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ㅡㅡㅡ
'25.2.22 7:38 PM
(58.148.xxx.3)
사실 정답이 없죠 확실한 작은 안전을 보장한다면 최저보다 효율이 떨어져도 붓는거고(그래도 다른 연금보다 나으니까) 현재의 천만원을 내가 더 가치있게 쓰거나 굴릴수 있다면 최저만 넣고요. 아님 12만원으로 타협?
2. ;;;
'25.2.22 7:46 PM
(121.190.xxx.243)
비율로 따지면 제일 적게 내는 게 가장 낫지요.
근데 아무도 언제 죽을지는 모르기 때문에 오래 살지도 모른다는 걱정을 하게 된다면 총금액으로 봤을 때 가장 많이 넣고 많이 받는 게 낫다고 생각해요.지금 넣을 수 있다면요.
3. 미적미적
'25.2.22 7:52 PM
(211.173.xxx.12)
비율은 최저가 효율 높으나 지금 당장 천만원이 부담 없으면 더 넣어서 좀 더 받는게 낫지않을까합니다만 현재 여유가 이천만원도 안된다면 천만원만 하세요
4. 조금이라도
'25.2.22 8:01 PM
(119.204.xxx.215)
연금액을 늘릴수 있으면 늘리고, 되도록 오래산다에 배팅하세요.
5. .....
'25.2.22 8:15 PM
(110.9.xxx.70)
-
삭제된댓글
예전이라면 2천만원 추납하고 65만원 받으시라고 권하겠지만
기초연금 제도가 생기고 나서는 생각이 달라졌어요.
그 5만원 차이로 기초연금이 달라질 수 있어요.
월100만원 받을 수 있게 추납하는 거 아니라면
그냥 최저로 넣으시는 걸 고려해 보세요.
6. 비교분석
'25.2.22 8:27 PM
(223.38.xxx.30)
하나도 추납을 안하면 얼마를 받나요?
7. ㅇㅇ
'25.2.22 8:28 P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위에
기초연금 받기 위해 덜 넣어라는 글도 있는데,
기초연금제도는 어떻게 바뀔지 몰라요.
하위 몇%에 몰아주자는 여론도 있고,
노인 연령 높여서 모든 노인에게 다 줄지,
모든 노인에게 주지 않더라도
노인 연령 70세로 상향하면 기초연금 수령시기도 그만큼 늦춰질 건데, 그런 건 믿을 게 못 돼요.
원글님의 경우 국민연금을
15년 후에 받는다고 치고,
천만원을 3% 남짓한 예금에 15년 동안 넣어놓으면
복리로 받아도 이자가 400 부근.
원금과 이자를 더하면 1400만원.
이걸 전액 통장에 넣어두면 월3만원밖에 안나와요.
연금처럼 월 6만원 받으려면
3천만원 넣어둬야 하는데
지금 국민연금에 천만원 추납하는 게 두 배 이득이네요.
게다가 앞으로는 더 넣고 덜 받을 수 있으니
과거 조건으로 추납해둔다면 또 이득.
저라면 추납해요.
8. 빙그레
'25.2.22 8:36 PM
(122.40.xxx.160)
정확한 금액은 연금공단에 물어보심히 정확히 알아요.
연금 넣은 상황에 따라 엄청 달라서 우리같은 일반인은 정확히 모르고요.
다만 배우자와 관계에 따라
받는상황이 다르니 상담 받아보세요.
9. ㅇ
'25.2.22 8:41 PM
(118.223.xxx.239)
추납안하고 지금부터 60세까지 넣음 40정도요
10. ㅇ
'25.2.22 8:42 PM
(118.223.xxx.239)
ㅇㅇ님 이천만원 추납하라는 말씀이시지요?
11. ㅇㅇ
'25.2.22 8:54 PM
(211.110.xxx.44)
-
삭제된댓글
네
천만원 더,
합계 2천만원 추납요!
12. 언제나
'25.2.22 9:00 PM
(112.168.xxx.86)
연금개혁 어떻게 될지도 몰라서 기다리다가 타기 2,3년전에 추납할지 안할지 연금공단에 알아보고 결정하는게 좋을것 같아요.
13. ㅇㅇ22
'25.2.23 6:38 AM
(125.139.xxx.147)
위에 지금은 없는 ㅇㅇ님 말에 동의합니다 여력이 된다면야 기초연금에 기대지 말고 내돈으로 받는 쪽이 좋다고 생각해요 기초연금은 바뀔 수 있쟎아요? 그리고 추납은 제도 바뀌기 전 빨리하는 거 좋아요
14. ㅇ
'25.2.23 9:57 AM
(118.223.xxx.239)
ㅡㅡㅡ님 12만원도 납부가능한가요? 그럼 그 방법도 괜찮네요^^
15. ...
'25.2.23 12:19 PM
(219.255.xxx.153)
-
삭제된댓글
60세부터 수령
1) 현재처럼 국민연금 납부하면 월 40만원 수령
2) 10,710,000을 추납하면 월 21만원 증액.
1천71만원/21만원=51개월=4년3개월 받으면 낸 돈은 다 돌려받아요.
3) 또 1천71만원을 내면 월 6만원 증액.
1천71만원/6만원=179개월=15년을 받아야 증액분을 다 돌려받아요.
저라면 2)번까지만 하고
1천71만원은 다른 곳에 투자하고,
4) 월 9만원씩 65세까지 임의납부를 연장하면, 수령액이 얼마로 늘어나는지 알아보겠어요.
16. ....
'25.2.23 12:22 PM
(223.38.xxx.21)
60세부터 수령
1) 현재처럼 국민연금 납부하면 월 40만원 수령
2) 1천71만원을 추납하면 월21만원 증액 수령.
1천71만원÷21만원=51개월=4년3개월 받으면 낸 돈은 다 돌려받아요.
3) 1천71만원을 더추납하면 월 6만원 증액.
1천71만원÷6만원=179개월=15년을 받아야 증액분을 다 돌려받아요.
저라면 2)번까지만 하고
1천71만원은 다른 곳에 투자하고,
4) 월 9만원씩 65세까지 임의납부를 연장하면, 수령액이 얼마로 늘어나는지 알아보겠어요.
저는 4번을 내기로 했어요
17. ㅇ
'25.2.23 2:16 PM
(223.39.xxx.77)
....님 감사합니다.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주셨네요. 저도 4번 알아볼게요. 수긍이 갑니다. 복많이 받으세요^^
18. ....
'25.2.23 3:01 PM
(223.38.xxx.234)
-
삭제된댓글
3)번에 1천71만원을 추납하고 더 받는 월 6만원은 이자가 아니예요. 나중에 원금을 돌려받지 않으니까요.
원금에서 6만원씩 쪼개서 받는 거예요.
15년을 못살면 다 되돌려 받지 못하는 돈.
1천71만원을 내 통장에 넣고 매월 6만원씩 꺼내 쓰는게 더 나을지도요. 원금을 잘 보존한다면.
저는 월 9만원씩 4년 임의가입을 연장하니, 월 9만원이 증액 수령돼요.
그말인즉슨, 4년만 받으면 원금은 다 돌려받고 그 이후 수령액은 그야말로 추가로 받는 거에요.
내가 국민연금공단을 위해서 돈 많이 내면 좋겠으나, 제도를 잘 이용하면 좋죠.
19. ....
'25.2.23 3:03 PM
(223.38.xxx.234)
아이피 바뀌었지만 ....입니다.
3)번에 1천71만원을 추납하고 더 받는 월 6만원은 이자가 아니예요. 나중에 원금을 돌려받지 않으니까요.
원금에서 6만원씩 쪼개서 받는 거예요.
15년을 못살면 다 되돌려 받지 못하는 돈.
1천71만원을 내 통장에 넣고 매월 6만원씩 꺼내 쓰는게 더 나을지도요. 원금을 잘 보존한다면.
저는 월 9만원씩 4년 임의가입을 연장하니, 월 9만원이 증액 수령돼요.
그말인즉슨, 4년만 받으면 원금은 다 돌려받고 그 이후 수령액은 그야말로 추가로 받는 거에요.
내가 국민연금공단을 위해서 돈 많이 내면 좋겠으나, 제도를 잘 이용하면 좋죠.
원글님도 임의가입 4년 계속 납부를 알아보세요. 저와 조건과 결과가 다를 수 있어요.
20. ㅇ
'25.2.23 3:23 PM
(118.223.xxx.239)
점넷님 감사합니다. 명쾌하게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잘됩니다. 제가 여유로우면 이천만원 척척 추납하겠으나 수중에 없기도 하고 비상금으로도 돈 여유가 있어야되니까요.
천만원은 가능하나 이천은 부담이면서도 미래에 더 득이라면 낼까했거든요. 부연 설명감사드리고 오래오래 산다는 조건하에 불입을 희망하는거니 님처럼 65세까지 납부하면 얼마 수령가능한지 알아볼게요. 거듭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