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신도시 살면서 자녀 지역 내 과밀학교 보내기 vs 멀리 이웃지역 학교 보내기

ㅇㅇ 조회수 : 805
작성일 : 2025-06-20 14:03:09

신도시에 살면서 자녀를 멀리 이웃동네 학교로 보내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모 신도시는 젊은 사람이 많아서 육아와 사교육에서 편리한 점이 많지만

학생수가 많아서 과밀학급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하더군요. 

학교를 더 늘려야하는데 학생수 감소 이슈로 학교 신설이 안되다보니 구도심지역에서 학교를 옮기거나 폐교를 시켜줘야 해서

학교 늘리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대요

 

그런 상황에서 대중교통으로 30분 이상 걸리는 이웃지역 학교로 자녀를 진학시키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 이웃지역은 학생수 감소로 학급수가 줄어들고 있는데

학급 당 학생수 20명 정도로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고

역사가 오래된 사립고등학교들이 꾸준히 진학성적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

그리고 신도시의 공립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내신경쟁이 덜하다는 점이 

진학시 좋은 점으로 받아들여지는가보더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매일 아침 출근길에 고등학생 자녀 차에 태워서 학교까지 데려다주는 거

아무리 같은 방향이라지만 쉬워 보이진 않던데

 

IP : 58.239.xxx.234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넝쿨
    '25.6.20 2:14 PM (118.235.xxx.245)

    과밀학급이 내신받기 좋죠

  • 2. ㅇㅇ
    '25.6.20 2:21 PM (58.239.xxx.234)

    넝쿨님
    비슷한 조건이면 그럴건데
    중학생들 공부수준이 차이가 꽤 나나봐요.
    신도시지역이 공부를 더 잘하고 이웃의 구도심은 공부를 못하고
    그런데 대입진학성적은 구도심 사립학교들이 좋고

  • 3. 아마
    '25.6.20 2:22 PM (175.211.xxx.92) - 삭제된댓글

    학생수가 많아야 내신받기 좋은데요???
    게다가 초등도 아니고 고등이 그런 이유로 전학을 하지는 않죠.

    아마 밝힐 수 없는 전학의 사유가 있을 거라는 게 오히려 납득할 만할거 같은데요.

  • 4. 넝쿨
    '25.6.20 2:37 PM (118.235.xxx.101)

    고등학교는 그정도 멀리가는건 흔해요
    그 아이도 전략적으로 간듯요

  • 5. ㅇㅇ
    '25.6.20 2:38 PM (58.239.xxx.234)

    전학을 하는 게 아니라 진학이요. 입학원서에 1지망학교를 이웃지역 학교로 쓴다는 거에요. 내신을 안정적으로 받는 건 학교 규모가 클수록 유리한 게 맞는데 그 동네 사립고가 10년전까지만해도 한 학년 15학급이 넘어가던 큰 학교래요. 학생수가 많이 줄긴했어도 한 학년 200명은 넘고. 그런데 그 지역 중학생들은 공부를 잘못하고. 그렇다더라고요.

  • 6. .....
    '25.6.20 4:42 PM (211.234.xxx.244)

    고등학교는 전략적으로 멀리 가는 경우도 꽤 있어요.
    데려다 주고 데려오는 게 힘들긴 한데
    본인이 감수한다는 거면 뭐...

    저는 직장 다녀서 등하교 라이드는 못 하겠어서
    그냥 동네 성적 좋은 대신 학생수 적은 동네 학원 보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1270 지금 홈쇼핑 창문 로봇청소기!!! 9 ㄹㄷ홈쇼핑 2025/06/29 2,091
1731269 월세 사는게 속 편한 분 계세요? 16 하우스 2025/06/29 3,943
1731268 러브버그 13 벌레싫어 2025/06/29 3,367
1731267 아무것도 안하고 냄비밥이랑 불고기 5 2025/06/29 1,640
1731266 큰수술했구요 매일 약수터가요 3 운동 2025/06/29 2,103
1731265 사법고시는 왜 폐지된건가요? 33 2025/06/29 4,704
1731264 실비보험 전환 고민했는데 하고나니 속이 시원 5 휴우 2025/06/29 2,260
1731263 냥이 코박고 자길래 4 2025/06/29 1,727
1731262 친척중 한 해에 한 집안만 결혼해야 하나요? 25 ㅇㅇ 2025/06/29 2,777
1731261 성찰의 뇌가 고장난.. 이라는 말을 보면서 2 ... 2025/06/29 1,092
1731260 까르띠에 베누아 시계가 몇천만원 대 8 2025/06/29 2,450
1731259 여자 연예인 유튜브 식상해요 12 ㅇㅇ 2025/06/29 4,810
1731258 살면서 이상하거나 불가사의한 일을 겪으신 경험 있나요 2 ooo 2025/06/29 1,919
1731257 러브버그 방제 막은 환경단체 16 2025/06/29 4,680
1731256 급)카톡백업해놓고 복원안해도 되나요? 2 파손 2025/06/29 528
1731255 연예인들 관찰 예능 나만 지겨운가요? 25 지겨워 2025/06/29 4,292
1731254 용인시 폐기물 적환장 철회 요구 청원 입니다 3 ... 2025/06/29 795
1731253 우산은 어떻게 버리나요? 3 궁금 2025/06/29 2,572
1731252 오늘 뭐 드시나요 8 ㅇㅇ 2025/06/29 1,727
1731251 저는 형제 많은 게 챙피하고 지긋지긋 했어요. 10 케바케 2025/06/29 4,283
1731250 블펌) 사다리무새들아 팩트 왜곡하지마 1 계몽됐나 2025/06/29 816
1731249 주택 전체 리모델링 비용 8 000 2025/06/29 1,602
1731248 세상 평화롭네요 20 o o 2025/06/29 3,788
1731247 나도 경원이 처럼 국회에서 캠핑하면 7 2025/06/29 1,449
1731246 언론이 부동산시장이 혼란스럽고 13 .. 2025/06/29 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