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식 맛내기 비법 풀어주세요

오늘고민 조회수 : 2,859
작성일 : 2025-01-27 20:49:34

아무거라도 좋아요.

음식 맛내기 비법좀 알려주세요 ㅜ

음식 잘한다고들 하는데 실은 70프로 실패.

한 30프로는 성공해요.

유투브보고해도 맛이 없을때도 있어요

이번설에 LA 갈비 했는데 맛없어서 구울때 설탕 뿌리며 구웠어요 ㅜ

오이를 무쳤는데 ..소금에 절이고 안씻고 그냥 무쳤더니 엄청 짰어요.

좀 대충대충하나봐요.

음식할때마다 유투브켜고 그람재가면서하는것도 피곤하고  간보기가 키포인트같은데 ...뭐든 하기만하면 맛있게 만들어내시는분들 ....팁하나씩 풀어주세요 !!! 감사!!!!

IP : 211.196.xxx.152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잘 못하면
    '25.1.27 8:51 PM (114.204.xxx.203)

    시판 소스 사서 약간 섞어서 써요

  • 2. 다시다
    '25.1.27 8:55 PM (175.208.xxx.185)

    다시다
    참치액젓
    굴소스
    미원
    동전육수

  • 3. ,,
    '25.1.27 8:58 PM (73.148.xxx.169)

    82쿡 푸드 앤 쿠킹에 히트레서피 대로 하니 절대 실패 없던데요.

  • 4. 대충대충
    '25.1.27 8:58 PM (219.255.xxx.120)

    안됩니다
    잡채는 눈감고도 하지~ 요럼서 뜨거운 물에 당면 불렸다가 망했던 경험으로 알았어요 요리는 정성

  • 5. ㅇㅇ
    '25.1.27 9:00 PM (118.219.xxx.214)

    오이 무침 백종원 오이무침 엄청 맛있어요

  • 6. phrena
    '25.1.27 9:01 PM (175.112.xxx.149) - 삭제된댓글

    사주에 식상이 잘 자리 잡아 발달해야
    요리 솜씨 있다고 해서 ᆢ 저는 제가 요리 꽝 일 줄 알았거든요
    (드물게 식상 전무한 사주ㅠ)

    근데 남편이 저와 결혼 결심하게 된 무의식적? 계기가
    저희집 초대해서 제가 알탕 만들어 한식상 차려주었었는데

    그 맛이 충격이었다고 ㅎㅎ

    요리해 본 적도 없고 ᆢ압구정 어느 가게에서 첨 먹어본
    알탕 이란 거에 반해서 ᆢ걍 기억 더듬어 재료 구비해
    본능으로 끓였을 뿐 ㅡ 결혼 이후 시가에서나 이웃에서나

    제 음식 먹어본 이들은 한결같이 식당 차리라 하고요

    저는 요리책이나 유튜브 조차 안 보고 그냥 완전 /감/으로
    만들고요 (더구나 요리 즐겁긴 커녕 왕부담ᆢ글구 요리에
    넘 에너지 쏟아부어 음식 만들면 소파에 쓰러져 있어야ㅠ)

    비법이랄 것도 없는 비법은 /육수/에 있는 듯요

    치마양지 ㆍ아롱사태 ㆍ국등심 등 고기에
    무ㆍ다시마ㆍ대파ㆍ양파ㆍ표고ㆍ마늘ㆍ생강 등등 요리
    하다 남은 온갖 자투리 야채 냉동했다 육수 낼 때 때려부음 ㅋ

    해물 베이스엔 지리멸? 디포리 건홍합 딱새우 바지락 북어대가리
    오징어 자투리 등등 온갖 건어물로

    간단한 감자채 볶음이나 애호박 나물에도
    육수로 볶거나 졸이니 ᆢ 깊은 맛이 베어드는 듯

    미원은 안 쓰지만
    조개 다시다ㆍ쯔유 같은 건 적절히 쓰고요^^

    카레 만들 땐 폰타나의 프렌치 어니언 수프에다 끓이고
    사과즙 갈어 넣고 등등

    그러니 맹물에 한 음식과 맛이 다를 수 밖에 없는듯요^^

  • 7. phrena
    '25.1.27 9:06 PM (175.112.xxx.149)

    사주에 식상이 잘 자리 잡아 발달해야
    요리 솜씨 있다고 해서 ᆢ 저는 제가 요리 꽝 일 줄 알았거든요
    (드물게 식상 전무한 사주ㅠ)

    근데 남편이 저와 결혼 결심하게 된 무의식적? 계기가
    저희집 초대해서 제가 알탕 만들어 한식상 차려주었었는데

    그 맛이 충격이었다고 ㅎㅎ

    요리해 본 적도 없고 ᆢ압구정 어느 가게에서 첨 먹어본
    알탕 이란 거에 반해서 ᆢ걍 기억 더듬어 재료 구비해
    본능으로 끓였을 뿐 ㅡ 결혼 이후 시가에서나 이웃에서나

    제 음식 먹어본 이들은 한결같이 식당 차리라 하고요

    저는 요리책이나 유튜브 조차 안 보고 그냥 완전 /감/으로
    만들고요 (더구나 요리 즐겁긴 커녕 왕부담ᆢ글구 요리에
    넘 에너지 쏟아부어 음식 만들면 소파에 쓰러져 있어야ㅠ)

    비법이랄 것도 없는 비법은 /육수/에 있는 듯요

    치마양지 ㆍ아롱사태 ㆍ국등심 등 고기에
    무ㆍ다시마ㆍ대파ㆍ양파ㆍ표고ㆍ마늘ㆍ생강 등등 요리
    하다 남은 온갖 자투리 야채 냉동했다 육수 낼 때 때려넣음 ㅋ

    해물 베이스엔 지리멸? 디포리 건홍합 딱새우 바지락 북어대가리
    오징어 자투리 등등 온갖 건어물로

    가장 간단한 감자채 볶음이나 애호박 나물에도
    육수로 볶거나 졸이니 ᆢ 깊은 맛이 베어드는 듯

    (달걀말이에도 바지락 육수 좀 넣어서 합니다
    씹을 때 톡 터지는 육즙?같은 느낌이 남 ᆢ)

    미원은 안 쓰지만
    조개 다시다ㆍ쯔유 같은 건 적절히 쓰고요^^

    가령 ᆢ카레 만들 땐 폰타나의 프렌치 어니언 수프에다 끓이고
    사과즙 갈아 넣고 등등

    그러니 맹물에 한 음식과 맛이 다를 수 밖에 없는듯요^^

  • 8. 그쵸
    '25.1.27 9:15 PM (219.255.xxx.120)

    요리부심 있는 동네엄마가 밥해주면 힐링되는데 분명히 재료 넣은거 별로 없는데 콩나물국이 달라요 물어보니 육수래요
    안보이는 재료에 신경쓴대요 전을 부치면 건새우가루 갈아넣는 식으로요

  • 9. 맛을
    '25.1.27 9:31 PM (211.186.xxx.7)

    일단 맛을 알아야 맛이 있어요. 뭔말이냐면
    맛있는 요리를 많이 먹어 미각이 발달해야 맛있는 조합을 찾아낼수 있다는 얘기에요.

  • 10. 일단
    '25.1.27 9:44 PM (211.196.xxx.152)

    육수 ..보이지않는 정성
    근데. ..정성을 너무 쏟으면 피곤해요 ㅎㅎ

    작은 과정도 꼼꼼하게 ㅜㅜㅜ

  • 11. ..
    '25.1.27 10:21 PM (222.103.xxx.181)

    음식은 간이 맞고 재료가 싱싱하면 반은 성공하는거 같아요. 간을 요리 마지막에 확인하면 초보는 100%프로 실패해요. 요리 중간 중간에 간을 꼭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해요. 원글도 오이 절이고 나서 바로 간을 봤으면 짜니까 씻는 작업을 했겠죠..그런식으로 중간과정에서 간을 봐가면서 양념을 조절해야해요.

  • 12. 간이
    '25.1.28 5:19 AM (142.126.xxx.46)

    안맞아서 그런듯. la갈비에 설탕을 뿌려 구웠다면 양념에 단맛이 부족했던거고요. 오이도 절이든 안절이든 양념이 엄청 짰으니까 결과적으로 쩐거에요. 중간중간에 맛을 보세요. 양념도 한꺼번에 넣는게 아니라 조금씩 조절해가며 넣는거죠. 윗분도 비슷하게 쓰셨는데 요리 못하는 사람일수록 중간에 간을 안보던데 무슨 자신감으로 그러는건지....
    일례로 lg갈비는 재놨다가(절대 짜게하면 안됩니다) 중간쯔음 한조각 꺼내서 구워먹어보고 부족한건 2차 간하세요. 그럼 망하진 않아요.

  • 13.
    '25.1.28 8:28 AM (115.138.xxx.158)

    처음 만들 때 괜찮은 레시피로 꼼꼼히 따라하기
    먹으면서 불필요하다 생각되거나 간 같은 거를 어찌해야 하는지 생각 이후에는 안 봐도 이 기억으로 잘 할 수 있음

    처음에 거창히 하다가 막판에 내 맘대로 간 조정하지 않기

  • 14. 요리
    '25.1.28 9:08 AM (221.149.xxx.103)

    장금이는 아니지만 다년간 경험상 요리는 본인 미각이 좀 발달해야 하고, 과학 특히 화학에 가까운 듯요. 평소 맛있는 음식 즐기고 재료 구입과 손질, 과정과 상차림까지 꼼꼼하게 해야. 시장통 관광지 조미료 잔뜩 들어간 음식 맛있다는 사람 많아서 걱정될 정도. 입맛도 음식도 양극화 ㅜㅜ

  • 15.
    '25.1.28 9:56 PM (121.167.xxx.120)

    요리 가르치는 곳에서 배우세요
    자격증반 말고 생활요리 가르치는 곳에서 배우고 두세번 같은 요리 반복해서 해보면 늘어요
    요리학원 강사의 요리비결도 배울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2917 요즘은 혼주도 한복을 안입네요 24 .... 2025/02/04 4,892
1682916 경조사 참석 안하고 부조 더 하는게 낫나요? 5 질문 2025/02/04 1,010
1682915 아빠한테 사랑한다고 고맙다고 하는 딸.. ㅇㅇㅇ 2025/02/04 937
1682914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학교 교환학생... 15 교환학생 2025/02/04 1,830
1682913 미래에는 로봇이 11 ㅁㄴㅇㅈㅎ 2025/02/04 1,361
1682912 집에서 김밥말면 19 재료 2025/02/04 4,628
1682911 주말에 한가람미술관 가려는데 복잡하지않을까요? 9 가끔은 하늘.. 2025/02/04 876
1682910 공무원수험생 시절 황현필 전한길 선생님 두분에게 배웠습니다. 5 25 2025/02/04 1,772
1682909 "이재명을 모르면서 정치를논하는 김경수직격 (장인수기자.. 10 ... 2025/02/04 1,200
1682908 최상묵도 내란범 탄핵 3 내란은 사형.. 2025/02/04 1,079
1682907 제육볶음에 고추장 넣어야하나요? 9 요리초보 2025/02/04 1,479
1682906 남편이 경비원 일을 알아보는데 어렵네요 11 ... 2025/02/04 6,531
1682905 비타민c 뭘로 드시나요. 17 .. 2025/02/04 2,690
1682904 얼굴점빼는데 할인되는 병원 추천해주세요 4 종로구사는이.. 2025/02/04 1,068
1682903 전화로 대화중 성나면 먼저 전화 끊는엄마 8 80넘어도 2025/02/04 1,233
1682902 나르시시트들이 직장내 왕따시키는 방법 8 .. 2025/02/04 2,457
1682901 생얼로 만날수 있는 남자와 결혼 하셨나요? 28 -- 2025/02/04 3,576
1682900 건강하게 팔십까지 일하고 싶어요 8 ㆍㆍ 2025/02/04 1,412
1682899 홍장원 차장 아직 증인출석 안했죠? 2 헌재 2025/02/04 2,310
1682898 돈주고후회 받고도후회 7 재산상속 2025/02/04 2,587
1682897 자식이 부양 못해 연 끊으면 기초생활수급자 되나요? 11 노후 2025/02/04 3,440
1682896 여행용 휠체어 1 휠체어 2025/02/04 344
1682895 허위 선동중인 세계로교회- 이건 교회도 아닙니다. 1 000 2025/02/04 726
1682894 50대 중반 남자 선물 도와주세요 6 선물 2025/02/04 805
1682893 요번주에 고등아들 졸업인데여... 1 들들 2025/02/04 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