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다니는 아들이 근무한지도 오래되었는데 아직도 2억도 못 모아서
결혼할때 도와달라고 해서요..
5년 근무했으면 보통 2억 정도는 오아야 하지 않나요?
2억 정도 모으는데 보통 대기업 직장인들 몇년 걸리나요?
대기업다니는 아들이 근무한지도 오래되었는데 아직도 2억도 못 모아서
결혼할때 도와달라고 해서요..
5년 근무했으면 보통 2억 정도는 오아야 하지 않나요?
2억 정도 모으는데 보통 대기업 직장인들 몇년 걸리나요?
너무 쉽게 생각 하시나요?
한달에 400을 저금해야 하잖아요?
대기업 초임이 올해들어 5000돌파라는데
그럼 한푼도 안쓰고 모아야 하는돈 아닌가요?
5년 근무해서 1.5%씩 급여가 인상됐다 해도
못모을 액수 아닌가요?
정확히 한달에 340정도 저금해야 하는 돈이죠.
연봉에 따라 다르지 않나요?
도운건 당연하게 생각해요. 도울 생각있음 나중에 좀 살다 보태던가
아님 보태지 마세요. 아들 결혼에 보태고 하는건 쓸데없는짓 같아요
우리아버지 땅까지 팔아 보태도 고마운줄 모르더라고요
3년동안 300씩 저금(3년후에 1억8백) 한다고 저희딸 그러더니
4년차에 겨우 1억2천쯤 모은 듯 하네요
여행도 가야하고 옷도 사야하고 생각보다 쉽지 않아요
참 저희집은 돈 모으라고 옷도 가끔 사주고 용돈도 가끔 줬어요
저희애는 연봉은 꽤 돼는거 같아요. 보너스도 많고
자세히 물어보지는 못했지만
2억 있으면 결혼하나요?
참고로 저희애는 집에서 다녀서 생활비는 따로 안들었어요.
(제가 돈 많이 모으라고 생활비 안받았어요)
한달에 100만원씩 20년을 저축해야 하는 큰 돈이죠
2억을 너무 싑게 보시는듯.
8년전 입사해서 4년동안 1억 모아 훌륭하다 했었어요.
1억은 모았대요?
전 2003년부터 3년동안 1억 모았어요.(삼성)
초봉이 그때 실수령으로 280인가 290..?
상여금 3000만원정도 나오구요
서울에서 자취했어요(집전세금은 부모님이)
집에서 다니면 식비 공과금 다 안들고 본인 용돈만 드는건데
한 달에 350 저금하고도 남죠. 상여만 저축해도 몇천이구요
쉽게 볼 금액은 아니지만 충분히 가능한 금액입니다
1억은 넘게 모은거 같아요.
처음 취직 하고 나서 제가 생활비 안받은게 결혼하기전에 2억은 모으고 가라고 그런거였어요.
(여자쪽도 어느 정도 모으면 결혼하기 쉽겠다 싶어서)
오래사귄 여친 있어서 결혼한다네요.
미국주식에 투자해서 3년안에 1억 벌었다는데 자기가 적금했으면 3년에 6천모았을거라고 하더라구요. 돈생길때마다 세계 1.2등 주식을 사면 좀 쉽게 모으지 않을까요
그럼 5년 일하고 1억 조금 넘게 모은건 정상인가 보네요.
계열마다 급여차이가 많죠.
정확한 급여 모른채 2억은 조금 막역
연애도 하면 돈들텐데..2억을 5년안에 어찌모으나요.
생활비를 받으시고, 그걸로 적금 들어 주셨어야 했네요.
연봉이.얼만지를 모르는데 어케 남들이 아나요 대기업도 천차만별이예요
1억 넘게 모은것도 대단하구먼
2억을 너무 쉽게 생각하시는 듯
평생 모아야 되는 사람도 있어요.
본가에서 다녔으면 몰라도 혼자 자취했으면 5년에 1억 못 모으는 사람 허다할 걸요.
1억 모았음 잘 모은거에요. 욕심이 많으시네요. 아들이 자린고비처럼 사회생활하기 바라시나요
저축만 하는게 아니라 주식도 하고 간혹 코인도 하기 때문에
늘기는 커녕 손해 보기도 해요
1억까지는 열심히 모으는데 그후에는 여기저기 투자하더군요
대박 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마이너스던데요
부모가 도움을 주면 가능할 거 같네요. 대기업도 몇회사 빼고는 연봉이나 성과급이 크지 않아요. 세금 제외하면 실수령액은 더 작죠.
여유가 있으면 부모가 용돈주고 본인 월급은 다 저축하게 하기도해요.
1억 모은것도 대단한거에요.
1년에 2천씩 모은건데 요즘 정말 드물어요
돈은 모아야 재산이예요
대기업 5년에 집에서 다녔다면
많이 썼네요
저라면 결혼자금 지금 도와주기 어렵다고 미안하다 할래요
돈 잘 갖고 있다가 정말 필요한 40대에 증여로 줄래요
3년에 1억, 자동차 2600
모았네요.
집은 원룸 전세 구해줘서 월세는 안나갔어요.
간호사인대 작년에 2억 넘게 모랐대요 31살
부모하고 살아요
부모 차 바꾸는대 3천보태준다고
제딸도 간호사 만2년 3개월 일했는데
8500모았어요.
대학때 알바.어렸을적 용돈합해서요..
집에서 출퇴근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