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초등학생 고학년, 중학생 자녀 있는 학군지 엄마들 달리시나요?

.. 조회수 : 2,100
작성일 : 2024-11-14 10:33:48

어떻게들 달리시는지 궁금해요~~

 

주말에 만날 사람(가족,친척,친구)다 만나고~

놀 거 다 놀고~ 

그래도 교육시키는데 시간이 안부족하신가요?

 

 

제 친구는 학원 여기저기 보내고..

학년 부회장 됐다고 또 바쁘고..

악기 연주회 한다고 콩쿨 참가한다고 바쁘고..

아주 시간이 없어보이더라구요.

 

IP : 220.94.xxx.236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1.14 10:35 AM (202.20.xxx.210)

    영어학원, 수학 학원 보내면서 과외 선생까지 붙이는 게 이 세계...
    주말에도 안 놀아요.

  • 2. ㅇㅇ
    '24.11.14 10:36 AM (220.94.xxx.236)

    초등 고학년부터 달리는 건가요? 학군지 아닌 엄마는 주말에 애를 팽팽 놀리더라구요.

  • 3. ㅇㅇ
    '24.11.14 10:39 AM (222.108.xxx.29)

    학군지인데 애 공부 안시켜요 ㅋㅋㅋㅋㅋㅋ 나만안시키나보네 ㅜ
    애도 할생각 없고 저도 시킬생각 없고~ 나란히 놉니다

  • 4. ㅇㅇ
    '24.11.14 10:41 AM (220.94.xxx.236)

    윗님은 애가 몇 학년이에요?

  • 5. ......
    '24.11.14 10:41 AM (61.255.xxx.6)

    학군지 아니더라도
    특목자사고 결심하는 순간
    초4부터 주말 없는 삶입니다.
    주말에 보통 영재반들이 달리거든요.
    그런 애들이 의대도 가고 서울대도 가요

  • 6. ㅇㅇ
    '24.11.14 10:42 AM (222.108.xxx.29) - 삭제된댓글

    저 애 초 고학년이요... 5,6학년중 하나
    주중에 동네 상가에 작은 영어학원 수학학원 다니는거 외엔 없어요
    쉬라고 있는게 주말아닌가요....?
    태어나서 한번도 집에와서 책펴본적이 없는앤데 이제와서 주말에도 공부 하라고 하면 경끼할듯요 ㅋㅋㅋ
    전 목동인데 대치엄마들은 이런 엄마 없을수도 있겠네요

  • 7. ㅇㅇ
    '24.11.14 10:43 AM (222.108.xxx.29)

    저 애 초 고학년이요... 5,6학년중 하나
    주중에 동네 상가에 작은 영어학원 수학학원 다니는거 외엔 없어요
    쉬라고 있는게 주말아닌가요....?
    태어나서 한번도 집에와서 책펴본적이 없는앤데 이제와서 주말에도 공부 하라고 하면 경끼할듯요 ㅋㅋㅋ

  • 8.
    '24.11.14 10:43 AM (112.216.xxx.18)

    저는 아니고 이전 직장 동료가 그렇게 달렸어요
    애가 중학교 들어가기 전부터 무지무지 달린데다가 중학교 들어가고는 거의 매일 학원이 2개씩있고 그 와중에 하루 학원이 하나인데 그걸 결국 못 보고 또 학원 하나를 더 넣더란.
    근데 그 엄마는 미국에서 애를 낳고 들어와서 얘를 미국 보낼 수도 있다면서 선행에 미국 수업까지 한 거였긴 해요.

  • 9. ㅇㅇ
    '24.11.14 10:46 AM (220.94.xxx.236)

    아... 의대, 서울대 목표로 하는 엄마들이 주말에도 그렇게들 달리는 거군요... ㄷㄷㄷ

    음님. 직장동료분은 아이 대학교 어디 보냈나요? 궁금하네요~

  • 10. ㅡㅡㅡ
    '24.11.14 10:47 AM (58.148.xxx.3) - 삭제된댓글

    달리기 언제하냐는줄

  • 11. ㅇㅇ
    '24.11.14 10:56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중학생 엄마입니다. 저희 아이는 주말에 특별한 행사 있거나 몇 달에 한번 여행 제외하고 학원(학습, 예체능) 다니고 개인 공부합니다. 어려서부터의 루틴이라 아이들이 잘 따르고 쉬는 시간을 확보해주기 때문에 스트레스 없이 지내고 있어요. 대신 특이하게 저희집은 평일에 학원 수업이 없어요. (다니던 학원의 경우 목표치 완료하면 그만두기 때문에) 평일에는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 충실이 목표이고 저는 공부 시간만 관리해줘요. 주요 과목 선행 및 특기로 키우는 예체능 모두 무난하게 잘 하고 있답니다. 학군지 아이들이 바쁘다고 해서 모두 행복도가 떨어지는 건 아니에요. 오히려 시간관리가 엉망이 되고 게임이나 유튜브에 빠진 경우 작은 학습 추가에도 민감도,예민도가 올라가는 듯해요. 어릴 때부터 시간 관리하는 훈련이 되어 열심히 지내면 습관처럼 공부하더군요.

  • 12. ㅇㅇ
    '24.11.14 10:58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저희 아이는 목표가 의대, 서울대이고(예체능도 잘 하고 싶어해서 유지중) 일요일 공부 시간이 최대 12~13시간도 나와요.

  • 13. ㅇㅇ
    '24.11.14 11:00 AM (220.94.xxx.236) - 삭제된댓글

    목표가 의대, 서울대인 맘님은 아이가 몇학년인가요? 대단하네요~~

  • 14. ㅇㅇ
    '24.11.14 11:01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중1입니다. ^^

  • 15. ㅇㅇ
    '24.11.14 11:01 AM (220.94.xxx.236)

    아 중학생 아이군요~!! 대단하네요~ 어려서부터 루틴이라면 몇살부터 그 루틴을 유지해오신 건가요?

  • 16. ㅇㅇ
    '24.11.14 11:04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5세 영어 공부부터 시작해서 서서히 공부 시간을 늘려 왔기 때문에 현재는 평일 새벽 공부 1~2시간, 오후 공부 시간까지 완벽하게 체화된 상태입니다. 일주일에 하루는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울 수 있게 인정해주고 쉬는 시간도 철저하게 확보해줘요. 대신에 매우!! 규칙적으로 지내서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 17. ㅇㅇ
    '24.11.14 11:09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저희는 학원 수로 보면 달리는 게 아닐 수도 있지만 자기주도학습 시간으로는 압도적으로 달리는 거라 봅니다. ^^

  • 18. ㅋㅋ
    '24.11.14 11:39 AM (211.234.xxx.56)

    대학 보내고 얘기하자

  • 19. ㅇㅇ
    '24.11.14 11:40 AM (119.66.xxx.120)

    이제 실컷 놀리다가 초고 되는데 엄마부터 우왕좌왕하고 있어요.

  • 20. ㅇㅇ
    '24.11.14 11:59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대학 보내고 얘기하자는 분!
    저는 수능 잘 봐서 스카이 간 케이스인데 요즘 입시는 일회성 대박이 힘든 체계라 잘 하던 애들이 계속 잘 합니다. (일부 사춘기 강하게 온 경우 제외) 고등에 정신차려서 역전하기 불가능한 구조예요.
    제 주위에 초등 때 신나게 놀게 한 케이스들 보면 많이 후회한답니다.

  • 21. ...
    '24.11.14 11:59 AM (152.99.xxx.167)

    아이 역량부터 파악하세요
    저도 대치동에서 아이키웠는데 유치원부터 온갖 사교육 다한 아이, 집에서 인강한 아니, 놀다가 나중에 정시공부만 한 아이 참 다양합니다.
    입시결과로만 보자면..그냥 아이 역량대로 가요
    그걸 일찍 파악하느냐 못하느냐는 엄마의 역량

  • 22. 엄마아자
    '24.11.14 12:02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대학 보내고 얘기하자는 분!
    저는 수능 잘 봐서 스카이 간 케이스인데 요즘 입시는 일회성 대박이 힘든 체계라 잘 하던 애들이 계속 잘 합니다. (일부 사춘기 강하게 온 경우 제외) 고등에 정신차려서 역전하기 불가능한 구조예요.
    제 주위에 초등 때 신나게 놀게 한 케이스들 보면 많이 후회한답니다.
    이제 시작될 고교학점제의 기형적 구조를 보면 선행없이 얼마나 힘들지
    (학기 중에 수능 공부할 시간 거의 없으나 수능 최저는 늘어나고 과목은 심화까지 들어야 생기부 차별화 가능함, 정시에도 내신들어감) 눈에 보이는데 장기적으로 준비하는 게 합리적인 선택이지요.

  • 23. 대학보내고
    '24.11.14 2:49 PM (211.234.xxx.56)

    이야기하자..


    몇년후애 꼭 서울대 혹은 의대보냈다고
    결과 올려주길 기대합니다.

  • 24. 211님
    '24.11.14 3:46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그럴게요 ^^ 후후
    님도 다른집 아이에게 두고보자 하는 마음은 좀 버리세요.

  • 25. 211님
    '24.11.14 3:47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그럴게요 ^^ 후후
    님도 다른집 아이에게 두고보자 하는 마음은 좀 버리세요.
    인생도 짧은데 덕담하고 살아야지요. ^^

  • 26. 211님
    '24.11.14 3:50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지금 잘한다고 잘난체 하는 게 아니라 열심히 하자는 것도 비꼬시면
    좋은선배맘이 될 수 없어요.
    열심히 하라고 응원하고 현상황을 날카롭게 분석해주며 조언해주는 게 진정한 선매맘이 아닐까 합니다.
    서울대 의대 못가면 인생 끝장나는 것도 아닌데 뭘요 ㅋㅋㅋ

  • 27. 211님
    '24.11.14 3:52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후배맘들은 과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결과에만 집착하시는 접근은 아니되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9999 빌보 마누아 시리즈 9 결정장애 2025/01/16 1,492
1669998 미국도 아주 뛰어나야지만 의대 갈수 있나요? 17 ㅇㅇ 2025/01/16 4,260
1669997 거의 프랑스혁명 느낌입니다 15 ........ 2025/01/16 3,656
1669996 尹측, 공수처 조사거부…"어제 충분히 얘기…오후 안 나.. 10 123 2025/01/16 3,344
1669995 길 미끄럽나요? 1 서울 2025/01/16 888
1669994 홈쇼핑 무선고데기 써보신분 좋은가요? 2 ... 2025/01/16 1,126
1669993 공수처 윤석열 담당검사 20 누구야 2025/01/16 5,342
1669992 유튜브가 안꺼지는데 2 혹시 2025/01/16 1,012
1669991 어제 독감걸려 수액맞았는데 9 .... 2025/01/16 2,291
1669990 석열아~누나 면회왔어~.jpg 7 ㅡㅡㅡ 2025/01/16 5,014
1669989 계란 삶는 간단한 방법 26 82 2025/01/16 5,597
1669988 전세계적으로 현직 대통령이 구속된 경우 14 ㅇㅇ 2025/01/16 3,297
1669987 석열이 오후 조사도 안나간다네요 ㅋㅋ 34 ㅇㅇ 2025/01/16 6,364
1669986 1/16(목) 오늘의 종목 나미옹 2025/01/16 555
1669985 중앙-美국무부 "한국, 시험 앞에서 민주적 토대 강인함.. 9 .0. 2025/01/16 1,876
1669984 미혼남, 돌싱녀 결혼한다면 미혼남부모쪽에서 반대할까요? 21 리리 2025/01/16 3,350
1669983 열심히 살아야겠어요 9 .. 2025/01/16 3,087
1669982 윤내랑수괴찍은 주부들 부흥회중 7 노답아 2025/01/16 2,293
1669981 3평 구치소 독방서 첫밤 보낸 尹…경호처도 따라 들어가 '구금경.. 23 123 2025/01/16 4,991
1669980 정기예금 1년정도 어디에 넣을까요? 13 예금 2025/01/16 3,358
1669979 전 직장 괴롭힘.. 자꾸 떠오르는데요 맺힌거 좀 내려놓을 방법없.. 6 .. 2025/01/16 1,464
1669978 권영진, 체포 직전 尹에 "정말 의원 끄집어내라 했나 7 ㅇㅇ 2025/01/16 4,732
1669977 차를 바꾸려는데 우리집 수준에 맞나 싶어요. (원글펑) 38 고민 2025/01/16 4,758
1669976 썩렬이 맥이는 변호인단.ㅋㅋㅋㅋㅋ 13 탄핵지름길 2025/01/16 6,141
1669975 중앙지법이 전속관할이라는 것은 그릇된 주장 2 ㅅㅅ 2025/01/16 1,108