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광렬 화학자가 알려주는 미세플라스틱

환경살리기 조회수 : 1,619
작성일 : 2025-06-20 08:27:29

미세플라스틱이 생수보다 수돗물이 훨씬 적다고 하네요.

 

요약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주요 경로는 바로 생수병과 해산물, 그리고 환경에 버려진 플라스틱 조각들입니다. 특히 생수병은 표면에 미세플라스틱이 많아, 수돗물보다 훨씬 높은 양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에 따라 0.5mm 이하를 미세플라스틱, 100nm 이하를 나노플라스틱이라고 부르며, 몸속에 들어오면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을 타고 여러 기관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은 미세플라스틱은 뇌까지도 침투할 가능성이 있어, 영구히 제거하기 어렵고 인지 장애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생수 대신 수돗물을 끓여 마시거나, 정수기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자제하고, 세탁기용 미세플라스틱 필터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환경에 버려진 플라스틱을 잘 분리수거하는 습관이 미래 자원 확보와 환경 보호에 큰 역할을 합니다.

https://youtu.be/NCHmaH2HsBk?si=muBy9eZRhRvA4lSl

 

생수 5000배 확대영상

https://youtube.com/shorts/7q__bsFT9j8?si=XNSCU9OiI4DjO76t

IP : 125.183.xxx.16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휴
    '25.6.20 8:33 AM (106.101.xxx.250)

    미세플라스틱 진짜 무섭더라구요
    데프콘이 진행하는 프로에 미세플라스틱 얘기 나오는데 그렇게 일상에 빈번히 섭취할 수 있는건지 처음 알았어요 절대 생수 차에 두고 드시지 마세요 햇빛 맞으면 플라스틱이 분해 단계에 다다른다고

  • 2. 생수
    '25.6.20 8:34 AM (211.114.xxx.107) - 삭제된댓글

    겁나 사 먹는디 미세플라스틱 때문에 끊어야 할듯...

  • 3. ....
    '25.6.20 8:56 AM (222.236.xxx.238)

    여름에 시원하게 먹는다고 냉동실에 생수페트병 채로 얼려서 얼음물 마시는 것도 미세플라스틱 쏟아져나온다네요. 애들 어릴때 그렇게 많이 줬는데 ㅜㅜ

  • 4. 저도
    '25.6.20 9:00 AM (211.206.xxx.191)

    생수 끊은 지 오래 됐어요.
    텀블러에 끓인 물 담아 가지고 다닙니다.

  • 5. ㅇㅇ
    '25.6.20 9:21 AM (116.89.xxx.136)

    저거 생수병을 정형할때 미세플라스틱이 만들어진다고 하더라구요
    저도 몇년전에 그 영상보고 페트병 생수는 절대 안먹어요
    그냥 브리타정수기씁니다.

  • 6. ---
    '25.6.20 9:57 AM (220.116.xxx.233)

    삼다수 사먹다가 정수기 들였는데 너무 잘한 것 같아요.
    미세플라스틱, 녹조 마이크로시스틴, 기타 균들도 다 걸러준다고 해서 안심이 되네요.

  • 7. 3대요소
    '25.6.20 10:12 AM (59.7.xxx.113)

    태양광, 고온, 마찰이 미세플라스틱 발생시키는 3대 요소래요. 그래서 해양쓰레기가 제일 심각해요. 뜨거운 해를 그대로 받으면서 파도에 휩쓸리니까요.

    합성섬유의류도 심각한데 건조기 쓰지 말아야하고..
    에코퍼 입지말고 장롱에 걸린 밍크를 입어야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8367 어쩌다 저런 무서운인간을 만났을까요ㅠ 8 나라를 팔았.. 2025/06/20 3,013
1728366 통매음도 성범죄인가요? 3 .. 2025/06/20 1,368
1728365 매장에서 입어본 블라우스가 날 너무 예뻐보이게 해주면 48 물욕의 노예.. 2025/06/20 5,914
1728364 한덕수총리 말인데요 12 2025/06/20 2,640
1728363 갑자기 송사에 휘말렷는데 잘 이겨낼지 걱정되는데.ㅜㅜ 사주좀 봐.. 4 0 2025/06/20 1,899
1728362 상의 살때 얼굴 톤에 꼭 맞게 사세요? 19 -- 2025/06/20 2,394
1728361 자라 옷 세일시에 전품목 들어가나요? 4 그러니 2025/06/20 1,992
1728360 곰탕 끓이기 질문. 3 은혜 2025/06/20 429
1728359 한덕수한테는 자료 1000개 요구하더니 28 ... 2025/06/20 3,107
1728358 이대통령, 국무회의 전체 공개 추진!! 13 이게 나라다.. 2025/06/20 2,209
1728357 동서 아버님 조의금 26 .. 2025/06/20 3,641
1728356 장성철이 언급한 김건희 일가연루 선라이즈 폐업했대요!! 9 헐.. 2025/06/20 2,549
1728355 창문형 에어컨 ㄷㄷ 8 minn 2025/06/20 2,578
1728354 전기콘센트 추가- 매립으로 간단히 할 수가 있을까요? 4 인테리어후 2025/06/20 651
1728353 국힘당 현수막 양심 없네요 19 2025/06/20 2,985
1728352 주식에 소외되었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6 주식 2025/06/20 3,986
1728351 기재부, 대통령 공약 대놓고 난색.."세수 급감&quo.. 13 ㅇㅇ 2025/06/20 1,801
1728350 삼성화재 다이렉트 할인특약 추가... 3 앙이뽕 2025/06/20 808
1728349 휴가철 숙소를 고르는 기준들 어떠세요? 5 ... 2025/06/20 640
1728348 이재명대통령 그는 사람인가? Ai인가? 3 이뻐 2025/06/20 1,379
1728347 치즈구입 어디서 하시나요? 11 .. 2025/06/20 1,350
1728346 애가 없다면 저는 일도 안하고 운동도 안하고 13 ㅇㅇ 2025/06/20 3,847
1728345 미국 부동산은 조정중인데 한국만 불장... 4 ... 2025/06/20 1,370
1728344 주진우 의원을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하자 5 ㅇㅇ 2025/06/20 1,183
1728343 부산에 이촌동 비슷한 동네 7 Aaqwe 2025/06/20 2,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