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선행 완료 기준을 심화로 보는데(최상위+왕수학)
어차피 상위 개념 배우면 아래학년은 쉽게 받아들인다고
디딤돌기본응용 정도만하고 쭉쭉 나가라는 의견이 많아서요 어떻게 보세요?
저는 선행 완료 기준을 심화로 보는데(최상위+왕수학)
어차피 상위 개념 배우면 아래학년은 쉽게 받아들인다고
디딤돌기본응용 정도만하고 쭉쭉 나가라는 의견이 많아서요 어떻게 보세요?
요새는 그게 대세 더군요..전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만.. ㅎ
초ㆍ중 심화 안하면 서술형 문제를 식으로 전환하거나 증명 문제 등에서 구멍이 많아요
왕수학 제대로 하면 중학교 수학은 에이급도 술술 나가더라구요
왕수학까지 하는 게 시간이 너무 걸리면 최상위 정도는 꼭 풀리세요
초등때 최상위로 선행이 안되는 머리면 선행할 필요가 사실 없는거예요 중등도 에이급이 안돼서 뭐를 몇번을 풀고 이런게 다 시간낭비예요.
그렇게 되면 결국 수상하가서 몇년동안 이해 못하고 시간만 써요.
그냥 헛고생인거죠
사위 개념으로 심화를 풀어내면
결국 고등학교 가서 막히지 않나요?
상위 개념으로 심화를 풀어내면
결국 고등학교 가서 막히지 않나요?
상위개념 배우면 아래 학년 개념이나 쉬운 문제는 쉽게 풀리죠
근데 그게 심화문제에는 적용 안돼요.
그래서 현행 심화 보다 선행 개념학습이 훨씬 심해요.
심화 문제는 개념의 문제라기보다는 문제를 대하는 태도를 길러준다 의미가 크기 때문에 잘하는 아이라면 어릴때부터 어려운 문제를 접하는 경험이 엄청 중요해요. 고등가면 공부한 애나 안한 애나 기본문제는 연습하면 다 잘해요. 심화문제를 못 풀어서 등급이 안나오는 거죠.
상위개념 배우면 아래 학년 개념이나 쉬운 문제는 쉽게 풀리죠
근데 그게 심화문제에는 적용 안돼요.
그래서 현행 심화 보다 선행 개념학습이 훨씬 어려워요
심화 문제는 개념의 문제라기보다는 문제를 대하는 태도를 길러준다 의미가 크기 때문에 잘하는 아이라면 어릴때부터 어려운 문제를 접하는 경험이 엄청 중요해요. 고등가면 공부한 애나 안한 애나 기본문제는 연습하면 다 잘해요. 심화문제를 못 풀어서 등급이 안나오는 거죠.
앗 실수. 현행 심화가 선행 개념보다 훨씬 어렵습니다.
선행 진도빼도 기응에 최상위까지는 해야죠
사실 최상위정도도 힘든 애들은 선행 안시키는게 맞구요
맞아요. 최상위가 힘든 애들은 선행해봤자 의미없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니 속도가 좀 느려도 현행 응용하거나 후행 심화서부터 열심히 하는 게 맞아요
대치포함 학군지 수학강사 오래 했고 지금 원장인데요
선행 가능한 강사는 구하기 쉽고 심화가능한 강사는 구하기가 어려워요 초중고 모두요
심화 건너뛰는건 학원의 사정인 경우도 많습니다
선행 많이 빼놓음 잘하는듯 보이니 강사구하기 쉽고 부모님들에게 얘기하기 좋고 홍보하기도 편해요
상술일수도 있는거 학부모님들이 알았으면 좋겠어요
디딤기응만으론 좀 그렇고요
일품ㆍ최상위(또는 최상위 라이트도 괜츈)정도까진 해야한다 생각해요
왕수학 최고단계가 좀 많이 어렵고 에이급까지도 필요없다 생각하지만 기응만으로 수박 겉핥기
말해봐야 너무 정보가 많아서 귀담아 듣게 되지 않으실 거에요
하지만
진짜 1년 선행 정도가 답이더이다 평범한 애들 기준이요
과학고 씹어 먹을 정도로 수과학 좋아하는 애들 빼고요.
평범한 애들은 쭉쭉 받아들이던 애들도 중2~3되서 나자빠지는 애들 천지에요
그러다 고등1때 나자빠지기도 하고
1년 정도 선행 했던 애들 무섭게 치고 나갑디다
이런거없이도 중3 방학특강만 다니고
고등때 수학성대굥시에서 상받는건 어떤가요
심화가 선행보다 훨씬 중요해요..
개념만 하는 선행은 사실 중요하지 않아요
심화하는게 중요하죠
문제를 기본만 맞출거 아니잖아요
심화는 문제푸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거잖아요.
어느학년이든 어려운 문제를 풀줄알아야 시험을 잘보죠
솔직히
심화가 그 나이에 술술 풀리는 애니
중학교때도 또 심화하고 하는거지
그냥 응용문제나 겨우 푸는 애들이야
힘들어요
애 수준에 맞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