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신도시 살면서 자녀 지역 내 과밀학교 보내기 vs 멀리 이웃지역 학교 보내기

ㅇㅇ 조회수 : 805
작성일 : 2025-06-20 14:03:09

신도시에 살면서 자녀를 멀리 이웃동네 학교로 보내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모 신도시는 젊은 사람이 많아서 육아와 사교육에서 편리한 점이 많지만

학생수가 많아서 과밀학급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하더군요. 

학교를 더 늘려야하는데 학생수 감소 이슈로 학교 신설이 안되다보니 구도심지역에서 학교를 옮기거나 폐교를 시켜줘야 해서

학교 늘리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대요

 

그런 상황에서 대중교통으로 30분 이상 걸리는 이웃지역 학교로 자녀를 진학시키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 이웃지역은 학생수 감소로 학급수가 줄어들고 있는데

학급 당 학생수 20명 정도로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고

역사가 오래된 사립고등학교들이 꾸준히 진학성적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

그리고 신도시의 공립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내신경쟁이 덜하다는 점이 

진학시 좋은 점으로 받아들여지는가보더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매일 아침 출근길에 고등학생 자녀 차에 태워서 학교까지 데려다주는 거

아무리 같은 방향이라지만 쉬워 보이진 않던데

 

IP : 58.239.xxx.234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넝쿨
    '25.6.20 2:14 PM (118.235.xxx.245)

    과밀학급이 내신받기 좋죠

  • 2. ㅇㅇ
    '25.6.20 2:21 PM (58.239.xxx.234)

    넝쿨님
    비슷한 조건이면 그럴건데
    중학생들 공부수준이 차이가 꽤 나나봐요.
    신도시지역이 공부를 더 잘하고 이웃의 구도심은 공부를 못하고
    그런데 대입진학성적은 구도심 사립학교들이 좋고

  • 3. 아마
    '25.6.20 2:22 PM (175.211.xxx.92) - 삭제된댓글

    학생수가 많아야 내신받기 좋은데요???
    게다가 초등도 아니고 고등이 그런 이유로 전학을 하지는 않죠.

    아마 밝힐 수 없는 전학의 사유가 있을 거라는 게 오히려 납득할 만할거 같은데요.

  • 4. 넝쿨
    '25.6.20 2:37 PM (118.235.xxx.101)

    고등학교는 그정도 멀리가는건 흔해요
    그 아이도 전략적으로 간듯요

  • 5. ㅇㅇ
    '25.6.20 2:38 PM (58.239.xxx.234)

    전학을 하는 게 아니라 진학이요. 입학원서에 1지망학교를 이웃지역 학교로 쓴다는 거에요. 내신을 안정적으로 받는 건 학교 규모가 클수록 유리한 게 맞는데 그 동네 사립고가 10년전까지만해도 한 학년 15학급이 넘어가던 큰 학교래요. 학생수가 많이 줄긴했어도 한 학년 200명은 넘고. 그런데 그 지역 중학생들은 공부를 잘못하고. 그렇다더라고요.

  • 6. .....
    '25.6.20 4:42 PM (211.234.xxx.244)

    고등학교는 전략적으로 멀리 가는 경우도 꽤 있어요.
    데려다 주고 데려오는 게 힘들긴 한데
    본인이 감수한다는 거면 뭐...

    저는 직장 다녀서 등하교 라이드는 못 하겠어서
    그냥 동네 성적 좋은 대신 학생수 적은 동네 학원 보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8399 점핑운동 거의 허발 다단계였나요..? 9 . . 2025/06/21 3,126
1728398 어흐 이재명 대통령 짱드셈 10 2025/06/20 2,758
1728397 남친집의 이런부분 문제 없는걸까요? 35 의문 2025/06/20 7,061
1728396 저 50대인데 이거 됩니다:) 15 . . . 2025/06/20 7,069
1728395 오늘 이스라엘 풍경 4 ... 2025/06/20 3,849
1728394 고소영 유튜브 망언 30 ㅇㅇ 2025/06/20 19,088
1728393 휴젠트 온풍기 8 쌀강아지 2025/06/20 1,180
1728392 어릴때 만난 사람과 오랜기간후에 다시 인연이 되는 경우도 있나.. 2 ... 2025/06/20 1,895
1728391 나르,싸패,소패 걸러내는법 ㄷㄷ 2025/06/20 1,613
1728390 이효리 컬리 광고 쫌 그래요.. 53 ... 2025/06/20 16,801
1728389 주진우 아버지는 피해자들에게 보상했나요? 13 이뻐 2025/06/20 2,421
1728388 음식이 왜 이렇게 먹고픈건지.. 8 2025/06/20 2,203
1728387 아이 어릴 때 책들 어떻게 정리하셨어요? 18 ... 2025/06/20 2,450
1728386 아파트 꼭대기층인데 천장에서 물이 새요 2 로로 2025/06/20 3,008
1728385 곽경택이랑 곽신애는 영화계에서 어떤 인물이예요.? 6 .. 2025/06/20 2,360
1728384 위고비 한달 넘는 후기.. 엄청 졸려요 5 위고비 2025/06/20 3,536
1728383 마른오징어 보관 질문 2 마른 2025/06/20 705
1728382 민생지원금 국무회의를 통과한게.. 2 2025/06/20 2,401
1728381 그런데. 한덕수 최상목은요? 3 . . 2025/06/20 1,816
1728380 남편이 올갱이국을 포장해왔는데 어떡하나요 11 ooo 2025/06/20 3,157
1728379 윤돼지 백지들고 일하는척 쑈했던거 기억나세요? 9 ㅇㅇ 2025/06/20 2,097
1728378 젤 꼴보기 싫은 국짐 국회의원! 아주 잘 걸렸네요 28 ㅇㅇ 2025/06/20 5,893
1728377 GPT 5 545345.. 2025/06/20 1,479
1728376 Kbs 추적 60분 보세요 4 Kbs 2025/06/20 5,910
1728375 몸이 끈적해요 4 .. 2025/06/20 2,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