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ᆢ
'25.2.25 11:34 AM
(211.244.xxx.85)
그러니 부모만 전세금 마련하려니 힘들고
자식은 부모의존
2. ...
'25.2.25 11:36 AM
(106.102.xxx.230)
-
삭제된댓글
맞아요. 우리보다 독립도 일찍 많이 하고 결혼해서도 월세 많이 살죠. 주거비가 많이 들어요.
3. ᆢ
'25.2.25 11:37 AM
(211.234.xxx.137)
미국도 그러니 서민들은 고등 끝나면
애들은 알아산다 하는데
우리는 학자금에 전세금에 결혼자금에
등골 휘어
4. ...
'25.2.25 11:37 AM
(49.1.xxx.114)
20대 아이들도 하나 아니면 둘이 대부분이고 5,60대가 우리나라에서 부를 가장 많이 갖고 있는 나이라 부모나 아이나 크게 부담이 없는거 같아요. 그래서 지금 20대들이 해외여행에, 맛집에 명품이 가능한거같아요. 외동둘이 결혼하면 양가 집두채 상속도 그리 없는 사례는 아닐거 같아요.
5. 그냥
'25.2.25 11:38 AM
(106.101.xxx.123)
-
삭제된댓글
버는 족족 다 쓰는 사람들이 많아요.
우리나라 저축율 통계보세요.
6. ...
'25.2.25 11:40 AM
(106.102.xxx.228)
-
삭제된댓글
일본도 젊은 세대는 저축 많이 못해요. 걔들은 벌어서 의식주 하면 남는게 없는거고 우리는 주에 들어가는 비용이 남으니 하고 싶은거 더 쓰는거고요.
7. ㅇㅇ
'25.2.25 11:40 AM
(211.169.xxx.94)
섬나라와 같은 조건이라 비행기를 안 탈수밖에 없기도 하구요
8. ᆢ
'25.2.25 11:40 AM
(211.244.xxx.85)
미국도 외국도 돈 안 모으잖아요
월세가 있으니 모을수도 없고
9. 뭐니뭐니해도
'25.2.25 11:40 AM
(49.1.xxx.123)
대세에 합류하지 않으면 불안해지는 성정이죠.
스스로 즐거운 것 찾기보다는
10. ...
'25.2.25 11:41 AM
(49.1.xxx.114)
-
삭제된댓글
요즘 이십대가 버는거 다 쓸 수 있는 경제적 구조가 되는 집이 많죠. 저도 평범한 서민이지만 그래도 서울에 10억초반 집한채가 있어 나중에 딸둘한테 작은 아파트 한채씩은 물려줄 수 있을거 같아요. 물론 5억전후집으로요. 그러니 버는 월급 지들이 쓰는데 크게 터치 안해요. 우리집보다 형편이 더 좋은 집도 많을거예요.
11. ...
'25.2.25 11:42 AM
(106.102.xxx.233)
-
삭제된댓글
스스로 즐거운것? 여행이 즐거우니 가지 남들 간다고만 가겠어요
12. 이게
'25.2.25 11:43 AM
(106.101.xxx.181)
성인되면 스스로 자립하도록 가르쳐야하는데
일부 있는집들이 아이들 독립자금부터 결혼자금까지
다 해주니 아이들도 부모도움 당연하게 생각하고
부모복 타령이나 하고 못해주는 부모는 부모취급도 못받는게 참 문제같아요.
13. ... ..
'25.2.25 11:43 AM
(222.106.xxx.211)
그냥 쓰는거죠
5년 모으면 집산다, 늘려간다 이런 희망이 없잖아요
14. ᆢ
'25.2.25 11:44 AM
(211.244.xxx.85)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 유행에 민감
여행 유행인데 안 가면
해외여행도 꼽 주는 인간들 있고
15. Dg
'25.2.25 11:44 AM
(211.217.xxx.96)
-
삭제된댓글
본인 기준으로 생각하는 웃긴 논리
전세집도 대출이라 이자갚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
16. ...
'25.2.25 11:45 AM
(49.1.xxx.114)
집살 희망이 없어 쓰는 사람도 많지만 요즘은 아이가 하나나 둘이라 부모한테 증여나 상속, 결혼해도 양가에서 받을게 있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서 상대적으로 더 잘쓰고 안모이는거 같아요.
17. 젊은이들
'25.2.25 11:45 AM
(211.244.xxx.85)
그냥 쓰는거죠
5년 모으면 집산다, 늘려간다 이런 희망이 없잖아요
22222222
젊은 이들 이게 크죠
있는집은 부모가
없는집은 이래도 저래도 집 못 사니 자포자기
18. ...
'25.2.25 11:45 AM
(1.237.xxx.240)
부모가 전세를 얻어주니까...
이러니 부모는 자식이 많을수록 부담이 커지고 자식을 안낳는 듯...
19. 유목민
'25.2.25 11:45 AM
(115.23.xxx.148)
몽고인의 피가 흘러서 세계로 나아가는 거 아닐까요? ㅎ
20. dd
'25.2.25 11:47 AM
(61.101.xxx.136)
-
삭제된댓글
일본은 성인되면 알아서 독립하고, 우리나라처럼 부모가 뭐 해주고 그런거 잘 없다고 하더라구요
21. ㅇㅇ
'25.2.25 11:48 AM
(61.101.xxx.136)
일본은 성인되면 알아서 독립하고, 우리나라처럼 부모가 뭐 해주고 그런거 잘 없다고 하더라구요. 부모 부양할 의무 없고, 자식 책임 안져도 되는 분위기만 되어도 사람들 사는게 좀 덜 팍팍해질듯요
22. ...
'25.2.25 11:50 AM
(202.20.xxx.210)
전세가 없어지는 게 맞고요... 실은 전세 없이 월세 살다보면.. 정신 차립니다. 왜 돈 모으고 집 사는지 전혀 이해를 못하는 어린애들이 정신을 차리게 해야 된다고 봅니다.
23. 글쵸
'25.2.25 11:50 AM
(119.56.xxx.123)
-
삭제된댓글
부동산 가격이 폭등해서 큰 자산을 갖게되니 굳이 아둥바둥살 필요없어진 거죠, 어차피 상속받을거니까 쓰거나 노동소득으론 꿈도 못꾸니까 포기하거나. 이렇게 또 대물림되네요 가난이.
24. ...
'25.2.25 11:51 AM
(49.1.xxx.114)
제가 글을 이상하게 썻나 댓글들이 ㅎㅎㅎ 제 말은 우리나라 5,60대 부모가 경제력이 좋아져서 하나나 둘있는 자식 독립할때 작게라도 전세정도는 해줄 수 있으니 20대 우리나라 아이들이 맛집에 해외여행에 잘 쓴다는 뜻인데요. 전세제도의 활용이랄까 ㅎㅎㅎ
25. 글쵸
'25.2.25 11:52 AM
(119.56.xxx.123)
-
삭제된댓글
부동산 가격이 폭등해서 큰 자산을 갖게되니 굳이 아둥바둥살 필요없어진 거죠, 어차피 상속받을거니까 쓰거나 노동소득으론 꿈도 못꾸니까 포기하거나. 이렇게 또 대물림되네요 가난이. 물론 부동산이 우상향한다는 전제하에. 개인적으론 의문이지만.
26. ㅉ ㅉ
'25.2.25 12:00 PM
(183.97.xxx.35)
전세제도는 개도국시대
건설사들 몸집을 키워주기위한 도구로 쓰인 구시대 유물
거기에 투기꾼이 가담 부동산 투기공화국으로 변질
그렇게 좋은 전세제도를
왜 다른 선진국은 도입하지 않는지 생각이란걸 좀 .
27. ...
'25.2.25 12:02 PM
(61.32.xxx.245)
원글님 ㅎㅎㅎㅎㅎ
우리나라는 부모가 아이를 책임지려는 의식이 강하져
저도 그래요 ^^
28. ㅉㅉ님
'25.2.25 12:15 PM
(125.132.xxx.175)
얼마전 구해줘 홈즈에 도시전문가 나와서 조선시대 서울 부동산 거래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그 옛날에도 전세가 있었다고 역사자료 보여주면서 말했어요
지방으로 귀향가면서 자기 집 전세 주고 내려가는 경우도 많았구요
그러니까 개도국때 건설사 위한 도구로 쓰려고 만든 게 아니라구요
원글님 이야기 일리 있어요
그런데 sns 영향도 있다고 봐요 남들 가니 나도 가는 거
남들 하면 나도 해야 하는 집단주의 문화도 한 몫 하구요
코로나 때 너도 나도 골프 치던 분위기였던 것처럼
또 하나 국내여행 비용이 비싸고 일본 대만 등 비용 저렴한 해외여행지가 많은 것도 이유에요
경제적 여유 있는 부모와 전세제도는 일부의 이유는 되겠죠
29. ...
'25.2.25 12:18 PM
(152.99.xxx.167)
일리는 있네요
월세살게되면 월급의 반이 월세로 나가니..돈쓸때 현타가 오는데..
전세로 살면 월급전체가 써도되는 돈처럼 느껴질듯
30. 솔까말
'25.2.25 12:24 PM
(110.70.xxx.183)
부모가 올바른 경제개념을 가르치지 않아 그런거지
뭔 남탓을 해요.
아이를 성인으로 키워 스스로 독립하게
경제개념도 어릴때부터 가르쳐야 하는데
그걸 하는 부모가 별로 없잖아요.
울남편이 저희애 어릴때부터 용돈받으면
50% 떼서 저축부터 시키길레 그저 우습다 생각했는데
성인이되어 월급받는 지금까지 50% 저축부터를 습관처럼 해요.
대학생도 카드론 받아 해외여행 가는 애들도 있다던데
부모가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게 크다고 봐요.
아까 올라온 글에 본인돈 1억5천으로 19억 집을 사겠다고
월 300 버는 전문직 아들 대출이 나오겠냐는 글을 봤는데
그 글에는 안썼지만 유구무언 입디다.
31. 직업에
'25.2.25 12:29 PM
(221.147.xxx.127)
버금가게 시간과 비용을 들이는 고급 취미 가진 사람이
선진국들에 비해 드물어요.
그래서 소확행 구경거리에 짧게 돈을 쓰죠.
또 위로 대륙과 연결되는 길이 끊긴 반도에
많은 인구가 갇혀 살다가 답답할 때 잠시 탈출하는 건데
전세라 월세보다 삼박사일 여행비 정도는
부담없이 쓸 수 있는 것도 큰 이유겠네요.
32. 일본집값은
'25.2.25 12:34 PM
(183.97.xxx.120)
새차 사고 1년 후 중고차로 가격 많이 떨어지듯이
집 사고 일년이면 1억씩 떨어진다고
새집 사는 사람이 바보취급 받는 곳이라
월세를 사는 것이 이익이라고 하더군요
목돈 얼마 없어도 이자가 적어서
모기지나 대출로 집을 쉽게 살 수 있는 나라와
대출 이자도 비싸고 대출도 쉽지 않은
우리나라와는 다르지요
33. 청년
'25.2.25 12:36 PM
(59.7.xxx.113)
전세보증금 대출 이자율이 1%대예요. 은행입장에서는 손해죠. 그걸 어떻게 보충할까요? 빚 잘갚는 중년들 대출금리 올려서 메꾸는거죠. 그렇게 저렴하게 전세대출 해줬더니 해외가서 돈쓰고..뭔 짓거리인가요
34. ㄷㄴㄷㄴㅂㅁㅇ주
'25.2.25 12:39 PM
(118.235.xxx.125)
집을 강남이나 10억대 이상만 생각하지 않으면 아직 살 집들도 있어요 그냥 그런 소비가 일상이 된듯요
남편 회사 중소기업인데 1년에 해외여행 서너차례 호캉스도 달달이 많이 한대요 그러고 돈이 없다고 푸념한다네요
그게 평범한 수준이니 어쩌겠어요 다들 그렇게 사는거죠
35. 기본수준도
'25.2.25 1:40 PM
(27.172.xxx.143)
높아진거죠
올 설연휴에도 130만명 이상 해외여항객이 역대급으로
많았대요
여행비용은 평소보다 2배 이상 더 비쌌대요
36. ㅇㅇ
'25.2.25 3:08 PM
(116.47.xxx.88)
전세제도가 일종의 사금융 역할을 한거 아닌가요?
우리나라 금융권이 개인금융 부분이 작을 때(기업금융하거나 개인신용 신뢰성이 없어서)
그 역할을 했던거 아닐까해요. 예전 계처럼.
그리고 예전엔 부모가 결혼 때나 타지 이전할 때 전세자금이나 목돈 마련해 줬지만
이제 그 부모가 80~90세까지 사니 점점 힘들어 지는거구요.
그래서 현 50대~70대 부모들과 자식세대가 혼란스러운 것.
어떤 집은 예전 식으로 마련해주고 어떤 집은 미국, 일본식이고.
여기서 혜택 못 받고 자립도 못한 사람들이 남탓, 사회탓을 약하게 또는 강하게
하는 아닌가 합니다. 부모의 짐을 조금 내려놓고 아이들도 일반 성인으로
살아가는 법을 걷는 사회가 되면 좋을 것 같네요.
그리고 해외여행은 우리나라 사람들 허세와 사대의식 때문인 것 같아요.
일본도 잘 나갈 때 깃발들고 유럽여행을 많이 한 걸로 아는데
인구대비 우리만큼은 아니었던 듯 해요.
37. . .
'25.2.25 5:02 PM
(222.237.xxx.106)
해외여행은 허세 맞죠. 특히 일본. 외국은 가고 싶고 인스타에 허세짤 올려야 하는데 일본이 국내보다 저렴하니 매번 일본먼 가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