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솥밥 지을때 쌀과 물의 비율

솥밥 조회수 : 1,033
작성일 : 2025-05-25 08:34:50

솥밥을 처음 지어보려합니다.

찾아보니 쌀과 물의 양이 1대1

비율이던데 그  기준이 불린쌀인가요?

아니면 불리기전의 쌀 기준인가요?

그리고 체에 걸러서 불린다는데

쌀을 씻어서 체에 걸러 그 상태로 10분에서 30분 놔둔다는건가요?

그러면 쌀이 말라버리는지않나요?

전기밥솥외에는 냄비밥도 안해봐서 영 헷갈리네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P : 123.100.xxx.6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5.25 8:41 AM (112.151.xxx.75) - 삭제된댓글

    여러번 해봐야지 자기 기준이 생기더라구요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저는 된밥 싫어서 물에 불린상태로 1대1정도 해요 질다 싶으면 뚜껑 열고 수증기 날리면 되서요

  • 2. ..
    '25.5.25 8:51 AM (221.151.xxx.149)

    저는 쌀2컵이면 씻어 20분 정도 불리고 물은 2컵 넣어요.

  • 3. ...
    '25.5.25 9:02 AM (114.203.xxx.111) - 삭제된댓글

    이게 묵은쌀이냐 햅쌀이냐 냄비바닥이 두껍냐 얇냐
    이런거에 따라서도 차이나요
    씻고 마른불리기나 물에 불리기 둘다 괜찮아요

    밥 하시다 모지라면 뜨거운 물 부어주고 전체 골고루 저어주기
    밥하시다 물이 많으면 좀 떠내거나 그정도 아니다싶음
    뚜껑열고 수분 날리기
    여러번 해봐야 감이 와요
    불은 세게하다 끓으면 5분정도 중불 나머지 약불
    귀찮으면 중불생략
    약불 상태에서는 뚜껑 잘덮어줘야 해요
    화이팅~

  • 4. . .
    '25.5.25 9:34 AM (211.217.xxx.63)

    솥밥만 해서 먹는데, 저는 1시간불리고, 1:1넣어요.
    근데 윗분말대로 여러번 해봐야지 기준이 생겨요.
    쌀도정일 상태에 따라, 햅쌀일때 아닐때 등등요.

  • 5. 체에 받쳐놔도
    '25.5.25 9:53 AM (39.7.xxx.174)

    쌀은 불어요
    씹는 맛 어느 정도를 원하시는 지
    맞춰서 해 보세요. 여러 재료를 넣고 해 먹어도 보시고요

  • 6. ..
    '25.5.25 10:29 AM (211.208.xxx.199)

    쌀은 씻으면서 이미 물을 먹기때문에
    체에 받쳐도 불어요.
    저는 진밥이 좋아 물에 담가 불리는 젖은 불림을 해요.
    (체에 받쳐 불리는건 마른 불림이라 부르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9883 엄마가 지금 대상포진이라는데 3 ㅇㅇㅇ 2025/05/31 1,871
1719882 리박스쿨 영상 전부 받아놓은 트위터분 11 영통 2025/05/31 3,057
1719881 손 느린 사람 7 유나01 2025/05/31 2,057
1719880 급해진 김문수, 법카 찢고 "1번 찍으면 독재, 정신병.. 21 .. 2025/05/31 3,295
1719879 이재명 세종시 유세 2장 요약.jpg 3 ... 2025/05/31 2,575
1719878 학출의 한계 3 ㅇㅇ 2025/05/31 1,083
1719877 우체국장 출신 ‘리박스쿨’ 대표, 현재 교육부 장관 '정책자문위.. 10 ... 2025/05/31 3,682
1719876 7시 정준희의 토요토론 ㅡ 우리 사회 갈등 , 어떻게 풀어야 할.. 1 같이봅시다 .. 2025/05/31 358
1719875 배우 김혜은, 유시민 "부끄러운 혀를 가진 자".. 47 멋짐 2025/05/31 6,488
1719874 초등 방과후 자격증 미끼로 '댓글공작' 모집 2 리박스쿨 2025/05/31 627
1719873 민주당 일 정말 잘하네요 20 ㅇㅇ 2025/05/31 3,181
1719872 한 친구가 있다고 치죠 5 2025/05/31 1,109
1719871 카톡선물했는데 안읽는 사람 심리 10 .. 2025/05/31 1,813
1719870 바지락 해감을 몇시간 시켜야 하나요 2 ... 2025/05/31 495
1719869 사립학교도 늘봄 합니까? 5 ㅇㅇ 2025/05/31 1,496
1719868 보통의 가정에서 자녀 결혼식 하면 때인뜨 2025/05/31 887
1719867 신명 보신분들 후기 궁금해요 4 .. 2025/05/31 1,424
1719866 6월 동유럽 날씨 어떤가요? 프라하, 비엔나, 부다페스트. 8 1111 2025/05/31 916
1719865 김문수 “늘봄학교 주말까지 확대하겠다” 28 5일전 기사.. 2025/05/31 4,113
1719864 라탄공예 독학으로 가능할까요? 2 혼자 2025/05/31 661
1719863 방바닥 뭐로 닦으시나요 4 . . . 2025/05/31 1,971
1719862 광숙, 미순, 옥분 그리고 세리 독수리 5형.. 2025/05/31 720
1719861 친일에 아이들을 이용? 5 하. 2025/05/31 707
1719860 골목길 불법주차 신고 쉽게 하는 5 골목길 2025/05/31 781
1719859 몇시간 몸쓰는일하고 일주일 넘게 아프네요 4 ㅅㅅㅅㅅ 2025/05/31 1,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