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님 장례 기간 일처리 며칠 잡으면 될까요?

장례 조회수 : 3,078
작성일 : 2025-02-02 02:21:42

 

친정 아버지가 곧 임종 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하는데 

우리부부는 해외에 살고있어서 연락을 받으면 장례 참석하러 한국에 갈겁니다. 제가 고민하는 부분은 

장례비용이나 부주 등등 돈을 얼마를 준비를 해야 하는지 

이유는 다른 형제자매들은 한국에 살아서 친구 직장 에서 조의금이 들어오는데 우리부부는 해외에 오래 살아서 한국에 아무도 지인도 없고 조의금 들어올곳도 없어요. 

그러니 다른 형제자매는 안내도 저는 봉투를 따로 엄마 드려야 하지 않나 싶구요. 

그리고 남편은 일주일 열흘 정도 한국에 머물면서 장모님 제 친정엄마 위로도 해드리고 형제자매 일도 돕는다고 오래 있자고 하는데 저는 장례식 발인만 보고 바로 오는게 더 좋을것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그 이유는 

남편이 외국사람이라 한국에 가면 누가 옆에서 통역해줘야지 음식 매운거 못먹지 바닥에 못앉지 일일히 다 챙겨줘야 하고 손많이 가고 일을 돕기는 커녕 내가족들이 남편 배려하고 챙겨줘야 해서 짐덩이 같이 느낄것같아요 

남편 마음은 고마운데 차 운전해서 짐 날라주고 엄마 챙겨드리고 집정리 일도 하겠다는데 도움이 안될것같고 

그냥 장례식만 보고 빨리 없어지는게 나을것같아요 

그런 생각하는 이유는 예전에 한국에 남편하고 방문한다고 병환중이신 장인어른 뵙고 인사드린다고 남편이 간다했더니 엄마가 안그래도 힘든데 사위 오지말라고 짜증내셨어요 그래서 장례식 당일 참석하고 이삼일 있다가 바로 오려고 그후 가족들 숨좀 돌리고 나면 다시 가던가 

하려 하는데 제생각이 어떤가요 

장례 발인 그리고 2주정도 친정에 머무는게 낫나요 

빨리 없어지는게 가족들을 돕는건가요 

IP : 174.204.xxx.159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래도
    '25.2.2 2:25 AM (49.161.xxx.218)

    삼오재까진 원글님은 계셔야하니
    일주일은 잡으셔야할듯합니다

  • 2. ......
    '25.2.2 2:32 AM (180.224.xxx.208)

    원글님 남편분 참 착하고 좋은 사람이네요.

  • 3. ...
    '25.2.2 2:33 AM (183.102.xxx.152)

    남편이 외국인이시라면 오래 계시지 않는게 좋을듯요.
    형제자매들이 뒷처리는 다 하겠죠.
    어머니께 한국돈 500만원 정도 드리세요.

  • 4. ...
    '25.2.2 2:37 AM (183.107.xxx.137)

    요양원 안가시고 아버지랑 두분이 사셨으면 오래 같이 있어주는것도 괜찮을거예요.
    갑자기 혼자 자는거 힘들어 하시더라구요.

  • 5. ::
    '25.2.2 2:53 AM (211.241.xxx.175)

    외국인 이시면 삼오제 지내고 오는것도 괜찮고 봄에 날씨좋을때 님사시는곳으로 초대하는것도 좋아요

  • 6.
    '25.2.2 3:00 AM (114.202.xxx.186)

    남편분이 마음이 참 따뜻한 분이시네요
    장례식장 비용을
    형제들이 1 /n로 계산하는지
    어머님께서 전액 내시는지
    상황을 지켜보고 결정하시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바로 가시는것보다는
    삼오제는 지내고 가시는것이 좋을듯 싶은데요

  • 7. 남편을
    '25.2.2 3:01 AM (39.7.xxx.73) - 삭제된댓글

    두고 혼자만 애들과 다녀오세요.
    한국여자랑 살며 한국말도 안배우고
    좌식생활 참지도 않고 표현하고
    남에나라 문화를 우습게 보는 이방인이네요ㅜ
    참고로 한국인 깡촌여자랑 십여년전 결혼한
    미국인 남편은 한국말 배우고 김치도 먹고
    알아서 빵사먹던데
    허나하낲다 챙기고 배려해야한다면 너무 귀찮아요.

  • 8. ....
    '25.2.2 3:10 AM (223.38.xxx.126)

    남편을
    '25.2.2 3:01 AM (39.7.xxx.73)
    두고 혼자만 애들과 다녀오세요.
    한국여자랑 살며 한국말도 안배우고
    좌식생활 참지도 않고 표현하고
    남에나라 문화를 우습게 보는 이방인이네요ㅜ
    참고로 한국인 깡촌여자랑 십여년전 결혼한
    미국인 남편은 한국말 배우고 김치도 먹고
    알아서 빵사먹던데
    허나하낲다 챙기고 배려해야한다면 너무 귀찮아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런 무례한 댓글을 쓰다니. 82 수준이 이렇구나

    회원에게 드리는 당부의 말씀 올립니다.
    내용 이해는 되나요?

    낚시다 주작이다 '재미없다' 등등
    날선 댓글로 인해 상처받고 글을 쓰시지 않거나 글을 지우는 분들이 많은 걸로 압니다. 
    앞으로 이런 댓글들 쓰시는 분들은 자격정지가 되오니 댓글 달지 말고 참고 넘어가십시오.

    글이 올라오지 못하게 막는 결과를 가져오는 날선 댓글들을 쓰시는 회원들은 회원자격정지 최우선순위입니다.

    특히 다툼의 여지가 없는 일상글에 불편한 댓글로 원 게시글을 지워지게 만든 책임이 있다고 판단되는 분들은 저희가 꼭 기억해두었다가 자격제한하겠습니다.

    되도록 공감이 가는 글에만 댓글을 달아주시고 반대의견을 내실 때는 더욱 정중한 어조로 써주세요.

    글이 불편하거나 이해가 되지않아도 그냥 넘어가 주세요.앞으로는 다른 분들의 글에는 관대해지셔야하고 본인이 쓰실 글에는 엄격해지셔야 합니다.

    부디 협조부탁드리겠습니다.

    또한 여기는 이렇다 저렇다, 82cook 전체 회원을 싸잡아 비판하는 내용을 쓰지 말라는 공지는 10년 전에도 있었습니다

  • 9. ...
    '25.2.2 3:14 AM (192.145.xxx.58)

    남편이랑 세트로 움직이지 말고 님은 한달 남편은 2주로 잡으세요.
    비용은 자식들이 장례식 끝나고 정산하면서 나누는데 저희집같은 경우는
    해당 조의금을 받은 사람에게 나눠 돌려주고 장례식 전체비용을 1/n했어요.
    엄마한테 들어온 조의금만 그냥 드리고요.
    삼남매인데 한사람당 500-600 정도 들었던것 같아요.
    근데 나중에 묘비니 뭐니 부수적으로 더 들긴 해요.

  • 10.
    '25.2.2 3:15 AM (114.206.xxx.112)

    유산 문제가 있지 않나요? 남편도 그거 염두에 두는거일수도요

  • 11. ...
    '25.2.2 3:34 AM (119.192.xxx.61)

    원글님도 남편분도 좋은 분들 같아요.

    외국에 오래 계셨다니 요즘 장례 문화나 분위기도 궁금하실 듯

    마음으로 함께 하고 떠나보내고 일처리하듯 하는 게 장례라는 생각이었어요.

    어머니 짜증은.. 이해는 하고 어찌할지는 다른 문제입니다.

    급한 일 없다면 남편분 의견대로 일주일 또는 열흘이 좋을 것 같아요.
    남편분이 딱 필요한 일들 말씀하셨고 그냥 원글님은 남편분과 같이 다니셔도 괜찮아요. 따로 다닐 일 별오 없고 있어도 그냥 원글님이 같이 다니면 되요.

    당일은 보통 오후에 빈소 차려지고
    조문객은 당일 저녁부터 오기 시작하고
    둘째날 오후 저녁 때 가장 많고
    셋째날은 가급적 화장시간을 오전으로 잡기 때문에 오후면 거의 일정 마무리되요.

    샤워나 쉴 수 있는 방 있는 빈소 예약하면
    쉬거나 씻고 가방 등 두고 옷 갈아입기도 하고

    집마다 분위기는 다르지만
    빈소는 돌아가며 지켜요
    식구들도 돌아가며 쉬어도 되니
    식사는 분위기 봐서 구구절절 말하지 말고 잠깐 다녀오겠다 짧게 말하고 남편분과 밖에 나가서 하고 오셔요.
    중간중간 봐서 음료나 커피 등도 조카나 원글님이 남편분과 같이 사가지고 와서 나눠드리구요

    잠은 집에 가서 자고 오기도 하니
    근처 가까운 곳에 숙소 예약해서 택시 타고 오가셔도 괜찮아요
    그런 분위기든 아니든 간에요.

    둘째날 밤에 조의금 등 정리하며 친인척 형제분들과 자리할 때
    미리 낮에 조카한테 물어보거나 형제들한테 간단히 음식 시키자 하고 족발 피자 치킨 등 야식 배달 계산도 생각해보세여.

    대학병원이든 상조회사 통해서 하든
    비용은 빈소 크기, 꽃, 수의, 묘지 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져요.
    저흰 800-1000 정도 들었고
    작게 한 지인은 300-600 말씀하세요.
    1000 이상 드는 분들도 계시겠지요
    납골당 공원묘지 선산 등은 300-2000 이상 등 따로고요

    부모님과 관계, 평소 부모님 생활, 돌봄은 어떠셨는지, 앞으로 어찌할지 등에 따라 좀 달라질 거 같아요

    어머님께는 100-300 정도도 무난하고 여유 있으면 500도 괜찮고
    조의금으로 장례 비용은 치르고
    남으면 어머니 드리거나 각자 가져가거나 하던데
    둘째날 밤에 조의금 정리할텐데
    그때 봐서 적당히 하셔도 되구요
    생각하는 금액 정도가 있으실텐데
    장례 절차 중 한 부분을 맡으셔도 되구요

    원글님이 남편과 따로 할 일은 없어요.
    같이 다니세요
    남편분은 구글번역기 돌리면 원글님이 통역 일일이 안 해줘도 되요

    또 궁금한 거 있으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장례는 매번 새로워 지금도 서로 물어보며 해요

  • 12. 그런데
    '25.2.2 3:36 AM (122.34.xxx.60)

    저희 언니 한 명도 미국 살아요. 이민 간 지 30년도 넘었어요. 부모님 돌아가실 때마다 언니가 왔고, 언니 고등학교 친구들 몇 명이 부의금을 내긴 했지만 그 외 언니 앞 부의금은 없었죠.
    하지만, 그 누구도 언니가 따로 부의금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어요. 언니가 비행기 타고 오고 갑자기 자기 하는 일들 미뤄놓고 오느라 손해보는 일도 많았을테고 누구도 마중나갈 여력이 없어서 공항에서 서울까지 택시 탁느 오는 등 돈 쓸 일이 많았는데 또 따로 돈을 내야하나요
    외국 살면 월세면 월세대로 자기 집이면 자기집 보유세대로 지출 많고 노동유연성으로 여러가지로 팍팍한데 갑자기 두 사람 비행기표에 몇 백만원은 당장은 힘들지 않을까요?
    아버님이 그동안 투병하시느라 빚진 게 혹시 있나 장레비용이 부족한가 장례식장에서 이야기 들어보시고, 부의금이 아니라 그냥 어머니쓰시라고 이백만원 정도만 드리고, 유산과 빚과 재산이 정리된 후 보땔 일이 있으면 보탠다고 하세요
    어머니 나중에 한 번 여행 오시라고 하시고요.

    장례식 발인 후 하루 이틀 후에 가시는게 나을 거 같습니다. 친정 어머니가 많이 고단하신가 봅니다. 발인 후에 호텔에서 자겠다고 친정어머니 걱정마시라고 말씀드릿고요ᆢ

  • 13. 어머니
    '25.2.2 7:20 AM (223.39.xxx.236)

    드릴 돈과 형제간 나눠낼 장례비용은 따로인거죠?
    어머니께 드린다고 형제간에 비용분담을 제하긴 힘드니
    원글이 오고가는 비용, 체류비, 등등해서 총 쓸 수 있는 금액을 예정하고 그 한도내에서 나눠쓰면 돼요.
    집안이 어떤 분위기인 지 모르지만
    사위보단 딸이 엄마곁에 있어주는 게 좋겠어요.
    사위는 일찍 출국하고
    원글은 남아서 형제들과 유산정리도 필요하고
    엄마곁에 있다가줌 좋겠네요

  • 14. .....
    '25.2.2 7:49 AM (175.117.xxx.126)

    남편과 동일 일정으로 하시지 마시고
    예를 들자면, 남편은 일주일, 원글님은 한 달.. 이런 식으로 잡으셔도 될 듯요..
    한국 다른 형제자매들이 발인 후 숨 돌릴 동안 원글님이 아버님 떠나보내고 빈 집에 홀로남을 어머님을 한 달 정도 밀착케어 해드려도 좋을 것 같아서요..
    집 정리도 도와드리고요..
    장례 후 삼우제, 49제.. 가 큰데..
    49제까진 아니라도 삼우제는 보고 가시는 게..
    삼우제는 발인 3일 뒤입니다..

  • 15. ....
    '25.2.2 8:01 AM (112.162.xxx.38)

    조금 저렴한 호텔 잡으세요. 외국 사위까지 엄마가 심란한 상황에서 챙기긴 힘들것 같아요

  • 16. ....
    '25.2.2 8:35 AM (114.200.xxx.129)

    그래도 대충 최소 1주일정도는 있어야죠...
    남편이야기가 맞는거 아닌가 싶네요

  • 17. ㅇㅇ
    '25.2.2 8:41 AM (112.186.xxx.182)

    최소 1주일이라 생각해요
    부의금은 모르겠네요 와서 같이 있는 것만으로 좋다고 생각하는데... 내야 하나요? 어머니께 따로 돈을 드리는 건 어떤가요?

  • 18. 제생각엔
    '25.2.2 8:44 AM (118.218.xxx.119)

    님이 최소한 있고 싶다면 발인후 출발하면 됩니다
    그리고 장례비용은 어머니한테 드리면 안되고 형제들한테 줘야될듯합니다
    어머니한테는 다 주면 안될듯합니다
    자식들이 계산하잖아요
    어머니돈은 따로 드리구요
    조문객이 많으면 식비가 많이 나오는데 님은 식비는 안되어도 되는 입장이고 다 따져 계산하기는 힘든 상황이고
    제 생각엔 200정도 내면 되지싶습니다
    아버님 병환중 형제들이 고생이 많았음 일일히 챙기든지 장례비용을 조금 더 내셔도 되구요
    일단은 장례 치루면서 상황을 보셔요

  • 19. ??
    '25.2.2 10:46 AM (1.246.xxx.173)

    어머님이 힘들다고 표현했는데 어머님 뜻에 따라야지 아님 남편을 가르치세요 참아야될껀 참으라고

  • 20. 그사이
    '25.2.2 11:16 AM (210.183.xxx.35)

    어머님이 그때 그렇게 짜증내셨던 건, 아버님 병환 간병으로 마음의 여유가 없으셨어서입니다.
    집에 그런 위중한 환자가 있으면 보호자 생활은 정말 말이 아니거든요. 알아서 척척 도와주고 위로가 되어주면 모를까, 그런 상황에서 어머님 입장에서 외국인사위는 또 챙겨줘야할 손님이니까요.
    제가 부모님 간병을 곁에서 해봐서 넘 잘 알아요.
    그간 어머님 말도 못하게 힘드셨을테고, 형제분들도 마찬가지실거에요.
    어머님 말씀에 서운해하시는 거 같아 적어봤고요.

    남편분은 발인 후에 가시는 게 좋고, 원글님은 더 계시면서 어머니 곁에서 힘이 되어주시면 어떨까요.
    아버님 사망으로 누구보다 힘든 건 곁에 계셨던 어머님이니까요.
    당시 저도 넘 힘들었고 지금도 그렇거든요.
    형제분들에게도 고생많았다고 위로해주시고요.
    어머님께 따로 드리고, 혹 장례비용이 모자르다면 보태주시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숙소는 당연히 어머님댁이 아니라 따로 잡으셔야하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2488 인생 잘못 살았네요 34 오십 2025/02/02 6,673
1682487 갱년기 영양제 뭐가 좋은가요? 5 oli 2025/02/02 1,351
1682486 2007년식 소렌토 굴러 갈까요? 11 .. 2025/02/02 919
1682485 수정)일본에 대해 생각이 바꼈어요 45 ... 2025/02/02 4,363
1682484 너구리순한맛(식초/애플사이다비니거) 넘 맛있어요 1 Aaaaa 2025/02/02 1,342
1682483 골드버그 前주한 美대사 "계엄은 엄청난 실수·非민주적.. 2 ... 2025/02/02 1,717
1682482 퇴행성 관절염 좀 여쭤볼께요 10 그래도 2025/02/02 1,165
1682481 성당미사요 7 ^^ 2025/02/02 1,061
1682480 군인연금 11 2025/02/02 1,964
1682479 오늘 하루 서울 혹은 근교..어디갈까요? 15 오늘 2025/02/02 1,628
1682478 종부세 몇백, 몇천, 1억 트라우마 있는 분 67 .... 2025/02/02 3,370
1682477 나이키 패딩 세탁 질문드려요 꼭 드라이크리닝 해야 하나요? 14 2025/02/02 917
1682476 애들이랑 육체적 이질감이 없어서 신기해요 22 22 2025/02/02 4,476
1682475 톡딜에 풍년후라이팬 7 톡딜 2025/02/02 1,779
1682474 중국해커들이 윤석열 당선 시켰다 이말인가요? 7 0000 2025/02/02 963
1682473 아파트에서 전기 히터 사용하시나요? 10 추워 2025/02/02 1,206
1682472 요즘엔 등산복 비싼거 많이입든듯~ 8 등산복 2025/02/02 2,364
1682471 마은혁 판사님 10 --- 2025/02/02 2,720
1682470 목폴라 이너티 2 주름 2025/02/02 897
1682469 한달 50정도 없는 돈 취급 가능한데 재테크? 19 ........ 2025/02/02 4,572
1682468 칼국수 먹으러 갈건데 3 2025/02/02 1,685
1682467 뒷구르기 가능하신가요 15 ㅇㅇ 2025/02/02 2,052
1682466 기초연금 문의 28 연금 2025/02/02 2,824
1682465 며칠전 눈펑펑 오는 날 이사하신 분 7 ... 2025/02/02 2,871
1682464 연말정산으로 월급의 3분의1이 날아갔네요ㅠㅠ 16 ㅠㅠ 2025/02/02 6,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