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윤석열 재판에서 최악의 경우 어떻게? (공수처 수사권이 문제되는 경우)

ㅅㅅ 조회수 : 1,550
작성일 : 2025-01-27 15:25:41

최악의 경우 풀려나지 않나를 걱정하는 분들을 위해 한양대 로스쿨 박찬운 교수님이 쓰신 글입니다.

ㅡㅡㅡㅡㅡㅡ

윤석열은 빠져나올 수 없습니다

 

윤석열이 기소가 되었음에도 여전히 불안을 떨구지 못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제게 개인적으로 이런 질문을 하십니다. 

 

“공수처 수사가 위법하다고 윤석열 측이 집요하게 주장하는데, 혹시 법원에서 공수처 수사가 위법이라고 판단하면 어떻게 되는 것입니까? 그렇게 되면 윤석열은 내란죄에서 책임을 면하게 되는 게 아닙니까?”

 

최악의 상황을 상정한 질문입니다. 이 가능성을 생각하면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일어난다고 해도 윤석열이 형사처벌을 면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겁니다.

 

만일 법원이 ‘공수처가 수사권한이 없음에도 수사를 했고, 검찰이 그에 기해 기소를 하였으니, 법률에 위반되어 무효’라고 판단하면, 법원은 공소기각의 판결(형소법 제327조)을 합니다. 이것이 지금 예상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입니다.

 

공소기각 판결은 공소사실의 유무죄에 관한 판단이 아니라 소송요건에 관한 판단입니다. 이런 판결은 형식판결이라고 해서 일사부재리 원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른 말로 바꾸면, 이런 형식판결은 판결 후 소송요건만 보완하면 다시 기소해 재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가 발생해도 윤석열이 내란죄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다시 검찰이 소송요건을 갖춰 재판을 청구(기소)하면 됩니다. 물론 공소기각 판결이 있는 경우엔 구속영장의 효력이 없어지므로 피고인을 일단 석방해야 합니다. 다시 그를 구속하기 위해선 재수사 과정에서 구속영장을 발부받아야 합니다.

 

여하간 윤석열이 내란죄 재판에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는 가능성은 없습니다. 공소기각이란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은 극히 적지만, 만에 하나 일어난다고 해도, 윤석열이 법망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단죄의 시간만 연장될 뿐입니다. 그러니 윤석열이 처벌받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즐거운 설입니다. 잠시라도 걱정을 붙잡아 매고 푹 쉬시길 바랍니다.

IP : 218.234.xxx.21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25.1.27 4:16 PM (58.237.xxx.182)

    내란은 사형 아니면 무기징역
    이것말고는 없는데
    자꾸 빠져나오면 어떡하냐고 헛소리

  • 2. 최악 가정
    '25.1.27 4:33 PM (221.149.xxx.50)

    딴거보다 공수처가 대통령 수사권이 있냐는 약간 애매하긴 합니다만.
    법원의 공소기각과 헌재의 파면은 별개입니다. 헌재에서 파면되면 민간인이 되고 그 이후 수사는 더 가속도가 될 겁니다 김건희도 당장 관저에서 나와야하고 김성훈 경호차장도 더이상 김건희를 보호하지 못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0504 여론조사 국힘지지율..진짜인가요 25 이해가안돼요.. 2025/01/27 2,881
1680503 과카몰리 했는데 빵, 과자가 없다면~? 10 어쩌지 2025/01/27 1,237
1680502 KBS여조) 이재명 45%·오세훈 36%'·'이재명 46%·홍준.. 10 ㅅㅅ 2025/01/27 2,007
1680501 잠실 송파 맛집 알려주세요 15 .. 2025/01/27 1,716
1680500 명절때마다 어디 가냐는 질문 스트레스 받네요 11 ㅇㅇ 2025/01/27 2,756
1680499 고등 졸업하는 조카 세뱃돈이요. 12 ㅇㅇ 2025/01/27 3,240
1680498 오래된 재건축단계의 아파트 살기에 어떤가요?? 3 ㅇㅇ 2025/01/27 1,516
1680497 윤처럼 도리도리하면서 말할수 있으세요? 5 ..... 2025/01/27 1,641
1680496 연휴가 길어도 아무데도 안갑니다 4 연휴 2025/01/27 3,236
1680495 삶은문어 데워 먹는법 알려주세요 11 00 2025/01/27 2,188
1680494 서민분들 설에 얼마 쓰시나요.? 8 2025/01/27 2,658
1680493 반복적인 눈 알레르기 힘드네요 10 힘드네요 2025/01/27 1,247
1680492 LA갈비 시판양념 4 la 2025/01/27 1,295
1680491 혹시 [우리아이는 음악인] 네이버카페 가입되신 분 있으신가요? 어이쿠 2025/01/27 250
1680490 집만두를 가지고 가는 방법 7 만두 2025/01/27 2,206
1680489 금강산댐 생각나는 YTN 자막 2 ........ 2025/01/27 1,072
1680488 TV 다시 설치할까요? ㅠ (질문 추가. 이동식 TV 어떨까요?.. 6 혼자 2025/01/27 837
1680487 노무현 대통령 '사자 명예훼손' 대응.jpg (제보 폼) 20 감사합니다 2025/01/27 2,589
1680486 6시30분 정준희의 해시티비 미디어기상대 ㅡ 내란마귀를 형사법정.. 1 같이봅시다 .. 2025/01/27 426
1680485 청주날씨 어떤가요 3 뚱뚱맘 2025/01/27 810
1680484 초등 고학년 여자아이 결혼식 복장 15 .. 2025/01/27 1,285
1680483 맛있는 곶감은 뭘 사면 되나요 19 .... 2025/01/27 2,359
1680482 이번 명절에 차례상 차리나요? 10 명절 2025/01/27 1,504
1680481 큰맘먹고 한우 샀는데요 8 ㄴㄴ 2025/01/27 2,707
1680480 집에 계신 분들 뭐하시나요 16 ,, 2025/01/27 3,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