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압력솥 얘길 보며

조회수 : 1,492
작성일 : 2025-06-11 09:06:35

압력밭솥 처음 나오자마자

(전기밥솥, 압력 버전 없던 시대)
엄마가 바로 사서 쓰셔서
전 어릴 때부터 무척 익숙해요

 

근데 폭발 위험 몰라서냐, 아니요. 
초딩 때 피아노학원 소풍 가서
밥 해먹었는데,

그 때 부탄 가스가 터져서 한 친구가 다쳤어요.

 

제일 좋아하는 과학 과목이 물리였고
폭발 위험성 넘 잘 알지만

늘 잘 사용해 왔기에
압력밥솥 처음 써본다, 무섭다는 사람들 보면
무척 신기해요

 

매뉴얼 잘 숙지하고 사용하면 되는건데..

그렇게 무서우면
대체 비행기는 어떻게 타는거에요? ㅎ

 

이건 좀 다른건데
풍년 압력솥 좋다해도
독일 압력솥 압력이 더 높아서 

밥이 더 맛있더라고요.

돌솥 압력솥도 있는데 돌솥도 맛있긴 해요

맛있음이 서로 다른 형태.

 

집에서 간단히

미니멀한 캠핑용 압력솥 쓰고픈데
풍년보다 압력 낮을거 같아 차마 안샀어요

연마제 제거할 엄두도 안나고..

( 현재도 압력솥만 5개인 여자 ㅠㅠ

  인팟도 압력 조리 도구니 인팟에

  저압냄비까지 모두 7개 인지도.. )

 

압력솥은 매뉴얼만 잘 숙지하면

사고 안나요

칙칙 압력 올라오는 소리는

밥이 맛있어 지는 소리고요

 

근데 요즘은 다 귀찮아서

즉석밥 먹는거 안비밀..

즉석밥도 압력 조리한 즉석밥이 맛있어서

그거 먹는 중입니다 

IP : 118.235.xxx.146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람이
    '25.6.11 9:16 AM (49.1.xxx.74) - 삭제된댓글

    항상 빠릿한 게 아니기에..
    70년대였나 풍년압력솥 처음 나왔을 때 엄마가 평소에 잘 사용하다가
    어느날 밥 퍼내고 나서 밥알 조금 남아있는 데다 물부어 숭늉 만든다고 가스불에 올리고 뚜껑을 제대로 체결하지 않고 척 올려놓았어요. 물 끓이는 데 압력은 필요없지 하는 생각에ㅠㅠ
    비스듬히 얹힌 뚜껑 밑으로 어느정도 압력이 쌓이다가 뚜껑이 폭발하듯 날아가고 밥알들이 튀어나가 온 부엌에 붙어있고 숭늉국물 흐르고.. 참사였습니다. 누구하나라도 부엌에 있었다면 날아가는 뚜껑에..

  • 2. 에공..
    '25.6.11 9:21 AM (118.235.xxx.146)

    다들 폭탄 맞은 느낌였겠어요 ㅠㅠ

    엄마는 일부러 안눌렸고
    저는 일부러 눌려 누룽지 먹는데
    그 또한 주의 해야죠.

    그래서 요즘은 압력솥
    일반 뚜껑 옵션 많더라고요

  • 3. 으잉
    '25.6.11 9:23 AM (118.235.xxx.146)

    폭발 경험담 댓글 사라졌..

  • 4. 그건
    '25.6.11 9:24 AM (1.227.xxx.55)

    압력솥은 안 써도 살지만 비행기는 어쩔 수 없으니 타는 거지요.
    저는 둘 다 안 무섭지만요.

  • 5. .......
    '25.6.11 9:24 AM (112.148.xxx.195)

    휘슬러는 칙칙 소리도 안나는데....버튼 올라오면서 약간의 소리.전혀 안무서워요

  • 6. 맞아요
    '25.6.11 9:27 AM (118.235.xxx.146) - 삭제된댓글

    독일 압럭솥은
    풍년처럼 칙칙 아닌 다른 소리가 다르게 나죠 ㅎ

  • 7. 맞아요
    '25.6.11 9:29 AM (118.235.xxx.146)

    독일 압럭솥은
    풍년처럼 칙칙 아닌
    순하게 소리 나요, 압력이 차는건가 싶게 조용한

  • 8. 각자
    '25.6.11 9:31 AM (180.68.xxx.52) - 삭제된댓글

    저도 압력솥 사랑하는 사람입니다만...
    무서워서 못쓰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개인마다의 경험도 다르고 불안에 대한 민감도가 다 다릅니다. 비행기 무서워서 못타고 최대한 피하려는 선택을 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운전도 마찬가지고. 자전거도 그럴 수 있죠. 타인에 대해서는 그럴 수도 있겠다고 받아들이는게 맞다고 봅니다.

  • 9. . .
    '25.6.11 9:31 AM (180.211.xxx.184)

    원글님~
    압력 조리한 즉석밥 알려주세요.
    부모님댁에 사드리고 있는데
    찐밥 같다고 그러세요.
    어디 제품이 맛있나요?
    그리고, 맛있게 데우는 팁이 있을까요?

  • 10.
    '25.6.11 9:35 AM (118.235.xxx.62) - 삭제된댓글

    각자님, 못 받아 들이겠다고 쓴 글 아니고요
    압력솥 무서워하지 말고
    매뉴얼 숙지해 잘 쓰면
    효용 가치 있다고 쓴 거예요

  • 11.
    '25.6.11 9:36 AM (118.235.xxx.181) - 삭제된댓글

    각자님, 못 받아 들이겠다고 쓴 글 아니고요
    압력솥 무서워하지 말고
    매뉴얼 숙지해 잘 쓰면
    효용 가치 있다고 쓴 거예요

  • 12.
    '25.6.11 9:38 AM (175.114.xxx.246)

    저압은 성능이 어떤가요? 저두 압력밥솥만 세 개인데 또 지름신이 오셨어요.

  • 13.
    '25.6.11 9:40 AM (118.235.xxx.181)

    각자님, 못 받아 들이겠다고 쓴 글 아니고요
    압력솥 무서워하지 말고
    매뉴얼 숙지해 잘 쓰면
    효용 가치 있다고 쓴 거예요

    압력솥 개수 말한건
    활용가치 있다보니 많이 있는거라는 말이고요

  • 14. 점두개님
    '25.6.11 9:41 AM (118.235.xxx.181)

    동원 쎈쿡이 압력 조리한 즉석 밥이에요.

    맛있게 데우는 팁요? ㅎ
    글쎄요 즉석밥은 어차피 편하자고 먹는 거라
    전자레인지 데우긴 하는데
    3분 카레처럼 끓는 물에 중탕하듯이 데워먹으라고
    조리 안내 있지 않나요?

  • 15. 자주 궁금
    '25.6.11 9:46 AM (1.227.xxx.69)

    독일에서는 무슨 음식하는데 압력솥을 사용하나요??
    그들도 찜같은 요리를 자주 해먹나요?

  • 16. ..
    '25.6.11 10:03 AM (180.211.xxx.184)

    원글님~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17. ..
    '25.6.11 10:20 AM (175.203.xxx.242)

    압력솥 김빼기 전에 싱크대로 옮기고 뚜껑위에 찬물 샤워 30초정도 해주고 김빼면 김만 살짝나오고 국물 안튀더라구요. 전복죽 할때 김뺄때 국물 튀어나와서 닦느라 고생했는데 이젠 안심!

  • 18. 아 님
    '25.6.11 12:12 PM (118.235.xxx.28)

    업무가 바빠 이제 답해요

    저압냄비는
    조리 중 뚜껑 여는게 가능한게 강점이고
    주로 백숙, 보양식 같이 뭉근히 조리하는 음식이 좋아요

    호기심 많아
    큰 옹기 솥도 있는데 (이 살림들 어쩔..)
    옹기 솥 같은 느낌였어요

  • 19. 자주 궁금 님
    '25.6.11 12:13 PM (118.235.xxx.28)

    독일 사는게 아니라
    휘슬러, WMF 같은 독일제 압력솥이요

    압력단계 조절 가능한데
    최고압으로 설정하면,
    풍년보다 압력 높아 밥맛이 좋았어요~

  • 20.
    '25.6.11 1:43 PM (175.114.xxx.246)

    답변 감사합니다~ 저압 지르렵니다 ㅎ

    독일서는 감자가 주식인데 빨리 익힐려고 쓴다더라고요. 고기도 푹 익히고요. 우리가 밥하는 거랑 매한가지라고 판매원이 그랬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8024 박보검 화보 10 장마 2025/06/20 2,349
1728023 젤중요한건 김건희모녀 돈 압수 8 ㄱㄴ 2025/06/20 1,180
1728022 동네영어학원 알바 가는데 페이가 적절한지 좀 봐주세요 15 dd 2025/06/20 2,824
1728021 카카오톡 조용히나가기 3 ㅇㅇ 2025/06/20 1,639
1728020 16일부터 적용되는 카카오톡 규정 8 가짜뉴스척결.. 2025/06/20 2,217
1728019 美국방부 "한국도 GDP 5% 국방비 지출 충족해야&q.. 3 기사 2025/06/20 997
1728018 타인계정인스타게시물을 본걸 또다른 타인이 알수있나요 1 ........ 2025/06/20 612
1728017 나이들면 이상한 소리 많이 하쟎아요. 19 . . 2025/06/20 4,009
1728016 사라 사지마라 (feat.골든듀) 40 ㅇㄹ 2025/06/20 4,668
1728015 김혜경 여사님 돋보이더만요 39 ㅇㅇ 2025/06/20 3,909
1728014 미지의 서울 어떻게 될까요? 11 Unwrit.. 2025/06/20 3,054
1728013 제목 투명하게 써 주니까 좋네요 8 .... 2025/06/20 947
1728012 김혜경은 왜 따라 갔나요? 세금이 아까워요! 46 .. 2025/06/20 6,122
1728011 "日 7월 대지진 예언 전조현상?”…日 홋카이도서 규모.. 5 아사이 2025/06/20 4,083
1728010 李, 대선 경선 때 '친명 유튜버'에 컨설팅비 5000만원 줬다.. 21 sstt 2025/06/20 3,526
1728009 외출후 가방안 소지품정리 어떻게 하세요? 9 정리하자 2025/06/20 1,932
1728008 간호사실에 선물 12 장기 입원 2025/06/20 2,401
1728007 블로그 글수정이 안 돼요 왜 그럴까요? 블로그 글수.. 2025/06/20 352
1728006 한국 미래 너무 암울하네요.. 축구화신고 발길질 18 .. 2025/06/20 12,326
1728005 남성지갑에 20대여성 민증이 3개 들어있어 신고했어요. 35 2025/06/20 23,295
1728004 감사합니다 27 트라우마가 2025/06/20 5,508
1728003 임성한 드라마들 9 ㅇㅇ 2025/06/20 2,116
1728002 코카서스 3국 중간 후기 13 지금 2025/06/20 2,716
1728001 아까 불 난 곳이 강서구 마곡동이네요 1 ㅇㅇ 2025/06/20 4,678
1728000 대통령에게 원하는 정책 여기서 제안하세요…李 "참신하.. 8 2025/06/20 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