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2.11 3:23 PM
(110.70.xxx.175)
헬은 맛만 좀잇음 불친절하고 간판없어도 찾아가 기어이먹죠.
경쟁력 차별성 없어서 망해요
이런데는 어느시대나 원래망함.
2. 그래도
'25.2.11 3:23 PM
(49.164.xxx.115)
제 손으로 안하고 가만히 앉아 있으면 음식이 나오니 외식 갑니다.
뒷처리 안하는 것도 너무 편하지요.
3. ...
'25.2.11 3:24 PM
(39.7.xxx.119)
창업해도 폐업해도 자영업하는중에도 국가지원 다 받는데도 맨날 안되면 자기실력 점검할때
4. .....
'25.2.11 3:27 PM
(119.71.xxx.80)
맞아요. 요즘 요리 너무 간단한 레시피 많은데 맛도 있으니 굳이 밖에서 사먹는 횟수가 확 줄었어요.
일단 식당 가격이 너무 비싸고 맛도 그저그래요.
얼마전에 식당에서 등갈비 먹었는데 전문점인데도 고기냄새 나더라구요 ㅠ 차라리 집에서 에프에 립 돌려먹을껄 후회함
5. ㅇㅇ
'25.2.11 3:27 PM
(116.32.xxx.119)
밀키트도 요즘 잘 나오고
식당중에 메뉴 많고 이것 저것 하는 곳은
나와있는 제품을 데워서 주는 곳도 있다면서요
6. ..
'25.2.11 3:28 PM
(116.126.xxx.144)
가격 대비 맛도 별로니 외식은 점점 줄어들 수 밖에요 돈 아깝잖아요
가격도 웬만큼 받고 맛도 평균만 되주면 돈 들어도 편한거 감안 해서 외식 할텐데
그게 아니거든요
7. 일단
'25.2.11 3:28 PM
(61.43.xxx.163)
코로나를 기점으로 배달이 일상화 됐던 거 같아요.
그리고 밀키트도 워낙 잘 나오고.
쿠팡같이 새벽배송의 편리함도 한몫 하구요.
8. 일단
'25.2.11 3:30 PM
(211.206.xxx.191)
가성비가 너무 떨어지니
집 밥 하게 됩니다.
9. 여기에
'25.2.11 3:30 PM
(221.149.xxx.36)
-
삭제된댓글
한가지가 더 추가되는데
요새 부엌이 요리하기에 참 좋게 만들어져요. 인테리어 효과일수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여자들이 요리하고 싶은 마음이 들 만큼
부엌이 전체적으로 많이 업그레이드 된것 도 있어요
냉장고+김냉 ..이렇게 두대씩 놓으니 보관도 용이하고요
10. 여기에
'25.2.11 3:31 PM
(221.149.xxx.36)
한가지가 더 추가되는데
요새 부엌이 요리하기에 참 좋게 만들어져요. 인테리어 효과일수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여자들이 요리하고 싶은 마음이 들 만큼
부엌이 전체적으로 많이 업그레이드 된것 도 있어요
냉장고+김냉 ..이렇게 두대씩 놓으니 보관도 용이하고요
그리고 여기에
에프+오븐+인덕션+식세기 등등
집에서 재료 사다가 건강하고 간단하게 해먹기가 예전보다 용이해졌어요.
11. 탄핵인용기원)영통
'25.2.11 3:33 PM
(106.101.xxx.160)
-
삭제된댓글
결혼 20년이 넘었는데 토요일 일요일 아침만 빼고 점심 저녁은 외식인데
나부터도 외식 안하고도 먹을 대안들이 있어서 외식 수가 줄어들고 있어요
최고 게으름뱅이 여인이라고 생각하는 내가 외식을 줄인다니 ..자영업 장사 안되겠다
12. 탄핵인용기원)영통
'25.2.11 3:33 PM
(106.101.xxx.160)
결혼 20년이 넘었는데 토요일 일요일 아침만 빼고 점심 저녁은 외식인데
나부터도 외식 안하고도 먹을 대안들이 있어서 외식 수가 줄어들고 있어요
최고 게으름뱅이 여인이라고 생각하는 내가 외식을 줄인다니 ..자영업 장사 안되겠다
13. ..
'25.2.11 3:33 PM
(59.9.xxx.65)
인스타에서도 요리 영상 봤더니 알고리즘으로 쉽고 건강한 원팬요리가 계속 떠서 계속 보게 돼요.
14. 여기에
'25.2.11 3:34 PM
(221.149.xxx.36)
국민들이 건강에 관심이 많아지고 선진국형 사고를 하게 되니까 위생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거든요. 예전에는 식당가서 먹을때 위생 그리 안 따졌잖아요. 요새는 예민할만큼 따져요.
그러니 식당음식이 어쩔수없이 필요할때 아니고는 안 찾는거죠.
15. ㄱㄴ
'25.2.11 3:37 PM
(121.142.xxx.174)
저는 오랜 단골 맛집만 다니고 모험은 잘 안하는편이에요. 대부분 식당은 집밥만도 못하거든요.
16. ...
'25.2.11 3:37 PM
(211.234.xxx.22)
당장 마트만가도 세계 요리 밀키트, 반조리 식품
수백가지가 쌓여있고(외식의 반값) 그 퀄리티 또한 날로 진화되서 외식과 큰 차이가 없죠.
17. 맞아요
'25.2.11 3:37 PM
(125.133.xxx.132)
배달시켜먹는 식당들도 결국 밀키트 받아서 데워서 주는 곳이 많다보니
그 맛이 그 맛이고 가격대비 만족을 못하게 되더라고요.
18. 음
'25.2.11 3:39 PM
(211.235.xxx.62)
유튜브에 레시피가 잘 나와있어요
울 애들 파스타 귀신인데 이제 집에서 해먹는게
더 맛있다고 식당에서 안먹으려고 해요
유튜브보고 노하우좀
많이 얻었죠
19. Oo
'25.2.11 3:40 PM
(14.45.xxx.213)
다들 sns 보면서 맛집만 찾아다니니 식당도 양극화같아요.
예전같으면 동네서나 유명한 맛집이 이제는 전국맛집 되면서 되는곳은 더 잘 되고 아닌 곳은 아예 안가는...
20. ㅎㅎ
'25.2.11 3:40 PM
(123.111.xxx.211)
기발한 유튜브 요리하니 생각났는데
명절에 꼬치전 할 때 나무꼬치로 하지말고 스파게티 면으로 끼워서 해도 좋대요
21. 유튜브덕분
'25.2.11 3:45 PM
(1.237.xxx.119)
요리비법이 다 공개되고
된장 고추장 막장 담그는 것 까지 다 자세히 알려줍니다.
어렵지 않아요
재료나 믿을 수 있고 쉽게 요리하는 비법들이 많아요.
어쩔 수 없이 환경이나 요리에 취미가 없는 사람은 사먹으면 되지만
일단 저는 야채 다듬은 쓰레기 나오는게 싫어서
사먹었는데 가끔 유튜브 보면 만들고 싶어져요.
식당 이용은 많이 줄었습니다.
돈값을 못하는 식당은
다시 안가고 싶습니다.
22. ㅎㅎ님
'25.2.11 3:46 PM
(221.149.xxx.36)
저는 더 영리한 유튜버 봤어요. 아예 나무꼬치고 뭐고 필요없이
꼬치를 만드는 걸 알려주더라구요.
재료들을 자르지 않고 일자로 쭉 나열해서
계란물 위에 충분히 올리고 하던가?
그렇게 해서 앞뒤 노릇노릇하게 한다음 도마에 올려놓고 적당한 크기로 짜르더라구요
계란물전에 밀가루물을 살짝 있게 했던거 같기도 하고 아닌것 같기도하고
아무튼 이거 보니
이제껏 힘들게 왜 잘라서 꼬치를 또 왜 일일히 꽂았던가
어짜피 먹을때 다 빼고 먹는건데..
먹기전까지 재료들이 흩어지지만 않으면 되는건데
현타 왔어요
요새 유튜버들 요리가 다 이래요..
쉽게 쉽게 누가 더 쉽고 건강하게 가르쳐 주느냐로 승부 보더라구요
이러니 요리가 갈수록 쉬어지고 있어요
23. 고추장
'25.2.11 3:47 PM
(221.149.xxx.36)
담그는 유튜브 저도 봤어요. 너무 쉬워 보이긴 했는데 전 된장 고추장은 그냥 사먹을려구요.
24. ᆢ
'25.2.11 3:49 PM
(211.244.xxx.85)
인건비 너무 오른것도 한 몫하죠
25. ㅇㅇ
'25.2.11 3:51 PM
(211.234.xxx.156)
인건비 너무 오른것도 한 몫하죠. 2222
26. less
'25.2.11 4:02 PM
(49.165.xxx.38)
외식비가 비싸니.. 두번외식할거 한번함.
27. 맛이 별로임
'25.2.11 4:07 PM
(223.38.xxx.44)
최근 들어 가격 대비 맛이 별로임
단순 가격 문제가 아님
최저 임금이 올랐는데 음식값 오르는건 당연함
28. 인건비 상승
'25.2.11 4:08 PM
(223.38.xxx.29)
인건비 너무 오른것도 한 몫하죠33333
29. .....
'25.2.11 4:16 PM
(1.241.xxx.216)
맛이 뭐랄까 전반적으로 수준이 낮아졌어요
가게는 엄청 많은데 이런 맛으로 식당을 한다고?? 할 한 번 가고 말 정도의 가게가 많아요
그리고 너무 비싸졌고 위에 말씀처럼 인건비도 오르고요
예전에는 분식집인데도 덮밥 찌개 돌솥비빔밥 이런 것도 정말 맛있게 하는 집들 많았는데
삭 사라지고 별별 전문점들이 우후죽순 생겼는데 맛이 그 정도가 아닌데 너무 비싸요
상대적으로 밀키트 수준은 오르고 종류도 다양해져서 가끔 이용하지만 먹다보면 질려서
대충 집에서 만들어 먹고 해먹기 힘든 것만 외식하게 되더라고요
30. ᆢ
'25.2.11 4:17 PM
(121.167.xxx.120)
-
삭제된댓글
깔끔하고 친절하면 음식 맛이 별로라도
가게 돼요
집에서 밥하기 싫을때 기분 전환으로 가끔 가게돼요
31. ㅇㅇ
'25.2.11 4:18 PM
(106.102.xxx.230)
건물주들은 받는 월세가 곧 건물값을 결정 하니까요
차라리 공실로 비워둘 지언정, 월세는 비싸게 올리고요
비,김태희 건물이 1400~1500억 나간다는 기사가 개뻥인 이유가, 그만큼 월세를 못 받거든요
그리고 이상 기후, 농촌 생산인구 고령화로, 식자재값은 천정부지로 뛰었어요
요즘 무, 오이, 당근 하나 사려고 해도, 가격표 보고 화들짝 놀라잖아요
거기에 최저임금 상승까지 겹친거죠
인건비 갈아넣어 싸게 파는게 불가능해 졌어요
거기에 비해 햇반, 라면, 냉동식품, 반조리 식품 같은 간단식 너무 잘 나오고요
요리 레시피, 노하우도 검색하면 바로바로 나오지요
영세 식당들도 특화된 메뉴 없이는 버티기 어려운 시대 입니다
32. 배달주부
'25.2.11 4:18 PM
(112.133.xxx.101)
이젠 왠만하면 배달을 안해요.. 돈이 문제가 아니고 너무 달아서...
33. ..
'25.2.11 4:20 PM
(175.121.xxx.114)
조미료 넉넉히? 사용하니 외식이 별건가싶더라구요
34. 동의
'25.2.11 4:33 PM
(58.232.xxx.4)
건강 + 쉬운 요리
35. ...
'25.2.11 4:34 PM
(61.32.xxx.42)
맛이 너무 별로예요..
소득이 올라가면서 대중들 입맛도 고급으로 상향평준화됐구요
36. ㅇ
'25.2.11 4:44 PM
(211.234.xxx.136)
펀스토랑 보세요.잘사는 연예인들도 다 요리
37. 음식질 나빠짐ㅠ
'25.2.11 5:02 PM
(223.38.xxx.198)
맛이 뭐랄까 전반적으로 수준이 낮아졌어요22222
가격은 오르는데 도리어 음식질과 맛이 전반적으로 낮아졌어요
단순히 가격 문제가 아니라 외식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졌어요
38. 음
'25.2.11 5:11 PM
(222.111.xxx.187)
일본은 한국보다 인건비가 더 비싼데 음식의 질과 맛이 훨 좋아요.
가게마다 일하는 사람도 한국보다 많고요.
알 수가 없어요...
39. 와
'25.2.11 5:47 PM
(223.38.xxx.23)
적어주신 팁 너무 좋은데요.
이런 유튜브 어떻게 검색해야 하나요. 전 하루한끼 백종원만 보는데 이런 팁은 안알려주던데…
40. 딸기엄마
'25.2.11 6:33 PM
(180.182.xxx.230)
팁 좋네요
41. ᆢ
'25.2.11 6:41 PM
(123.111.xxx.231)
윗님 요리 컨텐츠 계속보면 알고리즘으로 관련 쇼츠 계속 떠요. 쇼츠보고 괜찮으면 구독 누르네요.
42. 격차
'25.2.11 9:48 PM
(221.153.xxx.127)
외식이 집밥을 뛰어넘을 특별한 맛이 잘 없어요.
그래도 색다른 맛은 찾아 가게 되는데 것두 귀찮아서...
원글 말한 비빔밥 영상 저도 본 것 같아요. 신박했어요.
핫한 음식들도 맛보다는 시각적 효과를 노리는 것들이
많아 젊은 사람들이 sns 용으로 많이 가는듯요.
43. 끄덕
'25.2.12 1:48 AM
(116.32.xxx.155)
다들 sns 보면서 맛집만 찾아다니니 식당도 양극화같아요.
예전같으면 동네서나 유명한 맛집이 이제는 전국맛집 되면서
되는곳은 더 잘 되고 아닌 곳은 아예 안가는...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