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에 불성실한 애들이 모든 면에서 다 불성실한건 아니죠?
아니면 그럴 확률이 높은가요?
학업에 불성실한 애들이 모든 면에서 다 불성실한건 아니죠?
아니면 그럴 확률이 높은가요?
그럴 확률이 높죠. 그러니 초면에 직원뽑고 할 때 최소한의 성실성 확인으로 학벌이라도 보고 뽑는거고요.
재미 없어서 그런거 일수도 있고
원래 천성이 그럴수도 있겠죠
공부머리 없어서 그렇지요
자기가 좋아하는것 만나면 집중하고 잘해요
힘들고 하기 싫어도 해야 할 상황들이 많이 생기죠
그 시기에 속한 조직에서 내가 해야 할 최소한을 하고 있는지의
척도가 되는겁니다.
공부로 모두 성공하라는게 아니라 그 태도를 보는거죠
공부가 적성이 아니라 특성화고나 직업훈련 학교 등에 간 아이들
중에 성실하게 그 과정을 이수하는 애들이 적다는것을 보면
알 수 있어요. 공부만 싫은게 아니라 힘들고 노력하는게 싫다는건요. 거기서도 열심히 노력해서 고등 졸업하고 바로 잘 취업해서
잘 사는 아이들도 분명히 있어요 그 아이들은 성실한데
공부가 적성이 아니었던거구요
현실적으로 인문계 떨어진 아이들이 다니는 특성화고에서
출결이나 수업 학교생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아이들이 대다수라는걸 볼수 있어요
살아가면서 내 위치에서
해야 할일을 잘 할 사람인지를
가장 쉽게 판단할수 있는게 학교생활 이고 그것의 결과가
성적인거죠(공부성적이든 특성화고에서 배우는 특정기술의 성적이든요)
성적낮아도 학교 제시간에 가고 규칙 잘지키는 아이들은 뭘해도 잘해요. 이도저도 아닌 문제아들이 문제죠
나랑 상관없다는 생각과 내가 왜라는 생걱으로 안하는 거일수도요
그러다 목표가 생기면 인생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죠
모두가 공부못했다고 인생이 바닥인건 아닙니다.
학업에 불성실해도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하면 성실하게
열정적으로 하는 사람도 많죠.
학교생활은 별로였던 아이인데 운동을 꾸준히 몇년간해서 몸만들더라구요. 회사생활도 착실하게 하구요.
우리아들은 착실하게 공부하는 스탈이지만 운동하라고하면 절대
못할걸요.
공부가 기준은 아닌것같아요.
학업에 불성실해도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하면 성실하게
열정적으로 하는 사람도 많죠. 222
공부하나로 한 사람의 모든걸 판단하기엔 섣부르다 생각하네요.
주변보면 알수 있어요.
그러니 인생 길다고 하는거고 쉽게 판단하면 안되는거죠.
우리나라는 공부에 목숨거는 분위기라 너무 공부로 사람을 판단하려는듯.
공부도 재능 중 하나일뿐인데 그걸로 줄 세우기엔...
그럼 100미터달리기 16초내 못 들어오는 아이는 불성실한거죠? 눈 말이되나요.
우리 애 보니 학업에 불성실하다고 모든 분야가 그렇진 않더라구요.
프로게이머 한다고 대회 출전하고 게임단 들어가서 tv에도 나올 정도로 했는데요.
자기가 원하는 게임 결과가 안 나오면 왜 그런지 분석하고 주변에 조언 구하고 그 결과물 나올 때까지 밤새 가며 노력하던데요.
지금은 그만 두고 군대 갔지만 한창 할 때 그 정도로 공부하면 서울대 가고도 남겠다고 했어요.
님이 회사 운영하는 사람이면 왜 학벌을 보고 뽑는지 이해가 될 거에요 공부 못 했던 사람들이 곤부만 불성실하게 안 했을 거라는 것 자체는 희망회로에요 대부분의 일에 대해서 조금만 힘들고 어려워도 포기하는 경우가 오히려 많죠
공부만 못 하고 자기 흥미있는 일은 성실하게 하면 뭘 해도 먹고는 살아요 그런 애들은 걱정할 필요가 없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으니 최소한의 학벌은 보고 뽑는거에요
서울대를 대기업기피하는 이유가 마음에 안들면 그냥 나갑니다..
케바케
주변에 대기업 다니는 사람도 없나 보네 서울대를 대기업에서 기피한다고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