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제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과 현실이 너무 다른 것 같아요

ㅇㅇ 조회수 : 5,267
작성일 : 2025-01-11 13:53:51

요즘 많이들 얘기하잖아요.

이제는 학벌로 먹고 사는 시대는 지나갔다. 

재능만 있으면 학벌은 전혀 중요하지 않고 좋은 대학 나와도 취업하기 힘들다.

그런데 현실을 보면 학벌 없이 재능만으로 성공한 건 극소수이고, 

그런 극소수의 성공스토리는 어느 시대에나 있었고, 오히려 옛날에 그런 입지전적인 인물들이 더 많았던 것 같아요. 고 정주영 회장이나 고 김대중 대통령처럼.

좋은 대학 나와도 취업하기 힘들다지만, 좋은 대학을 나와도 힘든데 안 좋은 대학을 나오거나 대학을 나오지 못하면 이력서도 못 내보는 형편이겠죠.

학벌지상주의가 가장 잘 드러난 현상이 재수, 반수, 삼수, 반삼수 등등이 예전에 비해 훨씬 많아진 거라고 보는데요. 

제가 90년대 초반 학번인데 그때는 재수는 많아도 3수는 그렇게 많지 않았고, 4수는 정말 드물었는데요.

요즘은  4수도 드물지 않더라고요. 

저희 아들이 군대에 있는데 이번에 자기 부대 병사 중 10프로 넘게 수능을 봤대요. 재수도 있고, 반수도 있고요.

그러면서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는 얘기를 또래 친구들 사이에서 들어본 적도 없고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어요. 

그 또래에서는 학교 레벨을 조금이라도 높이려고 애를 쓰고 학교 레벨에 많이 민감하대요. 취업이 어려울수록 더더욱 그렇다고요.

이제 학벌이 중요하지 않은 시대가 왔다는 얘기를 한 10년 전부터 부쩍 많이 들은 것 같은데 현실에서 정말로 그렇게들 느끼시나요? 극소수의 특수한 사례는 논외로 하고요.

IP : 121.64.xxx.227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1
    '25.1.11 2:01 PM (58.29.xxx.142)

    물론 학벌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예전만큼 중요하진 않은 듯 싶어요.
    특히 이과의 경우 학교보다는 과라는 말이 통하거든요.
    물론 같은 과라면 입결 놓은 학교를 선호하겠지만요.

    그리고 예전엔 학교 간 격차가 무척 컸지만 지금은 그만그만한 영향도 있을 거예요.

  • 2. ...
    '25.1.11 2:07 PM (39.117.xxx.28)

    요즘 아이들은 군수고 재수고 반수고 계속 많이들 하긴 합니다.
    근데 그게 좋은 현상인가요.
    부모와 아이들과 사회가 건강하지 않은거죠.

  • 3. ....
    '25.1.11 2:08 PM (58.142.xxx.55)

    좋은 학교나와 평범하게 잘 사는 사람들은
    그것에 대해 아무 글도 안써요.
    전문직, 안정적인 직업, 연구소, 공기업,대기업, 중견기업 등을 오래 다닌 사람들은 이제 학벌은 중요하지 않다라는 말
    안합니다.
    학벌만 있는 사람은 학벌이 중요하지 않지만,
    다른 능력과 함께 학벌도 가진 사람은 복리이자를 누리는 것과 같아요. 좋은학교가 상징하는 다른 능력까지 갖춘 사람들요.

  • 4. ......
    '25.1.11 2:08 PM (121.155.xxx.236) - 삭제된댓글

    아들만 둘인데 첫째는 명문대 나와서 대기업 다녀요.
    둘째는 고졸로 대학 안가고 공무원이구요.
    연봉이 3배 넘게 차이가 나네요.
    그런데 행복이라는게 연봉 많으면 행복한건지...
    매일 야근에 주말 출근에 자기 생활 거의없이 공부 안하면 짤린다고
    스트레스 받으면서 매일 공부하구요.
    반면에 연봉 작은 둘째는 워라벨 좋아서 아주 만족하고 다녀요.
    국가직이라 민원 상대없어서 스트레스도 없대요.
    뭐가 더 좋은건지 모르겠습니다.

  • 5. 이상해요
    '25.1.11 2:12 PM (106.101.xxx.172)

    1점차이로 떨어져서 학벌갈린다고
    그사람이 많이 뒤쳐지는건 아닌데
    가면갈수록 아이들사이에서 학벌얘기를
    많이해요 물론 좋은학교가면 좋지만요
    학교가 다가 아니고 성인이 되면 스스로 노력해서
    학벌을 뛰어넘는 일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런사회가 되어야하는데 아이들은 스펙이 자기정체성이라고
    생각하더라구요 안타까워요
    작은아이 친구들중 과고나온아이들이나 특목아이들보면
    삼수 사수까지해요
    저는 학벌이란게 이사회의 병폐같아요 너무 심해요

  • 6. .....
    '25.1.11 2:15 PM (121.155.xxx.236) - 삭제된댓글

    아들만 둘인데 첫째는 과고조졸하고 명문대 나와서 대기업 다녀요.
    둘째는 고졸로 대학 안가고 공무원이구요.
    연봉이 3배 넘게 차이가 나네요.
    그런데 행복이라는게 연봉 많으면 행복한건지...
    매일 야근에 주말 출근에 자기 생활 거의없이 공부 안하면 짤린다고
    스트레스 받습니다.
    반면에 연봉 작은 둘째는 워라벨 좋아서 아주 만족하고 다녀요.
    국가직이라 민원 상대없어서 스트레스도 없대요.
    뭐가 더 좋은건지 모르겠습니다.

  • 7. ...
    '25.1.11 2:16 PM (175.209.xxx.12)

    학벌이 안중요하다는게 아니라 학벌과 무관하게 성공할수있는 기회 방법이 많아졌다는 뜻이죠... 보통의 평범한 사람들은 기회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흔한방법이 학벌인건 맞죠.

  • 8. 82쿡보니
    '25.1.11 2:22 PM (118.235.xxx.174)

    세상에서 제일 중요하던데요 그걸로 다 평가하고
    50넘어 학교간다고 컴플렉스니 하고

  • 9. 00
    '25.1.11 2:25 PM (211.209.xxx.83) - 삭제된댓글

    학벌만 있는 사람은 학벌이 중요하지 않지만,

    다른 능력과 함께 학벌도 가진 사람은 복리이자를 누리는 것과 같아요. 좋은학교가 상징하는 다른 능력까지 갖춘 사람들요.22222

  • 10. ㅇㅇ
    '25.1.11 2:26 PM (211.218.xxx.238)

    애들도 대학하나보고 공부하는데 안 중요할 수가

  • 11. ...
    '25.1.11 2:30 PM (121.166.xxx.26)

    현실적으로 학벌이 중요하지 않을정도로 재능있는 사람이 별로 없다
    평범한 사람에게는 학벌이 성공에 더 중요

    다만 학벌만으로는 이제 안정이 보장되지 않는다
    그치만 평범한 사람이 학벌도 없다면 기본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능게 위테위태하다

  • 12. 적어도
    '25.1.11 2:35 PM (117.111.xxx.100)

    학벌로 사람의 가치를 매기던 구태적 사고는 많이 달라졌죠
    젊은 친구들은 꼴통 아니면 학벌을 우리 때처럼 따지지 않더라고요
    결혼할 때에도 학벌은 양보할 수 있는 스펙

  • 13.
    '25.1.11 3:05 PM (221.138.xxx.92)

    학벌 하나로는 보장성이 떨어지니 그렇죠.ㅎㅎ

  • 14. ㅇㅇ
    '25.1.11 3:10 PM (121.64.xxx.227) - 삭제된댓글

    음,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 학벌이 아니어도 먹고 살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
    학벌이 있어도 먹고 살기 힘들어서 학벌만으로는 안 된다는 뜻인 걸까요?

  • 15. ㅇㅇ
    '25.1.11 3:11 PM (121.64.xxx.227)

    음.. 결국 학벌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 학벌이 아니어도 먹고 살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
    학벌이 있어도 먹고 살기 힘들어서 학벌만으로는 안 된다는 뜻이었던 걸까요?

  • 16. ㅇㅇ
    '25.1.11 3:22 PM (122.47.xxx.151)

    학벌이 평생 따라가지만
    또래에서 인정받는건 20-30대까지에요.
    이 이후는 재력이 킹왕짱

  • 17. 으음
    '25.1.11 3:35 PM (223.62.xxx.18)

    어떤 방법이든 재력이 좋으면 부러움의 대상인거같아요
    학벌은 그 사람의 성향을 보여주는 일부라고 생각해요

  • 18. ..
    '25.1.11 3:39 PM (61.254.xxx.210) - 삭제된댓글

    저는 재력을 갖추고나니 학벌생각이 더 절실해지는데요
    내가 스카이 못나오는 것은 젊을때는 아무렇지않았는데
    재력을 갖춘 50대가 되고나니, 주변의 그사세가 보이더군요
    이래서 부를 갖추면 명예를 찾게된다는 건지
    애들.어릴때부터 교육에 매진하지않은게 좀 후회돼요
    애들 중고등시절부터 공부에 좀 신경쓰고 돈도 썼는데
    스카이아래급대학 겨우 보내고나니, 좀 많이 아쉬워요
    달라요 스카이이상급 인맥자체가 어느정도 경제상황밑받침된다는 가정하에

  • 19. ..
    '25.1.11 3:43 PM (61.254.xxx.210)

    저는 재력을 갖추고나니, 학벌이 더 절실해지던데요
    그사세가 다르더라구요
    현실적으로 학벌을 뛰어넘는 엄청난 재능도 흔하지는 않아요2222

  • 20. ...
    '25.1.11 3:46 PM (39.7.xxx.130)

    현실적으로 학벌을 뛰어넘는 엄청난 재능도 흔하지는 않아요333

  • 21. ㅇㅇ
    '25.1.11 4:40 PM (58.229.xxx.92)

    121.166 말씀이 정답입니다

  • 22.
    '25.1.11 4:41 PM (123.212.xxx.149)

    님 댓글 쓰신 것과 같은 뜻이 있죠.
    예전엔 학벌만 있어도 어느정도 보장이 됐지만
    요샌 학벌있어도 힘들다는 거죠.
    당연히 학벌이야 있으면 좋지만 그거하나에 목맬 필요는 없다는거죠.

  • 23. ㅇㅇ
    '25.1.11 4:44 PM (58.229.xxx.92)

    좋은 학벌은 놀이공원 패스트패스라는 말에 공감해요.
    패스트트랙 없이 일반 자유이용권으로도 부지런하면 몇개는 탈수 있죠.
    심지어 입장권만 있어도 놀이공원을 즐길수는 있어요.

    그러나, 패스트트랙이 있다면 남들보다 훨씬 더 많이 쉽게 즐길수 있죠.
    남들은 차례가 오기를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을때, 원하는곳 어디든 빨리 문을 열어주니까요

  • 24. 몬스터
    '25.1.11 5:25 PM (125.176.xxx.131) - 삭제된댓글

    학벌이 중요하지 않으려면 그게 사용하는 엄청난 재능이 따라야 되는 거 같아요

  • 25. 몬스터
    '25.1.11 5:25 PM (125.176.xxx.131)

    학벌이 중요하지 않으려면 그에
    상응하는 엄청난 재능이 따라야 되는 거 같아요

  • 26. ...
    '25.1.11 6:15 PM (121.137.xxx.107)

    학벌은 결과일뿐, 원인이자 동인은 지능, 성실함, 열정, 환경이 짬뽕되서 나온 결과라 생각합니다. 학벌이 있으면 자신의 능력에 대한 공증을 받은거나 다름 없기에 삶이 비교적 순탄하게 굴러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나 알고있듯, 학벌이 부족해도 잘 사는 사람들이 아주아주 많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6160 저 mbti뭘까요? 4 mbti 2025/01/18 1,101
1676159 군대 깔깔이 입어보셨어요? 최고짱입니다. 11 깔깔이 2025/01/18 4,184
1676158 홈쇼핑에서 소갈비찜 샀는데요. 5 흐흐 2025/01/18 2,498
1676157 전광훈 [예배는 하나님과의 섹스, 오르가즘 느껴야] 11 00 2025/01/18 3,041
1676156 신축아파트는 생활소음이나 냄새가 덜한가요? 8 아파트 2025/01/18 1,557
1676155 尹 지지자들, 공수처 차량 흔들며 위협 14 2025/01/18 3,898
1676154 체포는 체포요 구속은 구속이다. 윤석열 구속 만만치 않은 이유 13 ## 2025/01/18 2,405
1676153 구치소에서도 경호원과 함께 황제처럼 지내나봐요 5 미쳤다 2025/01/18 2,174
1676152 한 고비 넘으니 또 한 고비 11 어렵네요 2025/01/18 2,914
1676151 공수처 흔드는 내란견들!!이정도면 폭도 아닌가요?? 10 ㅇㅇㅇ 2025/01/18 1,335
1676150 반성없는 확신범 2 팩폭 2025/01/18 746
1676149 그럼 판사들은 퇴근안하고 밤 새나요~? 3 궁금 2025/01/18 1,793
1676148 이르면 내일 새벽 결정난대요. 7 ... 2025/01/18 3,171
1676147 윤석열 "법원 잘못 인정할 기회 주겠다" 27 ..... 2025/01/18 6,168
1676146 mbc뭔일있나요? 11 /// 2025/01/18 19,382
1676145 내란옹호기사 ㅡ 이거 뭐죠?? 7 ㅇㅇㅇ 2025/01/18 2,146
1676144 앞에서 말 못하고 뒤에서 빈정 상하는 나 8 흥칫뽕 2025/01/18 1,543
1676143 요리하는 maangchi 부인만큼만 영어하면 좋겠어요. 6 망치부인 2025/01/18 1,631
1676142 "법원이 잘못을 인정하고 시정할 기회를 주겠다".. 4 ㅅㅅ 2025/01/18 2,798
1676141 대기업 퇴직한 남편중 재밌게 사시는분 24 ... 2025/01/18 6,178
1676140 마늘에 핑크색 점 생긴거 곰팡이인가요? 4 질문 2025/01/18 1,897
1676139 저 극우 좀비떼들은 윤브랄 카퍼레이드로 생각하는 듯 3 2025/01/18 806
1676138 윤수괴 구치소 넘 끔찍해서 질질 짜면서 반성한척 한거 아닐까요?.. 8 ㅇㅇㅇ 2025/01/18 3,267
1676137 국힘 방미단은 취임식 참석 못하고 모니터나 봐야할 듯하네요. 4 ㅅㅅ 2025/01/18 1,811
1676136 `폭도`로 변한 尹 지지자들…서부지법 월담, 경찰 검거 15 ㅇㅇ 2025/01/18 2,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