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물리학과 vs 신소재공학과?

조회수 : 1,211
작성일 : 2025-06-12 19:43:25

A대학


1.  이과대학 총 6개학과(193명 모집),  이과에서 모집인원 (4명선발):  그 중 물리학과 10명지원 (전년도)
2.  공과대학 총 8개학과(623명 모집), 공과에서 모집인원 (14명선발): 그 중 신소재학과 18명지원 

입결이 공과대학이 더 높다고 생각해서, 이과대학을 지원할까 하는데, 공대 모집인원수 차이가 많이 나는점과,

가고자하는 과는 신소재학과인데, 합격하기위한 전략이 1번 물리학과 또는 2번 신소재 어디로 지원하면 좋을까요?

숫자나, 지도 못 보는 아줌만데,  
선택을 못 하겠네요. ㅜㅜ



 

IP : 116.96.xxx.9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6.12 7:50 PM (182.221.xxx.34)

    물리를 잘하면 물리학과 가고, 둘다 잘하면 신소재 가면 되고요
    신소재는 물리를 많이 하지만, 화학을 조금 더 많이 한다고 하네요
    적성에 따라 가세요
    물리고 신소재고 학부 졸업이면 취업도 비슷한 곳에 해요

  • 2. ..
    '25.6.12 7:53 PM (39.118.xxx.199)

    취업을 위해선 당연히 신소재학과를 가야죠.
    조카가 고대 신소재 나와 하이닉스 바로 입사했고
    한양대 신소재 4학년인 지인 아들은 대학원 간다더군요.

  • 3. ..
    '25.6.12 8:33 PM (182.220.xxx.5)

    취업은 신소재가 나을텐데
    요즘 취업도 어려워서...

  • 4. ..
    '25.6.12 8:34 PM (182.220.xxx.5)

    전 본인이 원하는 곳 가서 학교 다니면서 커리어 패스 고민하라고 하겠어요.

  • 5. ㅇㅇ
    '25.6.12 8:37 PM (58.29.xxx.20)

    작년에 제가 수시 모집할때 아이가 가고 싶은 과는 컴공이었지만, 합격 확률을 높이기 위해 같은 대학 기계공으로 썼었어요. 우리가 쓰려는 대학은 컴공 인원이 5명, 기계가 20명 넘는 지라 차이가 나는 상황이었고요, 합격 했습니다.

    그러나 수시 모집시 학종으로 쓰실때 그렇게 하셔도 되지만, 숫자 너머에 있는 것을 봐야 하므로 물리로 바꾼다고 꼭 합격 확률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에요. 내신 숫자만 보는 것도 위험 하고요.
    우리 아이 경우는 컴공이 뽑는 인원이 훨씬 적고 경쟁률도 훨씬 높았기 때문에 과를 트는 것은 괜찮았던 거에요.
    특히 최상위권 대학의 경우는 이과대라고 지원자 스펙이 공대 지망보다 결코 뒤지지 않아요.
    잘 알아보시고 심사숙고해서 결정하세요.

  • 6. ….
    '25.6.12 9:38 PM (14.162.xxx.168)

    합격을 목표로, 입결이 높은곳? 또는 입결 살짝 높더라도 더 많이 뽑는곳? 어디가 나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6069 저 아래 순자산에 관한 글.. 3 Qwerty.. 2025/06/14 2,119
1726068 문재인 정부의 선견지명이라 불리는 위수령 폐지 24 ... 2025/06/14 3,086
1726067 이재용회장은 친명인가봐요 22 검개혁 2025/06/14 5,925
1726066 백종원 끝났네요 34 82 2025/06/14 28,813
1726065 의료보험료는 계좌도 반영하나요? 7 나나 2025/06/14 1,454
1726064 저는 동물 키우는분들 대단한거같아요 17 ㅇㅇ 2025/06/14 2,752
1726063 잼뽕 맞을 준비 하라. 3 .. 2025/06/14 1,236
1726062 세탁소 옷걸이 고물상에 가져가면 돈 백원이라도 주나요? 9 고물상 2025/06/14 3,261
1726061 어떤 것이 맞는 거죠? 6 .. 2025/06/14 895
1726060 50대 초 취직 고민입니다. 17 cnldjq.. 2025/06/14 4,642
1726059 형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들 9 정의 2025/06/14 801
1726058 살아보니 자식보다 남편 챙기는게 맞는듯 21 .... 2025/06/14 6,769
1726057 울 대통령님. 동에 번쩍 서에 번쩍.. 10 잼프 2025/06/14 1,881
1726056 마룻 바닥 크리너 좋은것 추천해주세요 -- 2025/06/14 324
1726055 서울 국제도서전에 문프 오신대요 6 ㅇㅇ 2025/06/14 1,632
1726054 고용량 비타민 주사 맞으면 체력에 효과있나요? 5 2025 2025/06/14 1,740
1726053 마약 수사 2 경각심 2025/06/14 790
1726052 반찬만들고 한두번먹다 버리게되는경우 넘 많죠?ㅠ 5 아깝 2025/06/14 2,359
1726051 오늘 엘리베이터안에서 있던 일인데요 제가 많이 잘못한건가요? 12 엘베 2025/06/14 5,248
1726050 박주민 김용민의원 국회의원이전에 착하신것같아요. 9 ... 2025/06/14 1,807
1726049 반려견 털이 새들한테 필요하다는 13 2025/06/14 2,316
1726048 아보카도오일과 올리브오일 뭐가 다른가요 9 오일 2025/06/14 1,938
1726047 이재명정권에 발탁되는 기본스팩 10 .... 2025/06/14 1,696
1726046 허리 애매하게 아프신분들, 허리 운동하세요. 7 .. 2025/06/14 2,707
1726045 채상병 사건 5분으로 한눈에 이해하기 4 유튜브 2025/06/14 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