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님 장례식비 어떻게 나누나요?

... 조회수 : 4,727
작성일 : 2025-02-11 22:13:17

시부모 두분다 병원에 계신지 5년 되가요.

최근 시어머니가 많이 안좋아지셔서

현실적인 문제를 미리 생각해놔야 해서 문의 드려요.

손아래 시누이들은 병원비부터 생활비까지 나몰라라 하고 한달에 10만원씩만 내요.

형편은 다들 저희보다 훨씬 나은데 돈 10만원에 벌벌 떨어요.

두분 병수발 위해 커리어 버리고  시가 근처로 이사와 주변에 아는 사람이라곤 직장 동료들 뿐인 남편은 시누이들과 감정의 골이 깊어요.

저도 더이상 시누이들과는 대화가 안되서 번호 차단한지 오래고 장례식장에서나 보게될것 같아요

2년전 친정아버지 장례식을 치뤘는데

형제들에 따라 조문객 수가 극명하게 차이가 나고 조의금 액수차이가 상당했지만  명단은 따로 챙기고 들어온 조의금에서 장례비 계산하고  남은돈 일부는 형편 안좋은 형제와 친정 엄마에게 주고  조문객수 많은 형제에게 나머지를 줬어요. 개인별 계좌로 들어온건 각자 알아서 하구요.  그게 맞는건지 모르지만 일단 맏이인 언니가 언니네 시가에서 겪은 경험을 토대로 

추진하니 형제들도 별말 없이 따르더군요. 

 

장례후 남편이 말하길 객관적으로 보자면

조문객수 가장 많은 00이가 양보하고 처형이

진두지휘 해서 조용히 치뤘지 내동생들 같았으면 싸움 났을거라고......어쨌든 처가식구들은  평소엔  너무  데면데면한데  무슨일 생기면 그 끝은 훈훈한 면이 있다고...

어쨌든

장례식 비용을 어떻게 나누셨나요?

 

 

 

IP : 222.100.xxx.132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2.11 10:17 PM (182.213.xxx.183)

    식대를 제외한 장례비는 1/n
    식대는 현장 조의금 들어온 금액 비율대로 식대계산

  • 2. 또로로로롱
    '25.2.11 10:21 PM (218.155.xxx.132)

    1/n
    본인 앞으로 들어온 조의금은 본인이 챙겨가야죠.

  • 3. ㅇㅇ
    '25.2.11 10:24 PM (49.168.xxx.114)

    몇년전 아주버님 장례식
    저희남편이랑 막내서방님 앞으로 조문객이 많았어요
    들어온돈으로 장례비 지불하고 남는돈 전액
    형님 ㅡ 아주버님 배우자
    에게 전액 전달했습니다
    고맙다는 소리 못듣고 당연하다는듯 그냥 가지시면서
    다 정리하고 형님댁가서 저녁 시켰는데 그 많은 현금을 들고도 배달음식 계산을 안하셔서 저희가 계산했네요~~
    조용할려면 누군가의 큰 양보가 있어야한다고 봅니다

  • 4. ㅇㅇ
    '25.2.11 10:25 PM (125.130.xxx.146)

    조문객수 가장 많은 00이가 양보하고
    ㅡㅡ
    이게 조용히 치르는데 제일 컸죠

    1/n
    본인 앞으로 들어온 조의금은 본인이 챙겨가야죠..222

  • 5. ...
    '25.2.11 10:25 PM (218.144.xxx.118)

    친정은 세자매
    들어온 조의금서 장례비 다 치루고 저희는 계좌로 들어온 금액도 빈병투에 각자 이름 쓰고 금액 쓰고 금액 합계, 그 금액을 찾아서 주관하는 형제에게 우선 줬어요.
    ㅡ 양심의 문제죠. 계좌를 서로 다 볼 수는 없으니까요.
    상조회사에 가입한 형제도 그 금액 다시 돌려주고 남은 금액에서 대강 비율로 봐서 비슷하길래 일정 금액씩 똑같이 나눠주고 ㅡ 예를 들어 세자매×2 (부부 부조금 들어왔으니까요).
    나머지는 친정 엄마 계좌로 넣었어요.

    시가는
    장남인 남편이 다 주관.
    장례비 다 치르고 어머니 다 드렸습니다.
    ㅡ 장남인 남편앞으로 제일 많이 조의금이 들어왔어서 별말들이 없었던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 어머니가 정정하셔서 49제도 비용등 쓰시라고 남편이 단독 결정했습니다.

  • 6. . . .
    '25.2.11 10:26 PM (218.155.xxx.169)

    시어머니 상에 저희 조문객이 월등이 많았어요
    ㅣ/n했은때 다른 형제들은 그 금액 이하로 조의금이 들어 왔어요 3명의 딸들은 거의 조의금이 안들어 왔어요
    모든 비용 제외하고 6명의 형제들에게 오십씩 줬어요
    그게 10년전이네요

  • 7. 깔끔하게는
    '25.2.11 10:27 PM (218.48.xxx.143)

    부조금 들어온 비율대로 장례비와 식대 비용지불하고 남은 돈도 비율대로 나눠가져야 합니다.
    장례비 1/n 이 아니더라구요.
    변호사가 그렇게 얘기해주더라구요.

  • 8. ㅇㅇ
    '25.2.11 10:28 PM (125.130.xxx.146)

    제주도는 조문객이 찾아온 사람에게 바로 전달한다고 해요.
    시부모와 자식이 같이 살아도 부엌은 따로 사용하는 것 등
    제주도가 합리적인 부분이 있어요

  • 9. ㅇㅇ
    '25.2.11 10:33 PM (125.130.xxx.146)

    부조금 들어온 비율대로 장례비와 식대 비용지불하고 남은 돈도 비율대로 나눠가져야 합니다.
    장례비 1/n 이 아니더라구요.
    변호사가 그렇게 얘기해주더라구요.
    ㅡㅡㅡ
    그렇군요
    어떻게 보면 이게 맞겠네요..
    부조금 적게 들어오는 당사자 형편이 안좋을 수도 있으니..

  • 10. ㅇㅇ
    '25.2.11 10:52 PM (14.32.xxx.242)

    장례비 똑같이.니누고 식대는 손님 비율로 나누먄 공평하지 않나요?

  • 11.
    '25.2.11 11:06 PM (116.37.xxx.236)

    연말에 장례 치렀는데 손윗시누가 다 내셨네요. 저희한테 온 조의금은 다 주셨고요. 상속계좌에서 장례비용 인출해 갔었는데 나중에 상속세에 보태 내라고 그것도 돌려주셨어요.

  • 12. 많이
    '25.2.11 11:07 PM (118.235.xxx.212)

    들어온사람이 적게 들어온 사람에게 나눠주고 양보하는데
    사이 나쁠리 있겠어요? 그걸 지켜보고 아무말 안한 배우자 공이 천프로 같은데요

  • 13. ..
    '25.2.11 11:23 PM (221.148.xxx.19)

    어짜피 상속세 낼꺼 장례비용은 돌아가신 분 카드로 계산했고
    부의금은 각자 가졌어요
    자기 빚인데 자기가 챙겨야죠

  • 14. ....
    '25.2.12 12:17 AM (39.7.xxx.88)

    장례비 내고 남은건 많이 들어온 사람들에게 나눠줬어요 남편은 형들이 알아서 다 써라 그랬는데 우리 다음으로 많이 들어온 형이 그러면 안된다고 해서 돌려 받았어요

  • 15.
    '25.2.12 12:27 AM (112.146.xxx.161)

    각자 손님들이 올텐데 장례 끝나고 그건 각자 몫으로 가지고 장례비용 총액에서 1/n합니다
    그게 제일 깔끔하더군요 더 낸다 덜낸다 내손님 많이 왔다 할거 없이요

  • 16. 저희는
    '25.2.12 6:45 AM (118.235.xxx.185)

    장례비용 치르고 남은 돈 4형제가 똑같이 나눴어요.
    대기업 다니던 우리남편이 제일 많이 들어왔지만
    그런거 안따지고 나눠 조용히 지나갔어요.
    봉투 한두개 받은 형제도 있었어요.
    퇴직한지 몇년 지났지만 저희는 아직도 경조사비
    열심히 내고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4955 민주당 "대관람차에 1조 쓰겠다는 오세훈 황당무계&qu.. 6 ........ 2025/02/12 1,621
1684954 오늘 본 충격뉴스 _ 딸기스무디, 플라스틱 2 웬일 2025/02/12 3,516
1684953 예수님이 다시 부활하시면. 6 교인 2025/02/12 1,047
1684952 제일 비참한 여인 탑3 ' 경혜> 소헌> 원경' 11 역사공부 2025/02/12 2,870
1684951 한화오션 수익 42프로... 8 .. 2025/02/12 2,741
1684950 갱년기때 통증 어떠셨어요? 3 와이 2025/02/12 1,458
1684949 60후반엄마한테 아이패드주면 사용하실까요 7 Kong 2025/02/12 1,432
1684948 버스는 한시간 반 후에 오는데.. 10 어쩌지 2025/02/12 1,741
1684947 70년대 노래. 제목 뭘까요? 4 ㅇㅇ 2025/02/12 725
1684946 올리브영 인생템 추천 > 활용 꿀팁 놓고 갑니다 42 코코몽 2025/02/12 7,945
1684945 대통령을 하나만 뽑긴 좀 ~ 8 .. 2025/02/12 761
1684944 배란기때 속쓰림 증상 있나요? 1 배란기 2025/02/12 262
1684943 영국이나 프랑스 서유럽에 사시는 분요 9 .... 2025/02/12 1,863
1684942 수내역에서 돌고래상가 10 돌고래 2025/02/12 1,743
1684941 수영복 교체 주기 6 ㅇㅇㅇ 2025/02/12 1,186
1684940 제 글에는 댓글이 참 안달리네요..ㅜ.ㅜ 13 슬프다 2025/02/12 3,243
1684939 탄핵 반대하시는 분들만 보세요. 3 나무 2025/02/12 1,060
1684938 전세 만기 며칠전 인상요구하는 집주인 5 ... 2025/02/12 2,025
1684937 뇌졸증 검사는 어떻게 하나요 5 ㅁㄶ 2025/02/12 1,459
1684936 내란은 사형이야 3 국민이 권력.. 2025/02/12 644
1684935 국과수 “김하늘양 사인은 ‘다발성 예기 손상’ 때문” 3 .. 2025/02/12 3,173
1684934 무릎관절염2기 이신 분들 걷기 잘 되세요? 6 00 2025/02/12 963
1684933 러닝하시는 분들 어떻게 입고 뛰세요? 8 000 2025/02/12 862
1684932 2/12(수) 마감시황 나미옹 2025/02/12 247
1684931 각자 아는 패션 팁 써봐요 40 초콜릿모찌 2025/02/12 7,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