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리할때 정확히 계량해서 하시는 분들 계시죠?

... 조회수 : 727
작성일 : 2025-05-11 20:49:00

여러번 시도해봤는데 저는 잘 안되더라구요.
재능과 지능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유튜브 영상같은거 찾아보고 그걸 기반으로 (찾아보고 내맘대로 하기)

대충 손가는대로 양념하다가 짜면 야채 좀 넣거나 물 좀 붓고 밍밍하면 조미료도 좀 넣고
이렇게 수십년 살았더니

도저히 못먹고 버려야하는건 거의 없어졌고 (많이 버렸죠. 밥하다 울었던 적도)

한달에  한번쯤은 기차게 맛있게 되고 대부분 그냥 먹을만합니다.

실은 꼬막무침을 했는데 넘 맛있게 된거예요

(밥 딱 반공기만 먹는 남편이 대접으로 밥을 퍼서 먹었어요. 아주 가끔있는 일)

꼬막무침해드셔보세요.  라고 글을 써볼랬는데

레시피 주시죠! 라는 댓글 주실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아  나는 왜 계량을 안하는가 싶어서  주절주절해봅니다.

지난번에 했지만  이번엔 너무 맛있었고 다음엔 또 맛있을 가능성이 있을까 싶은 꼬막무침의 추억

킥은 좋은 들기름 많이, 간장과 미림의 적절한 조화, 너무 짜지않게,고추가루 범벅하지 않기

꼬막은요.

많이 사서 살짝 삶아 까서 냉동해두면 (금방 삶은것 같은 맛은 아니지만 충분히 맛있어요)
무침도 해먹고, 솥밥도 하고, 강된장에도 넣고 부침개도 해먹고 든든합니다.
끝.

 

 

 

 

 

IP : 122.38.xxx.15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유투브
    '25.5.11 8:55 PM (1.237.xxx.119)

    만개의 레시피는 조금 간을 덜했다가
    먹어보고 추가하는 편입니다.
    기본은 고맙지만 개개인의 성향이니까요?
    하지만 제과제빵레시피는 잘 몰라서 꼭 계량합니다.
    일반적인 음식은 싱겁게와 알맞게의 중간을 선택하고 싶습니다.

  • 2. 음..
    '25.5.11 8:57 PM (125.132.xxx.178)

    라면 끓일 때 아직도 물 계량하고 시간 설정해서 끓입니다 ㅎㅎㅎㅎㅎ 다른 건 대충 눈대중으로 해영.

  • 3. 하늘에
    '25.5.11 9:02 PM (210.179.xxx.207)

    저요.
    결혼 23년인데 계량컵, 계량스푼, 저울까지....
    라면 끓일때도 써요.
    좋은 레시피를 찾으면 프린트해서 파일에 넣어두고요. 자스민님 책같은 거 두고 정말 잘 활용해요.

    음식이 늘 기본 이상은 하고, 늘 일정해요.

    저는 배달이나 포장, 외식은 별로고 집밥이 좋은데... 이런 맛에는 뭐가 들어갔겠다... 그런 것도 잘 못하거든요... 눈대중도 그닥이라 무조건 레시피와 계량도구를 이용하는 거죠.

  • 4. 재능
    '25.5.11 9:36 PM (1.237.xxx.119)

    뛰어난 요리는 정말 타고난 재능 아닐까 싶어요.
    제친구는 항상 같은 맛을 유지하는 비결이 머리가 좋아서 인가 싶어요.
    매번 자주 하는 김치인데도
    짜지 않게 싱겁지 않게의 경계를 잘 알아내니까요.
    우리가 또 짠걸 아주 싫어해서 그런데 싱거우면 못먹어요.
    물한방울 안 들어가고 과일즙과 싱겁게 만으로도
    맛이 변질 되지 않게 보존이 가능한 김치를 고마워합니다.
    좋은 재료와 부지런한 재능에 감탄합니다.

  • 5. 50중반
    '25.5.11 10:11 PM (58.123.xxx.102)

    저는 계량안하고 바로 부어 넣어요.
    요리한지 거의 40여년 차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1931 오래전 지금까지 기억나는 충격적인 기억 5 ㅇㅇ 2025/05/12 1,806
1711930 거지같은 글에도 답글 달아주는 착한 82회원 3 ㅇㅇ 2025/05/12 834
1711929 시어머니 프사가 동서 65 프사 2025/05/12 12,958
1711928 광화문 질풍가도 응원가 완전 좋네요 12 하늘에 2025/05/12 1,267
1711927 이준석이 보수진보 양쪽 표 많이 가져갈거 같네요. 39 이준석 2025/05/12 3,011
1711926 삼겹살 혼자 몇줄 드세요? 20 happy 2025/05/12 1,896
1711925 국힘의 다채로운 선거운동복장.jpg 1 ... 2025/05/12 1,934
1711924 이사후 짐,옷정리 하다 비염. 시중약좀 추천해주세요. 4 .. 2025/05/12 769
1711923 챗GPT 처음 사용했는데요, 3 처음인지라 2025/05/12 1,198
1711922 이재명 '위증교사' 재판도 기일 변경 16 당연 2025/05/12 3,095
1711921 왠 김용태 ? 2 비대위원장 2025/05/12 1,139
1711920 맨날 댓글알바 댓글알바 하는데 24 d 2025/05/12 803
1711919 몰타에서 어학연수 13 외항사승무원.. 2025/05/12 1,888
1711918 등마사지에좋은것 추천해주세요 5 새로이 2025/05/12 762
1711917 진짜 대한민국까지 Dㅡ22 빛의혁명 광화문유세 시작 ! 8 이재명 출정.. 2025/05/12 728
1711916 사과 갈아서 냉동해놨는데 1 사과 2025/05/12 1,578
1711915 이런 경우 이혼이 될까요 5 이혼간절 2025/05/12 2,642
1711914 어느 병원으로 가야 하는 건가요 ? 4 이럴때는 2025/05/12 1,138
1711913 김문수는 어쩌다 전광훈픽이 되었나요? 18 ㅇㅇㅇ 2025/05/12 2,487
1711912 계엄옹호 탄핵반대한자인데 16 ........ 2025/05/12 1,334
1711911 오늘부터 선거운동 ㅎㅎ 1 2025/05/12 556
1711910 화장실 청소솔 추천 좀 해주세요ㅜㅜ 14 ... 2025/05/12 1,972
1711909 5/12(월) 오늘의 종목 나미옹 2025/05/12 314
1711908 아이 5명 안 낳으면 감방에 보내야 8 .. 2025/05/12 2,112
1711907 해병대 예비역 연대, 민주당 이재명 지지 선언 5 지지합니다 .. 2025/05/12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