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래글에 이어2탄-페라리를 살 수 있게 되니 페달을 밟을 힘이 없다!인생을 즐기는 방법에 대해.

호기심 조회수 : 482
작성일 : 2025-02-20 11:18:25

챗지피티와의 수다 공유합니다.

 

재테크 강의에서는 그러잖아
목표가 있으면 앞만 보고 달리라고.허리띠 졸라매고  돈을 쓰지말고 저축하라고.penny까지 아껴야 한다고.그런데 그래서 다 이루고나면?행복할까?

이런말 알아?페라리를 탈 수 있는 나이에는 페라리 살 돈이 없고 페라리를 살 수 있게 되니 페달을 밟을 힘이 없다고. 네가 그랬지 건강수명은 70대 전후라고...이 페라리 생각이 나네 

 


그 생각 충분히 일리가 있어. 여행은 돈도 많이 들지만, 체력과 건강이 받쳐줘야 제대로 즐길 수 있는 경험이니까. 60대 이후에도 여행을 갈 순 있지만, 젊을 때처럼 하루 종일 걷거나 액티비티를 즐기긴 어려울 가능성이 높아.
네가 말한 대로 건강수명이 70대 초중반이라면, 60대부터 여행을 시작하면 체력적으로 한창일 때보다는 제약이 많을 수 있어. 특히 장거리 비행이나 액티브한 여행(트레킹, 다이빙 같은 거)은 50대 이전이 최적기라는 얘기도 많고.
만약 여행을 완전히 뒤로 미룰 생각이라면,
60대 이후에도 가능한 여행 스타일을 생각해두는 게 좋을 거야. (고급 리조트 중심, 크루즈 여행, 힐링 여행 등)
50대 중반쯤엔 최소한 몇 번은 가보는 것도 방법이야. (너무 늦으면 후회할 수도 있으니까)
체력 관리도 투자라고 생각하면 좋아. (운동 꾸준히 해서 60대에도 활동적인 여행이 가능하도록)
너처럼 투자 우선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많은데, 돈을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체험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도 중요한 투자야. “건강할 때 해야 할 것”과 “늙어서도 할 수 있는 것”을 잘 구분해서 계획하면 더 후회 없는 선택이 될 거야.
그게 딜레마지. 지금 여행을 가면 돈이 빠져나가고, 안 가면 나중에 체력이 안 따라줄 수 있다는 거니까. 네 목표가 투자 수익 극대화라면 확실히 여행비는 부담일 거고, 여행을 40대에 한다면 목표 자산 달성 속도는 느려질 수밖에 없어.
그럼 현실적인 대안 몇 개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아:
1️⃣ "짧고 알뜰하게" 가는 전략
완전 장기 여행이 아니라,
단기(3~5일)로 가성비 있게 다녀오기
가까운 나라 위주로 최소 비용으로 다녀오기
핵심 경험만 즐기고 최소한의 돈으로 최대한 얻는 여행
이렇게 하면 자산 성장 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면서도 체력 있을 때 여행의 기쁨을 맛볼 수 있어.
2️⃣ "목표 금액 달성 후 한 번에 가기"
✔ 지금은 올인해서 투자
✔ 목표 금액을 조기 달성한 후 50대 초반에 몰아서 여행 가기
✔ 체력 관리 철저히 해서 50대에도 40대처럼 다닐 수 있도록 유지
이 방식이면 목표 달성 속도를 늦추지 않으면서도 여행을 포기하지 않는 전략이 될 수 있어.
3️⃣ "배당·이자 또는 수익으로만 여행비 충당"
✔ 원금은 건드리지 않고 배당금이나 투자 수익 일부만 사용
✔ 연간 1~2% 수익을 여행비로 쓰고 나머지는 재투자
✔ 이렇게 하면 원금 손상 없이 자산 성장 속도를 유지하면서 여행 가능
이 방법은 여행을 가면서도 복리 효과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방식이라서 가장 균형 잡힌 선택일 수도 있어.
어떤 방법이든 완전히 미루지 않고 적절한 시점과 방식으로 경험하는 게 중요해. 너도 이미 감가를 고려할 정도로 계산적인 스타일이니까, 여행도 숫자로 시뮬레이션해 보면 더 답이 명확해질 거야.

IP : 118.235.xxx.18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2.20 12:10 PM (27.122.xxx.101)

    확실히, 질문이 기니까 답도 기네요~ 주로 'ooo 찾아줘'만 하는데 ^^

  • 2. ㅇㅇ
    '25.2.20 12:51 PM (73.109.xxx.43)

    약간 과장된 것 같아요
    70대 노인도 페라리 잘 타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8151 얼마전 초등교사가 학원강사한테 천한주제에..라고 21 바닐라 2025/02/20 4,418
1688150 아파트 반려새 키우기 8 배고프지마라.. 2025/02/20 915
1688149 삼성전자가 나보다도 세금을 적게 내다니 7 ㄴㄴㄴ 2025/02/20 1,782
1688148 자녀들 결혼은 어떤 사람과 하길 바라시나요? 11 2025/02/20 2,364
1688147 지금 축구 한일전해요 1 ..... 2025/02/20 1,041
1688146 작은 텀블러로 커피 테이크아웃 해보셨나요? 9 텀블러 2025/02/20 1,599
1688145 5월 타이페이와 삿포로 어디가 좋을까요? 5 고민 2025/02/20 780
1688144 끌올) 얌체같은 지인이 본인은 모르는데 8 청정지킴이 2025/02/20 2,251
1688143 집을 치워야하는데 엄두가 안나요 8 ㅇㅇ 2025/02/20 2,195
1688142 이수지(슈블리맘) 공구하는 거 누구 따라하는 건가요? 8 재미 2025/02/20 3,539
1688141 대학생 장학금 받으면 고지서에 나오나요? 6 ... 2025/02/20 1,009
1688140 코트 라벨 뒤집어보던 선생님 16 2025/02/20 5,446
1688139 친한 친구가 다단계를 시작했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14 다단계 2025/02/20 1,716
1688138 요즘 슬로우 조깅 하려니 조깅화(러닝화?)에 관심이 많아져서.... 6 ... 2025/02/20 805
1688137 굴먹고 탈난 경우 16 ㅡㅡ 2025/02/20 2,188
1688136 코스트코 플로티나 이불세트요 2 .. 2025/02/20 938
1688135 퇴직연금 들면 1 .... 2025/02/20 939
1688134 고기 오늘 사서, 내일먹어도 ... 5 고기기긱 2025/02/20 812
1688133 봉준호는 인간적인 매력이 넘사 11 ㅇㅇ 2025/02/20 3,499
1688132 좋은 녹차 어디서 살까요? 3 ㅇㅇ 2025/02/20 612
1688131 생일 어떻게들 보내시나요 즐겁게 보내고프네요 5 내일생일 2025/02/20 767
1688130 학원에서 아이한테 너네집은 부자잖아. 23 학원 2025/02/20 6,347
1688129 요알못인데 스파게티를 더 가는 걸로 대체해도 되나요 3 아몰랑 2025/02/20 623
1688128 "감당 안 되는 자폐아 데려오지 마세요"…키즈.. 12 ㅇㅇ 2025/02/20 4,887
1688127 유튜브의 폐해 보스 2025/02/20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