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식이 왜 이리 달아졌나요.

조회수 : 3,619
작성일 : 2025-01-17 13:48:52

시판 다담소스도 그렇고 반조리 식품들도 그렇고

외식도 그렇고

한식이 왜 이리 달아졌나요.

안달고 맛있어.

가 맛의 칭찬이 됐잖아요.

대기업 석박사님들.

이제 좀 단맛 좀 조절 해 주세요.

외식하다보면 제육도 달고  멸치볶음도 달고

김치도 달고 

짜장면도 달고

좀 편하자고 시판 소스를 반의 반만 썼는데도  너무 달아요.

저 달고 짜고 감칠맛 좋아 하는데도 그러네요.

음식이 너무 달아졌다는데 다들 동의 하는데

 저 정도 음식 달기가 한국표준일까요?

 

IP : 183.99.xxx.230
3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1.17 1:51 PM (221.138.xxx.92)

    살기 힘들어져서 단맛을 추앙하게 되었을지도요..

  • 2. 요즘
    '25.1.17 1:52 PM (222.118.xxx.116)

    액상과당 듬뿍 듬뿍 넣더라고요.

  • 3. ...
    '25.1.17 1:53 PM (183.102.xxx.152)

    백종원이 말하길
    한국사람들은 첫맛이 달아야 맛있다고 한다네요.
    아니면 맛없다 심심하다고 한대요.
    생각해보니 첫맛이 싱거우면 평가가 짠거 같기도 해요.

  • 4.
    '25.1.17 1:54 PM (118.32.xxx.104)

    밀키트 특히 너무 달아요

  • 5. ....
    '25.1.17 1:59 PM (211.179.xxx.191)

    백종원 탓인거 같기도 해요.
    한식뿐 아니라 양식도 전반적으로 달아요.

  • 6. 달아요
    '25.1.17 2:01 PM (1.227.xxx.69)

    첫맛이 달아야 맛있다고 한다니...ㅠ
    백종원 입맛이 그런거 아닌가요? 이상하게 음식이 달아도 너무 달아요.
    아이들이 그 맛에 길들여질까 걱정돼요.

  • 7. 보통은
    '25.1.17 2:05 PM (118.235.xxx.215) - 삭제된댓글

    우리가 맛있다고 느끼는게 단맛이고요.
    싱거운 음식은 싱겁다고 느끼는게 아니라 맛없다고 느낀답니다.

  • 8.
    '25.1.17 2:08 PM (183.99.xxx.230)

    간이 맞고 조화로워야 맛있다 느끼지
    첫맛이 단맛이 느껴지면 저는 짜증나던데요.
    이것도
    누가 학습시킨거 아닐까요?

  • 9.
    '25.1.17 2:09 PM (116.42.xxx.47)

    외식 메뉴 기본이 단짠단짠
    그게 싫으면 집밥 고수 해야죠

  • 10.
    '25.1.17 2:10 PM (211.246.xxx.38)

    음식레시피에 설탕 몇숟갈 올리고당 몇숟갈...
    슈가남 등장이후 시중레시피에 설탕이 필수더만요.
    설탕 안 넣어요. ㅠㅠ

  • 11. 보건복지부
    '25.1.17 2:11 PM (211.235.xxx.32)

    일하냐?저당 ,운동,마슼착용캠페인 광고해라.
    당뇨,고혈압 대사성질환 증가다.

  • 12. 저는
    '25.1.17 2:13 PM (1.240.xxx.138)

    전에는 잡채에 설탕 넣은 게 정말 이상했는데,
    요즘은 어느 정도 넣은 건 괜찮게 여겨지더라구요 ㅠㅠ
    그만큼 단맛에 길들여진 거겠죠.

  • 13. 요즘 대세?
    '25.1.17 2:14 PM (125.140.xxx.65)

    펀스토랑 류수영 레시피에도 설탕이 은근 많이 들어가요.
    조리할때 덜 넣으면 되긴하지만 들어가야 맛있다고 느낀다는게 사실

  • 14. 서울음식
    '25.1.17 2:14 PM (118.235.xxx.160)

    20년전에도 달았어요.
    저 서울 가서 느낀게 뭐냐면 음식이 달다
    다 설탕 한 국자 넣은것 같다 싶더라고요

  • 15. 222
    '25.1.17 2:19 PM (183.98.xxx.31)

    슈가남 등장이후 시중레시피에 설탕이 필수더만요.
    설탕 안 넣어요. ㅠㅠ222

  • 16.
    '25.1.17 2:20 PM (220.86.xxx.170)

    달아서 먹을 수가 없어요.
    양파 달달 익혀서 나오는 정도 단맛이 딱 좋은데 사 먹는 음식은 그것보다 100배는 달아요.
    연속으로 두 끼 사 먹으면 밤에 속이 뒤집힙니다

  • 17. 각자 입맛에 맞게
    '25.1.17 2:22 PM (211.234.xxx.165) - 삭제된댓글

    빵에 들어가는 버터, 설탕량
    각종 시판 소스류 설탕, 온갖 과실청은 괜찮습니까? ㅎㅎ

    특히 음식 부심있는 몇 몇연예인들
    교묘하개 설탕안넣지만 그들이 사용하는
    소스류 등 첨가물에 들어간 설탕량이 훨씬 많음

  • 18. ...
    '25.1.17 2:24 PM (122.32.xxx.68)

    백종원 류수영....
    방송이 제일 반성해야 할듯.
    음식하나 하면서 설탕도 넣고 매실엑기스도 넣고 물엿도 넣고 조청도 넣고...
    도대체 맛의 기준이 뭔지 모르겠어요.
    어느날 쫄면 반조리 샀는데 설탕 씹히는 맛을 느끼고는 못 사 먹겠어요.

  • 19. ...
    '25.1.17 2:24 PM (183.102.xxx.152)

    요즘 레시피 보면 진짜 너무해요.
    설탕 올리고당 매실액을 다 넣어요.
    실제로 요리해보면 설탕이나 올리고당 하나면 충분한걸...

  • 20. 각자 입맛에 맞게
    '25.1.17 2:25 PM (211.234.xxx.165)

    빵에 들어가는 버터, 설탕량
    각종 시판 소스류 설탕, 온갖 과실청은 괜찮습니까? ㅎㅎ

    특히 방송나와 음식 부심있는 몇 몇연예인들
    그들이 사용하는 각종 소스류 등 첨가물에 들어간
    설탕량이 훨씬 많을것음

  • 21. ....
    '25.1.17 2:26 PM (116.33.xxx.177)

    진짜 모든 음식이 달아요.
    김치마저 끝맛이 아스파탐을 넣어서인지..이상하게 단맛이 나네요.

  • 22. 맞아요
    '25.1.17 2:31 PM (118.235.xxx.62)

    김밥, 잡채, 갈비나 고추장양념...
    유튜브 여러개 봐도 설탕, 물엿, 조청, 매실액, 효소... 단맛내는게 기본 두세가지 팍팍 들어가요.
    도저히 넣으란 양을 못넣고 양 줄이면 니맛도내맛도 아니고.
    저 혼자 먹는건 슴슴하게 맛없다고하면서도 먹겠는데 남이랑 같이 먹는건 달고 짜게 하게 되네요.
    외국인들에게 한식만들어 줄 때 요즘 레시피로 하면 너무 달다고 하네요.
    차라리 짜면 더 맛있어 하더군요.

  • 23. ..
    '25.1.17 2:32 PM (106.101.xxx.123) - 삭제된댓글

    첫맛이 달게 느껴지면
    두입 세입은 더 달게 느껴져서 별로던데ㅜ

  • 24. ..
    '25.1.17 2:42 PM (211.44.xxx.118) - 삭제된댓글

    김치 당류 4%. 너무 달아요
    김장 너무 싫은데 올겨울엔 직접 해야될거 같아요.

  • 25. @@
    '25.1.17 2:46 PM (14.56.xxx.81)

    식당음식 기본으로 다 달구요 대기업 제품들도 너무 달아요
    만두 떡볶이 냉면 피자 핫도그... 죄다 단맛뿐
    저 윗분 20년전에도 서울음식 달다 하셨는데 저희 집안 대대로 서울사람인데 음식 그렇게 달게 안먹었어요 그리고 파는음식들도 20년전엔 그정도로 달진 않았구요
    요즘 젊은이들 급식먹는 학생들도 일단 무조건 달아야 맛있는 음식이 되어 버렸더라구요
    되돌리기 힘들듯 ㅠㅠ 십년후면 된장찌개도 달달하고 설렁탕 곰탕도 설탕이 들어갈지도 모르겠어요

  • 26. 코코몽우유
    '25.1.17 2:49 PM (211.235.xxx.32)

    당29% 불매 .

  • 27. ㅇㅇ
    '25.1.17 2:51 PM (118.235.xxx.89)

    맞아요, 너무너무 달아요. 몇년새 엄청 달아진 느낌이에요.
    전국민의 건강 악화가 목표라도 되는 듯

  • 28. 소스
    '25.1.17 3:05 PM (59.7.xxx.113)

    어묵 장어 샀을때 들어있는 소스들..저는 버려요.

    일하는 여성이 늘어난것과 관련있다고 봅니다. 주방에 머무는 시간이 여유롭지 않으니 조미료의 도움을 받게 되고 외식을 많이 하니 단맛과 자극적인 맛에 대한 저항이 줄어들고요.

    그런 맛을 자꾸 찾으니 공장에서 만드는 조미료가 굉장히 발달했고..또한 서양식 메뉴에 익숙해진 것도 이유인것 같고요.

  • 29.
    '25.1.17 3:11 PM (183.99.xxx.230)

    20년 전에도 달았다니요. 저도 서울인데 전혀요.
    생각해보면
    청을 담그면서 부터 매실청이니 이런것들을 죄책감 없이 음식에 넣기 시작한 것 같기도 하고
    단맛 싫어해서 외식할때 단맛보다 차라리 미원맛을 택해요.
    당뇨가 흔해진게 괜한 게 아닌듯요.

  • 30. 예전
    '25.1.17 3:12 PM (14.138.xxx.159)

    배즙 양파즙 조청조금으로 단맛 내던
    윗세대 요리연구가들 레시피 참조하고 있어요.

  • 31. ....
    '25.1.17 3:39 PM (121.137.xxx.59)

    저는 안 달고 짭짤한 게 좋은데
    요즘은 싱겁고 맵고 달더라구요.

    식당 음식이 짜면 짜다고 불평을 엄청 하는데
    단 음식은 별로 불평이 없으니
    간을 그렇게 하나 싶어요.

    라면 국물도 싱겁고 달아요.
    느글거리고 예전 맛이 아니에요.
    단 건 답이 없더라구요.

  • 32. 슈가보이
    '25.1.17 5:00 PM (211.234.xxx.28)

    벡선생 등장과
    배달음싣 단짠이 이끌었죠.
    캠페인 해야 해요.
    소금 줄이기에서
    단맛 줄이기.
    그 단맛도 과당 팍팍이라 건강에 더 안 좋죠.

  • 33. ...
    '25.1.17 8:05 PM (49.168.xxx.85) - 삭제된댓글

    싱겁고 단게 아니고 우리나라 음식은 설탕을 너무 넣어서 짠맛을 덜 느끼는거래요 실제로는 많이 짜대요

  • 34. ...
    '25.1.17 8:05 PM (49.168.xxx.85)

    싱겁고 단게 아니고 우리나라 음식은 단것을 너무 넣어서 짠맛을 덜 느끼는거래요 실제로는 많이 짜대요

  • 35. 이십년전요리책
    '25.1.18 1:59 PM (220.120.xxx.170)

    이십년전요리책낸분이 최근다시낸거 비교해보니 요리이름과 사진은 음식똑같은데 레시피에서 설탕이 늘엇더군요. 요즘입맛에 맞게 레시피수정한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8114 드럼세탁기 용량 3 sr 2025/01/23 353
1678113 청춘만물트럭 2 조아 2025/01/23 455
1678112 사돈총각 결혼식 축의금 8 궁금 2025/01/23 1,731
1678111 부가가치세 신고 2/10 궁금 2025/01/23 662
1678110 냉동고등어 버리는게 맞겠죠? 6 ㅇㅇ 2025/01/23 1,184
1678109 나이들 수록 허리가 점점 굵어지나요 8 ... 2025/01/23 2,122
1678108 안돼 이진숙 12 이진숙 2025/01/23 2,320
1678107 저 훈육에 재능 있는 걸까요? 10 Dd 2025/01/23 1,468
1678106 여론조사 공정 여기 사이트도 페쇄된 곳인데? 4 뭐지? 2025/01/23 481
1678105 요즘 결혼 추세 38 2025/01/23 5,438
1678104 해피콜,홈플러스 후라이팬 코팅좋고 좀 무거운 것은 5 직접 안보고.. 2025/01/23 806
1678103 아파트 결로 현상 경험해보신 적? 20 이사 2025/01/23 1,527
1678102 누가 더 비호감? 윤석열 45.5% 이재명 42.8%…오차내 팽.. 21 음.. 2025/01/23 1,278
1678101 이진숙 탄핵소추 기각 23 뭐죠? 2025/01/23 3,027
1678100 헌재,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탄핵소추 기각…직무복귀 29 미쳤네. 2025/01/23 4,813
1678099 오고 가는 물질 속에 효심이 싹트네요 9 ㅇㅇ 2025/01/23 2,165
1678098 지금 80쯤 되신 분들도... 5 뜬금포 생각.. 2025/01/23 1,647
1678097 건조기가 세탁기보다 깊이가 살짝 더 큰데 2 ㅇㅇ 2025/01/23 416
1678096 여성을 적으로 생각하는 캐나다교수 채널 2 페미 2025/01/23 969
1678095 확정일자 신고 4 윈윈윈 2025/01/23 563
1678094 시형님 친정아버지 부의금 얼마가 적당할까요? 16 샴푸의요정 2025/01/23 2,383
1678093 공수처가 오늘 중 검찰로 윤 사건을 송부할 것 같다네요 9 ㅇㅇ 2025/01/23 1,944
1678092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윤석렬 6 000 2025/01/23 391
1678091 군 지구병원에서 윤석열 김건희 면회, 오후 9시 보도 예정.jp.. 18 이건또 2025/01/23 3,904
1678090 판사들은 왜 서로 의리가 없는 건가요? 16 판사들중 4.. 2025/01/23 2,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