긁어와서 올리는 게 불가능해서 링크 겁니다.
높은 AI 노출도, 높은 AI 보완도 - 의사, 금융 전문가, 기업 임원, 대학교수 등의 대부분의 전문직이 포함되어있다. 이들의 경우 의사결정의 중대성 등으로 인해 AI가 보완적 역할에 머무르게 될 가능성이 높은 직종이라고 볼수 있다.
높은 AI 노출도, 낮은 AI 보완도 - 법률가 등의 일부 전문직과 회계/경리 관련 사무직 등의 직종이 포함되어있다. 이들의 경우 AI로 인한 대체 가능성이 높은, 흔히 말하는 AI로 인해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가장 큰 직종에 해당된다.
낮은 AI 노출도, 낮은 AI 보완도 - 농림어업 종사자, 청소부 등의 직종이 포함되어있다. 이들의 경우 육체노동의 비중이 높은 등의 이유로 AI의 도움을 받기 어려워 AI로 인한 대체 가능성이 낮은 직업이다.
낮은 AI 노출도, 높은 AI 보완도 - 미용사, 토목 관련 기술자 등의 직종이 포함되어있다. AI가 쉽게 하기 어려운 작업들을 포함하고 있어 AI로 인한 대체 가능성이 낮은 직업들이다.
분석 결과, 국내 근로자 중에서 AI 도입에 큰 영향을 받는 근로자의 비중은 전체의 51%에 달했다.
결론
AI 기술의 도입은 한국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중요한 기회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고령화로 인한 성장 둔화를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점에서도 고무적이다.
그러나 AI 도입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효과는 모든 기업에 보편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대기업과 업력이 높은 기업에서만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중소기업이나 신생기업이 AI 도입의 혜택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할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AI가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는것과는 별개로 절반 이상(51%)의 근로자가 AI로 인한 일자리 대체 위험성에 직면하고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요구되는 새로운 기술적 역량 등을 감안하면 한편으로는 AI 도입이 이들에게 오히려 기회로도 작용할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중략
교육 및 재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한편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의 강화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