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신도시 살면서 자녀 지역 내 과밀학교 보내기 vs 멀리 이웃지역 학교 보내기

ㅇㅇ 조회수 : 823
작성일 : 2025-06-20 14:03:09

신도시에 살면서 자녀를 멀리 이웃동네 학교로 보내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모 신도시는 젊은 사람이 많아서 육아와 사교육에서 편리한 점이 많지만

학생수가 많아서 과밀학급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하더군요. 

학교를 더 늘려야하는데 학생수 감소 이슈로 학교 신설이 안되다보니 구도심지역에서 학교를 옮기거나 폐교를 시켜줘야 해서

학교 늘리는 데에 시간이 많이 걸린대요

 

그런 상황에서 대중교통으로 30분 이상 걸리는 이웃지역 학교로 자녀를 진학시키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 이웃지역은 학생수 감소로 학급수가 줄어들고 있는데

학급 당 학생수 20명 정도로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고

역사가 오래된 사립고등학교들이 꾸준히 진학성적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

그리고 신도시의 공립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내신경쟁이 덜하다는 점이 

진학시 좋은 점으로 받아들여지는가보더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매일 아침 출근길에 고등학생 자녀 차에 태워서 학교까지 데려다주는 거

아무리 같은 방향이라지만 쉬워 보이진 않던데

 

IP : 58.239.xxx.234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넝쿨
    '25.6.20 2:14 PM (118.235.xxx.245)

    과밀학급이 내신받기 좋죠

  • 2. ㅇㅇ
    '25.6.20 2:21 PM (58.239.xxx.234)

    넝쿨님
    비슷한 조건이면 그럴건데
    중학생들 공부수준이 차이가 꽤 나나봐요.
    신도시지역이 공부를 더 잘하고 이웃의 구도심은 공부를 못하고
    그런데 대입진학성적은 구도심 사립학교들이 좋고

  • 3. 아마
    '25.6.20 2:22 PM (175.211.xxx.92) - 삭제된댓글

    학생수가 많아야 내신받기 좋은데요???
    게다가 초등도 아니고 고등이 그런 이유로 전학을 하지는 않죠.

    아마 밝힐 수 없는 전학의 사유가 있을 거라는 게 오히려 납득할 만할거 같은데요.

  • 4. 넝쿨
    '25.6.20 2:37 PM (118.235.xxx.101)

    고등학교는 그정도 멀리가는건 흔해요
    그 아이도 전략적으로 간듯요

  • 5. ㅇㅇ
    '25.6.20 2:38 PM (58.239.xxx.234)

    전학을 하는 게 아니라 진학이요. 입학원서에 1지망학교를 이웃지역 학교로 쓴다는 거에요. 내신을 안정적으로 받는 건 학교 규모가 클수록 유리한 게 맞는데 그 동네 사립고가 10년전까지만해도 한 학년 15학급이 넘어가던 큰 학교래요. 학생수가 많이 줄긴했어도 한 학년 200명은 넘고. 그런데 그 지역 중학생들은 공부를 잘못하고. 그렇다더라고요.

  • 6. .....
    '25.6.20 4:42 PM (211.234.xxx.244)

    고등학교는 전략적으로 멀리 가는 경우도 꽤 있어요.
    데려다 주고 데려오는 게 힘들긴 한데
    본인이 감수한다는 거면 뭐...

    저는 직장 다녀서 등하교 라이드는 못 하겠어서
    그냥 동네 성적 좋은 대신 학생수 적은 동네 학원 보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3757 민생소비쿠폰 질문이요 5 .... 2025/07/07 1,693
1733756 하드 뭐 좋아하세요? 29 ㅇㅇ 2025/07/07 2,674
1733755 아프십니다. 8 에어컨 2025/07/07 2,659
1733754 와~ 경향신문 이유진 기자 17 .. 2025/07/07 5,974
1733753 수박가격너무하지않나요 48 수박 2025/07/07 18,596
1733752 부모님은 자식의 나이에 따라서 돌아가실때 충격이.?? 7 .... 2025/07/07 3,369
1733751 통영에 가면 해수욕을 어디에서 하나요? 9 문의 2025/07/07 930
1733750 타운홀 미팅 궁금해요 2 .. 2025/07/07 834
1733749 54세 러닝시작할까요?말까요? 22 다이어터 2025/07/07 4,729
1733748 저는 윈터보다도 노래와 안무를 더 좋아했었거든요. 3 체%% 2025/07/07 1,059
1733747 재수생 아들 소비패턴 10 소비 2025/07/07 3,430
1733746 F1더무비 재밌어요! 빵은 늙었어도 멋있음. 2 아이스아메 2025/07/07 1,733
1733745 외국도 밑반찬 같은거 있나요~~? 2 미리만드는 2025/07/07 1,834
1733744 단어가 생각이 안나는데.. 고깃집에서 불관리하는 사람. 13 2025/07/07 2,280
1733743 대학 병원 옮기는 법 문의 4 ... 2025/07/07 1,178
1733742 김종인 명태균 관계 9 . 2025/07/07 2,334
1733741 집보러 갈때 비오면 어떻다하는 속설이 있나요 9 wm 2025/07/07 1,571
1733740 소견서나 진단서는 꼭 본인이 가야 발급받을 수 있나요? 2 ㅇㅇ 2025/07/07 842
1733739 이재명 정부 너무 꼼꼼하네요 9 2025/07/07 4,225
1733738 하얀 색 5mm정도되는 가늘고 긴 벌레 뭘까요 10 .... 2025/07/07 2,769
1733737 호주 ㅡ카페인 ㅇㅇ 2025/07/07 915
1733736 한식뷔폐갔다가 충격 ㅜㅜ 46 ..... 2025/07/07 37,394
1733735 수학 방학특강 비싸네요? 과외가 나을까요? 3 .. 2025/07/07 1,454
1733734 지금 걷기 하시나요? 3 .. 2025/07/07 2,309
1733733 실비와 비보험 1 잘몰라요 2025/07/07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