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 지인은 장례식장 안했어요

.... 조회수 : 25,309
작성일 : 2025-02-02 20:34:53

그 아드님은 현직에 있고 

이름 석자 알만한 분인데

친인척도 안부르고 돌아가신 분의 직계 자녀들끼리만 조용히 모셨다고 해요.

손주들도 안부름. 어른끼리 치뤘대요.

 

IP : 223.38.xxx.26
9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장례
    '25.2.2 8:37 PM (27.35.xxx.123)

    저도 딱 그러고 싶어요
    부조받고 장례비내고 그런거 딘 안 하고 싶어요

  • 2. ...
    '25.2.2 8:38 PM (61.73.xxx.64)

    저희 부모님도 그렇게 하길 원하셔서
    그럴려고 합니다.

  • 3. ...
    '25.2.2 8:39 PM (114.204.xxx.203)

    꽤 있어요
    집안사벙때문일 수도 있고
    조용하걸 선호하기도 하고요

  • 4. ....
    '25.2.2 8:39 PM (223.38.xxx.26)

    저는 양가부모님들 다 돌아가셨어요.
    제 장레식도 아무도 부르지 말고 조용히 하라고 배우자와 자녀들에게 말해놨어요.
    자필로 써서 문서로 만들어서 전달할까 봐요.

  • 5. 저도
    '25.2.2 8:40 PM (59.10.xxx.58)

    제 장례식 하지 말라고 유언 남겼어요

  • 6.
    '25.2.2 8:41 PM (175.119.xxx.162)

    장례식장을 안했다는게...
    장례식장에 조문객을 안받았다는걸까요?

  • 7. ...
    '25.2.2 8:41 PM (219.254.xxx.170)

    저도 그러고 싶어요.
    제 시가 사람들 가족 장례식장에서 서로 본인 손님 많이 왔다고, 이렇개 북적이는거 본인 덕이라고 서로 내세우는 꼴 너무 꼴불견이었어요.
    진짜 가족 죽음으로 장사하나 싶고, 저 손님 중 진심으로 애도 해주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싶고.
    정작 그 가족인 본인들도 장례 의미도 잃고 오랫만에 보는 손님들과 히히덕 대느라 바쁘고..
    아.. 너무 싫어요.

  • 8. 저희도
    '25.2.2 8:41 PM (112.162.xxx.38)

    가족장 했어요 형제끼리 했는데 남편이 너무 좋았다 하더라고요
    정말 고인을 잘 보내 드린것 같다고

  • 9. 구체적으로
    '25.2.2 8:44 PM (220.78.xxx.213)

    좀 말씀해주세요
    스몰장례 가족장 말은 아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는건가요?
    빈소는 차리는거죠?

  • 10. ..
    '25.2.2 8:44 PM (211.44.xxx.118)

    크게 자수성가한 친척
    아버지장례에 본인 지인한테는 안알리고
    가까운 친척에게만 연락.
    조의금 사절. 본받고 싶으나 한푼이 아쉬운 서민이라..

  • 11. 그러게요
    '25.2.2 8:45 PM (118.218.xxx.119)

    저도 그러고 싶어요
    그래서 친정부모님때 친구 한명한테도 연락안했어요
    여기 사이트는 장례식은 아무리 멀어도 안 가면 안된다는 글 많던데
    제 주위 지인들은 실제 가까운 친척들 장례식장 안 가는 경우도 제법 있더라구요

  • 12. ....
    '25.2.2 8:49 PM (223.39.xxx.105)

    저히도 나중에 가족장으로 조용히 하루만에 끝내지싶어요

  • 13. 아는 사람도
    '25.2.2 8:49 PM (112.186.xxx.86)

    엄마 장례식 안하고 가족끼리 조용히 화장하고 모셨더라구요.

  • 14.
    '25.2.2 8:51 PM (211.198.xxx.46) - 삭제된댓글

    코로나때 울 언니도 장례식할때 조의금 안받았어요
    갚을길 없다고 ᆢ
    형제들만 백씩 따로 모아주고 ᆢ

  • 15. ..
    '25.2.2 8:53 PM (119.70.xxx.197)

    저도 절대로 지인들에게 연락 안할 겁니다. 솔직히 남의 애경사에 관심도 없고 저도 안불러 주었음 좋겠다고 늘 생각 하거든요 다른 형제는 부르던지 말던지 저는 그리 할겁니다

  • 16. ㅇㅇ
    '25.2.2 8:54 PM (223.38.xxx.100)

    자매뿐이고 친가쪽 어른들은 다 돌아가셔서
    빈소 안차리고 그냥 화장할 생각입니다
    70, 70중반인데 두분다 건강하셔서 아직 먼얘기지만
    먹고살기 힘든시대에 조문객이나 상주나 너무 힘들고
    피곤한일이라 생각해요

  • 17. ...........
    '25.2.2 8:56 PM (110.9.xxx.86)

    저도 그렇게 하고 싶어요. 날 잡아 가족들 과 한번, 가까운 사람들과 한번 모여 맛있는 식사 하고 이야기 하는 자리 만들고 장례식은 안하고 싶어요.

  • 18. ....
    '25.2.2 8:57 PM (223.38.xxx.26) - 삭제된댓글

    제가 지인들, 지인들 애경사에 적극적으로 가는 편이었는데
    작년 하반기부터 안가요.
    제가 안 부를 거라서요. 품앗이 안함.

  • 19. ....
    '25.2.2 8:57 PM (223.38.xxx.26)

    제가 지인들, 친구들 애경사에 적극적으로 가는 편이었는데
    작년 하반기부터 안가요.
    제가 안 부를 거라서요. 품앗이 안함.

  • 20. ..
    '25.2.2 9:02 PM (49.165.xxx.191)

    친구가 시어머니, 친정아버지 장례식을 가족장으로 했다고 하더라구요. 최근일이고 자식들 다 잘돼서 문상객이 많았을텐데도 그렇게 해서 본받을만 하다고 생각했어요.

  • 21. ...
    '25.2.2 9:05 PM (1.241.xxx.78)

    제 바람도 같아요
    장례식장 안들리고 다음날 바로 화장장
    납골당도 반대
    흔적도 없이 바람처럼 사라지고 싶어요

  • 22. 그런경우
    '25.2.2 9:06 PM (116.120.xxx.216)

    장례는 3일장 하는데 알리지만 않는거죠? 아예 장례식 자체를 생략한건 아니구요...

  • 23. ...
    '25.2.2 9:09 PM (58.234.xxx.21)

    장례식 자체를 생략했다는 말 같은데요
    그것도 좋은거 같아요
    장례식 자체는 사실 돌아가신 분을 위한 절차는 아니잖아요
    남은 사람들을 위한 거죠

  • 24. 무빈소
    '25.2.2 9:15 PM (122.34.xxx.61)

    무빈소 장례라고 빈소 안차리고 바로 또는 3일 후 화장터 모시거나 하는 방식이 있어요.
    아니면 빈소차리고 가족, 친척에게만 연락하고 하루 또는 3일만에 철수하고 화정터 모시거나요.
    아직은 정해진 게 없어서 각자 형편대로 하는거 같아요.

  • 25.
    '25.2.2 9:19 PM (116.37.xxx.236)

    장례식장에 빈소가 없어서 하루 안치실 이용하고 빈소 차려 가족장으로 했는데요. 장례식 빈소 없이 시신은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해요. 저희는 빈소 없어서 10시간정도 안치실 이용, 빈소 마련하고 조문거절 했어요. 문제는 화장장에 자리가 안나서 결국 4일장을 치렀거든요.
    병원에서 장례식을 안치러도 안치실을 빌려주는지? 염습은 어떻게 하셨는지 절차가 궁금해요.

  • 26. 햇쌀드리
    '25.2.2 9:24 PM (122.34.xxx.45)

    누가 절차좀 알려주세요.
    이번에 시아버님 돌아가시면서
    제가 이렇게 하고 싶다니까
    다들 못한다했어요.
    만약 병원에서 돌아가시면 장례식장으로 모시잖아요?
    장례식장에서 입관만하고
    곧장 화장장으로 갈수 있다는거에요?

  • 27. ..
    '25.2.2 9:29 PM (117.111.xxx.153)

    화장장 잡고 병원 영안실에 시신 안치하고 유족들은 집에 가고요.
    입관 일시 병원에서 정해주면 모여서 입관절차 진행하고 다시 집에 갑니다.
    그리고 발인날 모여서 절차대로 진행합니다.
    저도 관심있어서 전에 찾아본 거예요.

  • 28.
    '25.2.2 9:35 PM (116.37.xxx.236)

    그럼 안치실이 있는 병원에서 돌아가시지 않아도 안치실이 비어있는 이무 병원이나 이용 가능하겠군요. 빈소 때문에 장례식장 여러곳을 컨텍해야 하는데 어차피 식을 안하면 간소화되겠네요.

  • 29. ,,
    '25.2.2 10:01 PM (182.231.xxx.174)

    장례 도우미분을 통해서
    일일장이 있다는걸 첨 들었어요

  • 30. 장례
    '25.2.2 10:19 PM (180.71.xxx.37)

    문화도 바뀌어야해요
    자매들때문에 장례식 치뤘지만
    제 지인은 하나도 안 불렀어요

  • 31. 작년에
    '25.2.2 10:35 PM (118.218.xxx.119)

    친정부모님 두분 다 돌아가셨는데요
    무빈소 하고 싶은데 부모님 동생들이 많아서 말도 못꺼내고 가족장했어요
    옆빈소 보니 아들 2명만 빈소 지키고 빈소 간단히 차렸더라구요
    아주 조용했어요
    아무 안 올거니 도우미도 필요 없고 조용히 상주 2명만 지키던데
    무빈소 안하더라도 빈소 간단히 차리는것도 괜찮겠다싶었어요

  • 32. 저도
    '25.2.2 11:04 PM (223.39.xxx.223)

    장례식 간소하게 하라고 할거예요.
    조문도 받을 필요없고 간소하게 바로 화장하라고 하려구요,
    이제는 유골 뿌리는것도 허용한다는거같던데..저 어려서 뛰놀던 산자락에 뿌리라고 할겁니다.

  • 33. 행복한새댁
    '25.2.2 11:11 PM (125.135.xxx.177)

    안치실에서 바로 화장장 가는 경우 봤어요. 친척이 가족이 없어서 굳이 제가 갔어요ㅜ

  • 34. 행복한새댁
    '25.2.2 11:11 PM (125.135.xxx.177)

    화장장에 단체로 뿌리는 항아리 같은게 있었는데 거기에 뿌리라해서 뿌렸어요..

  • 35. ㅇㅇㅇ
    '25.2.2 11:37 PM (1.228.xxx.91)

    구글에 들어가셔서 1일 장례 로
    검색하시면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 36. ....
    '25.2.3 12:01 AM (72.38.xxx.250)

    저 아는 분이 그렇게 했어요
    자신과 친하지도 않은 사람이 와서 있는 게 싫다고
    자신이 좋아했던 사람들만 왔으면 좋겠다고 명단 까지
    남기시고 돌아가셔서 그 사람들만 초대했어요
    그런데 한 명 고인이 원하지 않았던 마당발이 왔는데
    역시나 분위기 다 망치더라구요
    아! 이래서 부르지 말라고 했구나 했었네요
    저도 그러려구요
    서로 고인과의 추억을 얘기하고 좋더라구요

  • 37. 3년전
    '25.2.3 12:04 AM (223.39.xxx.72)

    친정아버지를 무빈소장례로 보내드렸어요.
    과정은 저 위 점두개님 말씀대로 진행되어요.

  • 38. ..
    '25.2.3 12:05 AM (118.44.xxx.51)

    저는 20년전에 친정아버지 돌아가시고 15년전에 어머니 돌아가셨는데..아무에게도 안 알렸어요.
    장례식은 했어요.
    친척분들, 부모님 지인등 부모님을 기억하고 얘기하며 장례치뤘어요. 나중에 왜 안 알렸냐고들 했지만, 제 부모님을 아는 것도 아닌데.. 굳이 부르고 싶지않았어요.
    저는 부르지않았는데.. 시부모님 돌아가신것까지 찾아가려니.. 가끔 돈이 부족하지도 않을텐데.. 왜 부르나? 하는 생각은 들어요. 여기서 장례식때 오지도않고 부조도 안한 지인, 친구들한테 너무 서운하다고들 쓰셔서 가고는 있어요.
    10만원, 20만원 부조하면서.. 슬프지도 않은 제가 무슨 위로가 될까.. 하는 생각이 있지요..
    허례허식이 없어지고 아는사람들끼리 하는 결혼식, 장례식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 39. ....
    '25.2.3 12:19 AM (211.202.xxx.41)

    일일 장례. 무빈소 장례식

  • 40. 감사
    '25.2.3 12:44 AM (125.132.xxx.86)

    무빈소 장례 참고합니다

  • 41. 돈때문에
    '25.2.3 12:54 AM (125.185.xxx.27)

    장례식 하는거죠.
    뿌린거 거두느라고.......
    가족장 아무리 간편하게 해도 다 돈이잖아요
    부르면 더 치르고도 돈남아서 나누는데 ㅎ

    돈많은 집은 안해도 부담없겠지만,,,뿌린거는 있는데 그거라도 거두려고 장인장보 시부시모 다 알리잖아요.. 자기부모만 부르는것도 줄이는것같아요.

    저도 간소화하면 좋죠....전 부를 사람이 없거등요.
    형제들 보기 민망할것같아요.
    근데 슬픈데.....전화돌려서 우리 부모 돌아가셨다고 하는것도 좀 웃기는것같아요
    정신이 멍하고 그렇지 않나요? 그 정신에 알릴데 다 알리는거 좀 그래요 ㅠ

  • 42. ..
    '25.2.3 12:55 AM (223.38.xxx.241)

    저도 맨날 장례식끝나면 누가 안왔니 누구손님이 많네 과시하고 원망하고 이런경우들 보니까 가족장이 좋을거 같아요. 자녀 결혼식도 스몰웨딩하고 장례식도 가족끼리 조용히 하고 싶네요. 이제 핵가족화돼서 친척들도 잘 안만나는데…

  • 43. ..
    '25.2.3 12:59 AM (172.59.xxx.98)

    무빈소장례 정보 감사합니다

  • 44. 아줌마
    '25.2.3 1:00 AM (175.124.xxx.136)

    무빈소장례 참고합니다

  • 45. 배워갑니다
    '25.2.3 1:46 AM (58.29.xxx.155)

    이전부터 궁금했었네요…

  • 46. 흔적없이
    '25.2.3 2:11 AM (116.32.xxx.155)

    장례식장 안들리고 다음날 바로 화장장
    납골당도 반대
    흔적도 없이 바람처럼 사라지고 싶어요22

  • 47. . .
    '25.2.3 2:26 AM (112.146.xxx.28)

    무빈소장례 참고합니다

  • 48. 바삐
    '25.2.3 2:56 AM (218.235.xxx.72)

    무빈소 장례
    1일장 감사합니다.

  • 49. ㅇㅇ
    '25.2.3 3:26 AM (58.140.xxx.51)

    무빈소 장례
    1일장
    감사합니다

  • 50. 휴..
    '25.2.3 3:37 AM (221.138.xxx.71)

    간소화 좋죠..

    그리고 제발 결혼도 가족끼리만 했으면 좋겠습니다.
    아니면 돈을 받질 말던가..
    자기들 좋으려고 호텔에서 결혼식 하면서 밥값이 10만원이니 돈도 인당 10만원씩 달라고 하는데 무슨 거지들인줄 알았어요. 대놓고 저렇게 말하다니 놀랍더라구요.
    나도 주말에는 좀 쉬고 싶은데 굳이 가주는 거 구만.. 친하지도 않은 사이에 돈 얘기 들으니 더 가기 싫어지더군요.
    제발 경조사는 가족들끼리 조용히 했으면 좋겠어요.

  • 51. ㅇㅇ
    '25.2.3 4:00 AM (58.224.xxx.203)

    무빈소 장례
    1일장

    저도 저장해봅니다.

  • 52. 제가
    '25.2.3 8:03 AM (211.234.xxx.172)

    부모님 장례식에 가까운 지인만 부르고
    제가 조의금 액수 맞춰서 돈 냈어요
    형제들간 균형을 맞춰야하니까요
    제 장례식도 안할거구요

  • 53. llll
    '25.2.3 8:05 AM (116.121.xxx.25)

    장례식장 거품이 너무 심해요

  • 54. ......
    '25.2.3 8:55 AM (1.241.xxx.216)

    코로나때 지인이 가족장으로 간소하게 지내더라고요
    그때는 코로나라서 그렇구나 하면서도 코로나 아니여도 저렇게 간소화 되었으면 했거든요
    가족들이 합의가 되어야 하는 부분이라 어려운데 저렇게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 55.
    '25.2.3 9:07 AM (106.101.xxx.80) - 삭제된댓글

    진짜 슬픈 가족들도 정신없고
    장례식장만 돈벌어주는 시스템인듯요
    수천금방이에요

  • 56.
    '25.2.3 9:09 AM (106.101.xxx.80)

    진짜 슬픈 가족들도 정신없고
    장례식장만 돈벌어주는 시스템인듯요
    수천 금방이에요
    유족들끼리 부조금때문에 다툼나기 부지기수구요
    요새 100세 시대라 다들 장수하는데 자식들도 늙었고 뭔 3일내내 손님이 온다고 대체 뭐하는 짓인지...

  • 57. ..
    '25.2.3 9:17 AM (211.44.xxx.155)

    저도 제 부모님 그렇게 하고 싶어요
    제 지인 당연히 연락안할 거구요
    동생가족 제가족만 지내고 싶은데
    시댁이 걸리네요 시댁식구들은 알려야하는지 ㅜ

  • 58. 장례
    '25.2.3 9:25 AM (115.138.xxx.249)

    저도 관심있는 내용이라 저장합니다

  • 59. 저도
    '25.2.3 9:25 AM (211.222.xxx.192)

    죽으면 그냥 바로 화장해달라고 유언장 남길거예요

    번잡하게 무슨 사람 부르고 장 치르고 절레절레

  • 60. oo
    '25.2.3 9:29 AM (125.189.xxx.56)

    무빈소장례, 저장합니다.

  • 61. 70대
    '25.2.3 9:41 AM (175.118.xxx.150)

    이미 가족들에게 말 해 두었습니다(남겨야 하겠기에 가족톡방에)
    무빈소 1일장 아니면 화장장 잡히는대로 해달라고요
    아들은 미국에 있어 급하게 올 필요없다 말했습니다
    대신 딸이 모두 맡아 처리해 달하라고...
    어차피 외로운인생 조용히 가고싶다고요

  • 62. 요즘
    '25.2.3 9:56 AM (183.97.xxx.120)

    독감 유행으로 화장장 예약이 어렵다는데
    무빈소 예약도 있군요

  • 63. ....
    '25.2.3 9:58 AM (1.241.xxx.216)

    저 위에 분
    가족장이면 정말 원가족만 지내면 되지요 시댁에는 치르고 알려도 된다고 생각해요

  • 64. ............
    '25.2.3 10:00 AM (121.141.xxx.193)

    무빈소장례 좋네요...화장후 산골하고요

  • 65. ---
    '25.2.3 10:29 AM (221.166.xxx.242)

    저도 5년전에 아버지 보내드리면서 가족장하고 싶었어요
    마음에 준비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닥치니 정신없고 후회되는 일들만 머리에 떠오르고 슬픔에 겨워있는데 모르는 사람들까지 와서 인사하고 절하고 . . .
    진짜 우리가족이랑 어버지형제들만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 너무 많이 했어요
    울고모들이 형제애가 강해서 자식들보다 더 슬퍼하셔서... 당연히 불러야되고...
    엄마 돌아가시면 가족장 주장하고 싶네요

  • 66. 저도
    '25.2.3 10:29 AM (168.126.xxx.150)

    장례식장 안들리고 바로 화장
    납골당도 반대
    흔적도 없이 바람처럼 사라지고 싶어요3333333333

  • 67. 알럽채연
    '25.2.3 10:59 AM (167.103.xxx.87)

    무빈소 장례식 정보 감사드려요.
    저 또한 흔적도 없이 바람처럼 사라지고 싶어요444444444

  • 68.
    '25.2.3 11:02 AM (211.234.xxx.74)

    무빈소 장례
    1일장

  • 69. 00
    '25.2.3 11:30 AM (119.207.xxx.182)

    저희 부모님도 가족장으로 조문 없이 진행했습니다
    잘했다고 생각해요
    부모님 유언이셨어요

  • 70. co4485
    '25.2.3 11:41 AM (58.123.xxx.172) - 삭제된댓글

    장례식장 안들리고 바로 화장
    납골당도 반대
    흔적도 없이 바람처럼 사라지고 싶어요44444

  • 71. co4485
    '25.2.3 11:42 AM (58.123.xxx.172)

    장례식장 안들리고 바로 화장
    납골당도 반대
    흔적도 없이 바람처럼 사라지고 싶어요55555555

  • 72. ....
    '25.2.3 12:06 PM (39.118.xxx.231)

    가족장이 바람직하지요. 허례허식이 빠르게 없어지길 바랍니다.

  • 73. 무빈소장례
    '25.2.3 12:59 PM (183.102.xxx.66)

    참고할게요..

  • 74.
    '25.2.3 1:26 PM (124.54.xxx.200)

    전 안 부르는 게 맞다생각하고 시부모님에 상에 아무도 안 불렀는데
    지인들이 우연히 알아서 빈소에 방문해주니 너무 고맙고 좋았어요
    전 안 부를 생각이였지만 열심히 조문은 갔었는데
    그 일 이후로 생각이 살짝 바뀌었어요

  • 75. 그런데요
    '25.2.3 1:34 PM (118.218.xxx.119)

    바로 화장은 안될수 있습니다
    친척어르신중에 아들 3명 있는데
    보통하는 3일장 안하고 2일장해서 돌아가신날 다음날 화장하고
    직계가족한테만 연락했구요(빈소는 했구요)
    그 배우자분 돌아가셨을때는 아예 연락안하고 발인하고 연락왔거든요
    아마 무빈소였던것같구요
    그런데 작년에 저희 부모님 장례식때 보니 2일장 하고 싶어도 화장장 자리가 없어
    3일장했어요
    옛날에 3일장 하게 된 이유가 의학이 덜 발달되어 가끔 깨어나는 경우가 있어 그런데 요즘은 굳이 3일장 안해도 된다는 소리 듣긴 들었어요

  • 76. ..
    '25.2.3 3:24 PM (61.254.xxx.115)

    저도 솔직히 가기도 싫은데 연락오면 부의금 안부칠수도 없고.억지춘향격이라 아버지 돌아가셨을때 절친 몇명에게만 알리고 동창들은 안알리고 안불렀어요 빚진 마음 갖기도 싫어요

  • 77. ....
    '25.2.3 3:30 PM (121.137.xxx.55)

    이런 정보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78. 진짜
    '25.2.3 3:35 PM (112.152.xxx.66)

    저도 그렇게 하고싶어요
    세월이 지나면 그렇게되길 바래봅니다

  • 79. junsu
    '25.2.3 3:41 PM (121.169.xxx.5)

    저도 연명치료 안하고, 쓸만한 이식 가능한 장기 있으면 기증 하고 떠나고싶습니다.
    아울러 1일장 유언할 예정입니다. 무빈소, 화장 원합니다.

  • 80. ..
    '25.2.3 3:44 PM (61.254.xxx.115)

    저도 우리애들한테.무빈소에.화장해서 어디 뿌리라고 할라구요

  • 81. 나무
    '25.2.3 3:49 PM (61.98.xxx.61)

    무빈소장례 저장해요

  • 82. 원글님
    '25.2.3 4:03 PM (210.182.xxx.216)

    제목을 수정하셔야할듯 합니다

    장례식장을 안한게 아니라
    장례식을 안한거겠죠

    저희엄마도 다 빚이니
    너네가 힘들다고 친인척도 부르지말고
    화장시키라고 하셨는데

    엄마가 꽃을 너무 좋아해서 꽃꽂이도 오래하셨는데
    가시는길에 꽃없이 화장만하는게 맞나싶기도 합니다 ㅠ

  • 83. ,
    '25.2.3 4:09 PM (124.54.xxx.115)

    원글도 좋고
    좋은댓글도 많고..
    이글 보관하고 싶습니다^^

  • 84. **
    '25.2.3 4:15 PM (1.235.xxx.247)

    무빈소 장례식 저장합니다

  • 85. 무빈소 장례
    '25.2.3 4:21 PM (110.9.xxx.41)

    1일 장례
    참고하겠습니다

  • 86. 。。。
    '25.2.3 4:52 PM (180.68.xxx.204)

    이런 생각들 가지신 분들이 많아서 너무 좋네요
    나혼자 바뀐다고 장례문화가 쉽게 바뀌지 않을거 같았는데
    친구들중에 의절한 시부모 장례까지 부른 친구는 진짜 뒤에서 욕들 많이 했어요
    돈독 오른거 같아서
    잔치든 장례든 자기돈으로 치루는 거지 남의 돈으로 치루고 갚고 하는지
    좋은날이니 내가 쏜다도 아니고 밥값이상 들고 오라니
    돈돈돈 하는 문화 너무 싫고 그런 행사때문에 교회도 나가고 친하지도 않은 동창 유지하는거
    진짜 짜증납니다
    노후에 쓸돈도 없는데 경조사비 너무 부담되기도 하고요

  • 87. 원글
    '25.2.3 5:00 PM (223.38.xxx.194)

    원글님
    '25.2.3 4:03 PM (210.182.xxx.216)
    제목을 수정하셔야할듯 합니다

    장례식장을 안한게 아니라
    장례식을 안한거겠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장례식은 했는지 안했는지 모릅니다.
    가족들끼리 조촐하게 했을 수도 있으니까요.
    조문객 부르는 장례식장을 안했다는 말입니다.

  • 88. 최근
    '25.2.3 5:07 PM (61.79.xxx.119)

    부모님 시부모님 보내드린 입장에서 저는 작게라도 하고 싶네요. 어찌되었던 한사람의 소중한 인생..그동안 알았던 지인들에게 이렇게 돌아가셨다고 알려드리는것도 예의라고생각합니다. 가족끼리 조촐하게 치루되 그래도 알려야 할 사람들은 꼭 알려드려야 한다고 느꼈거든요.. 한번 살다 가는인생.. 민초같은 인생이지만 그정도의 가치는 있지 않나 싶어요

  • 89. ooooo
    '25.2.3 5:14 PM (210.94.xxx.89)

    여기 이런 말에 동조가 많은 이유는

    본인들이 그간 경조사를 챙기지 않아서에요.

    남자들은 장인장모상도
    지역 넘나들면서 찾아다녀요.
    품앗이 개념이구요.

    여긴 시부모는 남 취급에
    친정 부모상도 같은 지역 아니면 안가도 되네 어쩌네하죠.

    사회생활 조직생활 하는 사람들은 다릅니다.

  • 90. 1일장
    '25.2.3 6:46 PM (117.55.xxx.66)

    1일장, 무빈소장례 평소 생각한것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2803 여론조사 공정 질문지 클라쓰.. 7 00000 2025/02/02 744
1682802 아이고 권성동, 무죄 선고한 판사가요.  5 .. 2025/02/02 3,714
1682801 괜히 여행가자고 했나봐요. 12 심신수양 2025/02/02 5,754
1682800 아들이 주는 돈을 졸다가 무릎꿇고 받았어요 ㅋㅋ 29 ㅋㅋㅋ 2025/02/02 11,190
1682799 발이 너무 시렵다는데 좋은 방법있을까요 26 요양병원 2025/02/02 3,743
1682798 양배추로 kfc 코울슬로 만들어먹어요 14 양배추 2025/02/02 4,359
1682797 요즘, 대답할 때 말이 길어지는데 고치고 싶어요 5 에구 2025/02/02 1,599
1682796 좋은시 추천좀 부탁드려요 3 ㄱㄷㅅ 2025/02/02 539
1682795 모순이란 책 참 좋네요 15 여운 2025/02/02 4,176
1682794 각자의 생활을 존중해주는 부부란 15 ? 2025/02/02 4,215
1682793 아들만 있는 시모가 딸만 있는 며느리에게 니네가 10 재미 2025/02/02 5,157
1682792 헤어스타일 8 2025/02/02 2,225
1682791 명의 보고 있는데요 7 .... 2025/02/02 2,964
1682790 미국 이민정착시 한국 부모부양은 누가하나요? 21 ... 2025/02/02 5,192
1682789 남편이랑 베프면 17 2025/02/02 4,198
1682788 자식이 너무 이뻤는데... 16 ........ 2025/02/02 7,651
1682787 당근 이용자가 많이 줄었네요.. 7 당근 2025/02/02 5,511
1682786 증여 문의드려요 10 .. 2025/02/02 1,731
1682785 이영자 열애?기사보니..황동주 25 지금 2025/02/02 21,235
1682784 아이 비염 항생제 먹어야 끝날까요? 9 2025/02/02 1,056
1682783 천원짜리 콜라 사봤는데 먹을만해요 6 ..... 2025/02/02 1,458
1682782 넷플릭스 잘 되나요? 1 ㅇㅇ 2025/02/02 1,248
1682781 카페음료 자주 사드세요? 7 음료 2025/02/02 1,889
1682780 김신혜 사건 궁금한데요 4 질문 2025/02/02 2,959
1682779 윤여정님 결혼피로연 선댄스 영화제 15 b 2025/02/02 5,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