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장내시경 몇년마다 하세요?

ㅇㅇ 조회수 : 3,189
작성일 : 2025-07-15 00:03:55

40대에도 대장내시경 많이 하세요?

만 50넘으면 하려고 미뤘는데

2년마다 1년마다 한다는 분들이 계시네요.

 

혈변은 없고, 최근 변비가 오다가다해요.

하루에 한 번 변은 보는데, 최근에는 두번 볼때도 있어요.

장에 가스 잘 차고요

IP : 118.235.xxx.237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5.7.15 12:04 AM (121.173.xxx.84)

    작년에 처음 받아봤는데 2년마다 한번씩 하려합니다

  • 2. o o
    '25.7.15 12:05 AM (183.96.xxx.44)

    '대장 내시경, 45∼74세 10년 주기로'…대장암 검진 권고 바뀐다
    https://m.news.nate.com/view/20250714n29608

  • 3.
    '25.7.15 12:07 AM (218.49.xxx.99)

    병원에서 의사가
    5년마다 대장암 검사하라고 합니다

  • 4. 00
    '25.7.15 12:21 AM (175.192.xxx.113)

    대학병원에서 5년에 한번씩 하라고 하던데요…

  • 5. 예전엔
    '25.7.15 12:37 AM (121.124.xxx.33) - 삭제된댓글

    2년마다 하라고 했는데 이번에는 의사가 5년마다 하라고 하더라고요
    2년마다 국가 검진하니까 저는 6년에 한번씩 할거에요

  • 6.
    '25.7.15 12:42 AM (210.179.xxx.193)

    친정엄마 대장내시경하면서 용정 제거 했거든요. 병원에서 3년뒤에 하라고 했는데 그냥 2년뒤에 했는데 대징암 1기 였어요 ㅠ
    1기라서 복강경으로 장을 12센티 정도 잘라냈거든요. 병원말 듣고 3년뒤에 했으면2,3기 됐을때 발견했을것 같아요.
    건강검진을 매년 아산병원에서 하시거든요. 용종이 빌견되어서 조직검사 하신분들은 5년은 너무 긴 것 같아요.

  • 7. 용종
    '25.7.15 1:01 AM (112.146.xxx.72)

    용종 조직검사 후 선종이나 톱니 발견된 사람은 2넌뒤에 하라고 그 외는 5년마다 권고하던데요

  • 8. ...
    '25.7.15 2:07 AM (211.243.xxx.59)

    용종 나오면 2년
    깨끗하면 5년

  • 9. ㅇㅇㅇ
    '25.7.15 6:36 AM (72.143.xxx.187)

    용종 하나 제거 후지만
    매년은 너무 힘들고
    2년마다요

  • 10. ...
    '25.7.15 6:43 AM (221.142.xxx.120)

    40세부터 5년마다 규칙적으로 했어요.
    가족력도 없고 5번까지 검사할동안
    용종없이 깨끗했는데
    재작년에 생전 처음 관상선종 두개 나왔어요.
    의사 권유로 2년마다 할 예정이예요.
    다음달로 예약했어요.

  • 11. 5년마다
    '25.7.15 8:12 AM (218.48.xxx.143)

    저는 40후반에 아주 작은 용정 하나 떼냈었는데
    5년 지나서 했는데 이번엔 깨끗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6752 인덕션 열전도판사용해보신분~ 모던 2025/07/15 192
1736751 만나자마자 동거하고 잘 사는 커플 있나요? 16 만나 2025/07/15 2,558
1736750 월세 내놓을때 부동산 여러군데 내놓나요? 2 .. 2025/07/15 488
1736749 소변에 거품이.. 6 ㅇㅅ 2025/07/15 1,991
1736748 직장인 51세 여성 운동 루틴 4 소소함 2025/07/15 2,374
1736747 김종혁 "소문 무성, 국힘 한덕수 때문에 160억 날렸.. 3 ... 2025/07/15 2,111
1736746 조명가게 같은 드라마 혹시 추천해주실분? 8 ,,, 2025/07/15 871
1736745 60세인 부부 둘만 사는데 남편퇴근후 저녁은 집에서 먹습니다 53 이게 그렇게.. 2025/07/15 11,711
1736744 빙수도 케익처럼 비싼음식 된거같내요 9 가격실화 2025/07/15 1,611
1736743 업보 빔 받은 강선우 10 인과응보 2025/07/15 2,486
1736742 양배추물김치 9 양배추 2025/07/15 1,197
1736741 손가락 ,전체 팔이 계속 저린데, 어느과로 가야할까요? 7 잘될꺼 2025/07/15 1,029
1736740 알뜰폰 통신사 통화가 너무 끊기는데.. 저만 그래요?? 9 ㅇㅇ 2025/07/15 967
1736739 40억대 아파트에 종부세 155만원 많다는 기사 17 어이가 2025/07/15 2,648
1736738 과외비를 왜 안주실까요.. 26 과외비 2025/07/15 3,823
1736737 낭이들은 밥에 집착이 없네요 신기.. 4 ㅇㄷ 2025/07/15 1,137
1736736 가루세제를 샀는데 어디에 담아 쓸까요? 8 dd 2025/07/15 901
1736735 집에 혼자 있는 분들 점심 뭐 드실건가요? 14 배고파 2025/07/15 2,052
1736734 남편이 직장으로 서울서 사는데 7 글쎄 2025/07/15 1,772
1736733 제습기 괜히 샀나봐요 22 .. 2025/07/15 4,491
1736732 트로피 감사패 앨범 어떻게 버리나요? 2 ㅆㅆㅆ 2025/07/15 492
1736731 중딩 딸은 자기 남편은 프리랜서였음 좋겠대요 7 ㅎㅎ 2025/07/15 1,088
1736730 이런게 인성교육이네요. 아이들 이쁘네요. 7 .. 2025/07/15 2,241
1736729 서울 구청들 "소비쿠폰 예산 마련하느라 사업 올스톱 될.. 16 .. 2025/07/15 2,679
1736728 저희도 경제적으로 5 노후 2025/07/15 1,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