안되구요

    상담심리사가 되고 싶다면 대학원에서 상담심리를 전공하면 됩니다
    학부부터 공부하면 훨씬 좋구요
    갈수만 있다면 학부부터 차근차근 밟아가면 좋아요

    시간이 나서 자세히 써봤어요^^

  • 19. 사회과학
    '25.8.23 4:40 PM (211.235.xxx.145) - 삭제된댓글

    사회과학도 과학이라 가설 증명에 통계가 필수예요. 외국의 경우 심리학과가 이과인 경우도 있고 한국 대학도 심리학은 문과로 분류되지만 문이과 통합 전공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스갯소리로 내가 문과인지 이과인지 모르겠으면 심리학과로 오라고 합니다. 교수들도 수학 잘하는 학생 선호하고요.

  • 20. ...
    '25.8.23 5:29 PM (222.106.xxx.248) - 삭제된댓글

    현대 학문은 문이과로 양분되지 않습니다

  • 21. 감사~
    '25.8.23 6:02 PM (211.58.xxx.192)

    심리학 전공자님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22. 전공자
    '25.8.23 10:25 PM (122.252.xxx.40)

    윗님 심리학과 교수님들이 수학잘하는 학생을 선호한다니요
    설마요ㅎ
    인지심리나 사회심리쪽은 혹여 모르지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임상심리나 상담심리쪽은 아니죠^^
    통계분석을 잘하는게 심리학자의 중요한 요건은 아니에요
    대학원 공부하면 어떤 전공이든 어느 정도는 통계 다 돌릴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6036 맛있는 반찬이 뚝딱하고 나왔으면 ㅎㅎ 2 2025/08/23 1,746
1746035 이제야 무화과 맛에 눈을 떴어요. 19 .. 2025/08/23 3,915
1746034 해외로 빼돌린 돈 어떻게 찾나요 3 명신이 돈 2025/08/23 1,404
1746033 공기청정기 꼭 필요한 가전일까요? 5 미니멀지향 2025/08/23 1,336
1746032 서울대 문과 12 ... 2025/08/23 3,428
1746031 지마켓 올반삼계탕4팩 저렴해서 공유해요 6 방가 2025/08/23 1,420
1746030 고2아이 카톡을 보게되었어요 45 애드유 2025/08/23 8,225
1746029 어제 금쪽이 10 속터져 2025/08/23 3,148
1746028 내가 만든 반찬이 맛없는 이유 8 2025/08/23 4,465
1746027 설렁탕집 김치 유통기한 1 .. 2025/08/23 592
1746026 지금 속초 왔어요. 회포장 할수있는곳요. 5 :: 2025/08/23 1,444
1746025 저도 구남친 어머님에게 받았던 오래된 큐빅 귀걸이 선물 3 선물 2025/08/23 3,382
1746024 커피 대신 마시면 좋을 차가 있을까요? 11 제주도푸른밤.. 2025/08/23 2,691
1746023 여자 재생관 사주 좋은줄 알았는데 꼭 그렇지도 않은듯요 5 .. 2025/08/23 1,771
1746022 김치줄기가 기미 있는 것 처럼 얼룩덜룩한데요 2 김치가 2025/08/23 1,007
1746021 시어머님께 말했어요. 7 .... 2025/08/23 3,922
1746020 아주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2 궁금 2025/08/23 1,521
1746019 혼자 첫 출국 해외여행 가는데 출발 부터가 무서워요. 맞는지 봐.. 21 겁쟁이 2025/08/23 3,918
1746018 미술 온라인 강의 후기보다가 웃픈점 1 2025/08/23 1,858
1746017 반찬을 너무 잘해서 네이버에서 팔아보려 하는데요 16 맛도리 2025/08/23 6,240
1746016 어떤 핸드폰이든 다 되는 케이스 보신분?? 3 유유 2025/08/23 870
1746015 음료 추천 부탁드립니다 3 ㅇㅇ 2025/08/23 610
1746014 한달뒤 답바지로 음식 보내려는데 업체에서 지금 완불을 요구해요 2 음식 2025/08/23 1,268
1746013 핸드백 줄이 너무 길때 수선가능할까요? 2 ㅇㅇ 2025/08/23 781
1746012 셀린느는 백화점 쿠폰 사용 안되나요 4 가을하늘 2025/08/23 1,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