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해민의 생각] AI, 시작부터 글로벌이어야 한다

ㅇㅇ 조회수 : 372
작성일 : 2025-02-15 22:49:11

https://www.firenzedt.com/news/articleView.html?idxno=31188

내용이 참 좋습니다 

우리도 알아야 정치권에

요구할 수 있지 않을까요?

 

- 딥시크 등장 이후 전세계 IT 업계는 힘의 역전 돌입
- 한국형? 내수 지향적 오그라든 사고...‘K’는 글로벌을 무대로!
- 정부 1조+민간 5곳 5천억원, AI 개발사 만들자
- 최고 수준의 결과(SOTA) 내본 전문가 팀 구성 필요

칼럼의 필자는 현직 국회의원 이해민(조국혁신당)이다. ‘전직 구글러(Googler)의 의견이라고 해야 더 어필할 것 같다. 글의 요지는 명쾌하다. ‘촌스럽지 말자’다. “‘한국형 인공지능(AI)’같은 문서적 개념(이라 쓰고 허구적 개념이라 읽는다)에 끌려다니지 말자, 자기 분야에서 최고의 결과를 내본 사람들을 모아 정부 투자형 회사를 만들자”는게 첫 제안이다. 프랑스 미스트랄 모델과 비슷하다. 딥시크 이후 소프트웨어(SW)의 시대가 왔다는 진단, 전국민이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AI 고속도로를 깔자는 의견에서 전문가의 안목이 느껴진다. ‘AI 인력, 00년까지 3만명 육성’ 같은 목표는 자살행위라거나 “정부기관에서 뜬금포로 짜집기 일시키면 안된다"는 지적에서는 경쟁력있는 민간의 향기가 물씬 풍긴다.

 

가성비? No! 하루아침에 등장한 게 아닌 딥시크

전문 인력 기반 오랜 준비로 등장...쩐의 전쟁 HW 싸움 SW로 확전

그렇다면 딥시크는 그냥 넘어가면 되는 흐름일까요. 그렇진 않습니다. 저는 특히 소프트웨어(SW) 업계에 던지는 화두가 굉장히 크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에서 고성능 반도체 수출규제를 한 후, 중국에서는 펌웨어와 SW 최적화로 문제를 풀은 결과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쉽게 말하면 당장 손에 있는 하드웨어(HW)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에서 SW적으로 최적화 시키는 노력을 한 것이죠. ‘쩐의 전쟁’이었던 HW, GPU쪽의 관심에서 드디어 SW가 중심을 찾아가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딥시크가 세상에 없는 무언가를 시도한 건 아닙니다. 관련된 강화학습은 이미 수년 전에 나온 방법입니다. 딥시크는 그걸 시도하고, 실험하고 상용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었던거죠. SW적으로 접근하여 성공을 보여준 좋은 예제입니다. 딥시크가 마치 몇 년 만에 후다닥 만들어진 결과물처럼 인지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퀀트(고도의 수학 통계지식을 바탕으로 한 투자기법, 또는 투자자)쪽 개발을 배경으로 한 축적된 기술력이 이미 존재했고, 퀀트로 벌어들인 자본력이 함께 있었습니다. 딥시크를 일부에서는 ‘가성비’라고 말을 하는데 굉장히 잘못된 판단이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 정책이 만들어질까봐 큰 걱정입니다. 딥시크에서 얻어내야 하는 키워드는 가성비가 아니라, 오픈소스와 SW입니다.

 

바쁘다 바빠, 샘 알트만! 왜?

AI 세상을 이해한다면서 딥시크만 바라보면 안됩니다. 미국 쪽도 핑글핑글 돌아갑니다. 오픈AI의 샘 알트만은 바로 오픈소스 카드를 꺼내고, 트럼프는 저사양 반도체 규제 카드 꺼냅니다.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발표하러 미국에 가고, 트럼프 대통령은 엔비디아의 젠슨황을 만납니다. 최근 샘 알트만이 한국에 와서 기업인들을 만났죠. 스타게이트를 통한 5,000억 달러 투자를 발표한 게 지난 주인데 말이죠. 이후 구글에서는 딥시크를 겨냥한 경량 모델을 바로 출시해버렸습니다. HW 제한이 있는 중국에서 만든 방법론은 HW 넘쳐나는 미국에서 만들면 사실 더 빨리 잘 만들 수도 있거든요. 그야말로 춘추전국시대의 개막입니다.

AI를 기점으로 한 세계 IT 업계는 물론 국가 간에도 권력 재편이 이뤄지고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이 이 전쟁터에서 보이지 않는 것은 저에게 큰 우려입니다. 오늘 제언의 바탕에는 이러한 우려가 깔려있습니다

 

바람에 가까운 두 가지 제언 : 

제언1.민관협력이 첫 단추, 전문가 확보가 핵심

제언2 : 김대중의 정보화 고속도로 능가하는 AI 고속도로

 

예산확보 : 추경의 시급함

정책과 거버넌스 수립 : 신속한 AI기본법 개정과 하위법 마련

인력확보 : 중국발 딥시크 충격의 이면 '중국 AI인재확보' 전략

외교력 확보 : AI 생태계 문제 개입을 위한 한국 외교 복구  

각 단계에 따른 기업경쟁력 강화 : AI반도체 전략은 글로벌 멀티 트랙

IP : 118.235.xxx.153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6792 25살이면 뭐든 다시 시작해도 되는 나인데.... 9 velvet.. 2025/02/17 2,406
    1686791 친정엄마 간암에 사위가 이식 가능하면 하라 하겠어요? 23 ... 2025/02/17 3,754
    1686790 냉동연입밥 1 2025/02/17 697
    1686789 이번감기는 기침과 가래가 진짜 오래가는것 같은데 맞나요? 8 ... 2025/02/17 832
    1686788 혈압이 낮아졌어요 7 ㅇㅇㅇ 2025/02/17 1,998
    1686787 죄송하지만 저도 추합기도 부탁드립니다 25 재수생엄마 2025/02/17 1,133
    1686786 남대문시장 온누리 상품권 사용 가능한가요? 6 ** 2025/02/17 901
    1686785 냄비 홀랑 태웠어요 2 50대 2025/02/17 646
    1686784 제습기 추천해주세요 1 도토리키재기.. 2025/02/17 174
    1686783 성형 다양하게 해본편이지만 셀프관리로는 입꼬리 관리 7 ..... 2025/02/17 1,796
    1686782 매트 운동하는데 옆자리에 매트 깔때 2 배려 2025/02/17 766
    1686781 이건 무슨 심리에요? 4 ㅇㅇ 2025/02/17 706
    1686780 초1학생 살해 초딩교사 원래 그나이대 기준으로 열등생 51 근데 2025/02/17 6,102
    1686779 멜라토닌 5 윈윈윈 2025/02/17 1,124
    1686778 휘슬러 압력밥솥 샀는데 밥알이 살아 있네요 2 오늘 2025/02/17 1,367
    1686777 이광희 금침 이라고 아시는분 와중ㅇ 2025/02/17 294
    1686776 득템 감격.. s 사이즈 바지가 잘 맞네요 바지 2025/02/17 705
    1686775 연명치료 저는 절대 안할거예요 19 ㅇㅇ 2025/02/17 3,370
    1686774 코다리로 "탕" 끓여도 괜찮은가요? 8 .... 2025/02/17 1,360
    1686773 저는 메타인지가 떨어지는 거 같아요 3 메타 2025/02/17 1,383
    1686772 추합등록 3시까진데 너무 고민되네요 26 ㅇㅇ 2025/02/17 3,329
    1686771 양자 대결…이재명 46.3% vs 김문수 31.8%[리얼미터] 14 ... 2025/02/17 1,222
    1686770 대학들어가더니 달라진 아들 9 .. 2025/02/17 4,045
    1686769 80세 엄마가 엉덩이아프시다고ㅠ 10 $ 2025/02/17 2,078
    1686768 尹 "국회 막으려면 단전부터 했겠지"…그것이 .. 11 탄핵가자 2025/02/17 2,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